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25464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 -치즈퐁듀-
작성일 2013-04-03 15:48:15 KST 조회 440
제목
이번 WCS 및 리그통합에 대하여 통합 정리(Ver.1.0)

※ 일단, WCS에 대하여 정리해야하는데

 

기존 리그들은 하나로 통합하는 WCS가 발족됨

 

WCS는 각 지역별 WCS의 상위 5인과 해당 지역에서 개최시, 그 지역 프로게이 1인을 시드로 총 16명이서 토너먼트 대회 분기별를 함.

 

(예 - 2/4분기 WCS같은경우(즉, 실질적 2013년 1회대회) 각지역마다 5명에 한국개최기에 한국에 1명추가,

3/4분기 WCS같은경우(즉, 실질적 2013년 2회대회) 각 지역에 5명씩에 북미개최기때문에 북미에 1명추가의 방식임) 

 

즉, 올해에는 5~6, 7~8월, 10월에 세계대회 WCS를 분기별로 1회씩 맛볼수있음.

 

내년에는 2~3월, 5~6월, 7~8월, 10월일 가능성이 높음.

 

그리고 그 분기당 WCS의 상위권자들을 대상으로 블리자드컵때(11월 예상) 초청, 마무리 경기가있음

 

 

 

1. 한국은 이제 GSL+스타리그로 WCS아시아로 통합됨

-> 순서는 GSL->스타리그->GSL순

※ GSL은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한다고햇으나, 현재 스타리그는 어떻게 진행될지는 확정안됨. 하지만 리그의 연속성이라는 문제때문에 GSL방식을 유지할껄로 예상됨.

 

그 경우, 온게임넷에서의 중계도 화/목으로 예상됨(예상임, 현재 롤쳄스때문에 수/금/토가 잡혀있는데, 그런이유로 수/금/토 중계는 불가, GSTL문제로 금/토는 중계 안할걸로 예상됨)

 

 

 

2. 해외대회도 MLG가 북미, IEM측이 유럽을 맡아 리그 진행할예정

-> 단, 리그 방식은 아직 미공개

 

 

 

※ .파급효과

 

1. 한국선수가 해외 대회 참여를 위해선 이젠 한개의 대회를 정해서 출전해야함.

-> WCS라고 적힌 한 대회를 선택하면 그 대회에서 1년간 출전해야함.

=> 장민철, 송현덕같은 해외대회에서의 강자는 이제 선택의 갈림길에 서있음.

장민철같은경우는 결국 해외대회 선택할꺼같고(북미예상, SK게이밍에서 독려할꺼같음), 송현덕은 모르겠음.

승리자는 폴트(샤느님, 최성훈선수)와 정벅자(박지수, 유럽에서 활동중)

 

2. 단, WCS라고 적히지 않은 대회는 이 룰에 제약당하지않음.

-> 나슬이나, 드림핵은 해당없음. 이쪽 대회가 박터질껄로 예상됨

 

3. 연맹측 중위권선수의 해외대회나 해외스폰이 심화될것으로 예상됨

-> 아무래도 빡센 한국폴보단 유럽이나 북미폴을 따를것으로 예상됨. (그리고 도퇴되게지....)

 

4. 실질적은 대회 참가할 수는 늘어남, 허나, 선택권은 줄어듬

-> 참가대회는 총 8개가량으로(기존 10개(GSL 3회, MLG 3회, IEM3회가량, 핫식스컵)이나, 실질적 참가는 전부참가가 어려우므로, 대략 7개 내외로 참가했었음) 늘긴했으나, 상위권자들만 참가할수있게 조정되버림.

 

5. 연맹측 프로게이들의 협회로 들어갈 가능성이 증가함

-> 아무래도 대회 참가할 수 있는 폴이 줄어들어 결론적으론 협회로 가 안정적인 연봉받기를 바랄것으로 추정됨

허나, 협회도 지금 재정이 넉넉하지는않은데....;;;

 

 

 

※ 중계방식

1. 곰티비와 온게임넷에서 번갈아가며 추최하되, 중계는 자기들 인력사용

-> 쉬운예는 예전 프로리그 플레이오프로, 온게임넷 주관에 MBC게임에서 자기 중계진 사용한걸 생각하면됨.

=> 최소한 해설선택권이 생겨 관객임장에선 더 좋아짐. 비교중계가 가능함

 

2. 리그를 한곳이 아닌 번갈아가며 주최기에, 리그 몰입도는 떨어짐

-> 이건 별수없고...ㅡㅡa;;;

 

3. WCS 시즌1 파이널은 온게임넷 주관으로 열릴예정

-> 그러하다네요. 제보 감사합니다.

 

 

 

 

※ 한국리그 진행방식

1. GSL은 기존방식그대로 진행됨

-> 햇갈릴꺼없음(....)

 

2. 온게임넷은 GSL방식따를지, 어떨지 확정안됨

 

3. 하부리그는 그냥 코드A형식그대로임

 

4. 온게임넷에선 예선전은 그라텍에 일임한상태. 실질적으론 코드 S만 온게임넷에서 한번 하는꼴

 

=> 그리고 양측 방송사에서 양측방송사 인원으로 중계함. 온게임넷에서 하더라도 GSL중계진으로 곰티비로 볼 수 있고, GSL에서 하더라도 온게임넷 중계진으로 방송 볼 수 있음.

 

 

 

 

 

혹시 추가점있음 적어주세요. 정리해서 추가할께요.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미스틱케이지 (2013-04-03 15:49:28 KST)
0↑ ↓0
센스 이미지
ㅊㅊ
아이콘 Dreamparty (2013-04-03 15:50:0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연맹측에서는 해외용으로 선수진 분할 가능성 있다고 생각.
아이콘 boman (2013-04-03 15:51:0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단 추천을 하고 글을 눌러주지! 딱히 정리된 글이 보고 싶은건 아니야
아이콘 boman (2013-04-03 15:51:2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글을 눌러주지->봐주지 ㄷㄷㄷ
부처핸섬 (2013-04-03 15:52:2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WCS 시즌1 파이널은 온게임넷 개최 방송
아이콘 -치즈퐁듀- (2013-04-03 15:54:2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dk365님 / 문제는 하위권이죠 상위권보단...
아이콘 미스틱케이지 (2013-04-03 15:55:59 KST)
0↑ ↓0
센스 이미지
대회 이름은 위에 부처님이 쓰신 WCS 시즌1 파이널임
아이콘 -치즈퐁듀- (2013-04-03 15:57:1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오케이 감사감사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