이렇게 우리가 아주 활발해진 인터넷 문화에서 전쟁까지 벌이고 이래도
실제로 선거에서 나오는 결과는 진짜 미미하고(20대로만 국한해도)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건 맞아요. 그 글을 보는 자체가 이미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고 그런 사람들은 이미 성향이 정해져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sns 나 트위터같이 자기 지지층에 전하는 메세지를 통하는 소셜네트워크는 집토끼 단속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고 평가 받구요. 그래서 생긴것이
인터넷 포탈 기사 댓글관리 입니다. 댓글은 기사를 보는 일반인들도 보기때문에 그 부분은 영향력이 있다고 이미 조사에 나와있어요. 이건 모르나 보네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투표율 높다고 야당에게 유리하다던가 이러지도 않으며(저번 대선 말고 몇년동안 분석해도)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건 세대별 비율이 달라져서 그래요. 이명박 대선까지 이뤄졌던 법칙이 이번에 꺠어진건데 그 이유가 베이비붐 세대가 50~60세대로 편입되면서 인구 비율이 달라져서 그래요. 그래서 절대치가 세대별로 차이가 많이나고 전체적인 투표율 변화가 선거에 주는 영향이 줄어들었죠 그러나 세대별 투표율은 아직도 중요해요. 이런 디테일을 좀 공부해야겠네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투표를 하면 뭐 인센티브를 준다던가 이래도 실제로는 거의 영향력이 미미하다는 거였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것도 맞아요. 그러나 방법이 있죠 해택은 영향력이 적지만 제재는 효과가 있다고 이미 외국 사례에 나온것입니다. 이정도는 알고있나요?
그래서 제제를 통해서 투표율을 높이자는 의견이 많고 유럽국가에선 몇몇국가가 실행중이죠.
<_iframe frameborder="0" scrolling="yes" style="width: 100%; height: 100%;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