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13-04-03 11:38:59 KST | 조회 | 307 |
제목 |
결론을 정리해드림
|
a. 스타리그와 GSL
1. 스타리그와 GSL이 WCS로 중계됨.
2. GSL2회, 스타리그1회로 구성됨
3. 예선전은 곰티비에서 주관, 코드A형식으로 진행됨(이름은 첼린지 리그로 변경됨)
4. 스타리그의경우, 온게임넷의 관여없이 곰티비의 코드A에서의 결과와 승격강등전을 통해 선발된 인원으로 감
5. 스타리그도 포맷은 코드S와 같을것으로 예상됨(현재 질의에 따르면 그러함)
결론 : 스타리그 이름만 남기고, 중계하는 주최만 바뀐 리그가됨.
그냥 코드S인원 그대로 스타리그에서 경기함(포맷도 같은것으로 추정됨.)
b. 해외리그
1. 해외리그는 WCS라는 이름으로 각각 주관되는 대회 3회로 정리됨
북미와, 유럽리그로나누어짐
2. WCS붙은 대회는 서로 중복출전불가(WCS 유럽출전했음 WCS 북미, 한국은 출전못함)
3. 그 외 대회는 제약없음
4. 또한, 그 제약없는대회가 메이저일경우 일정량의 서킷포인트 부여함
결론 : 해외에서 용돈벌이 할 수단 줄어든 프로게이들 ㅠ
c. WCS
1. 그냥 WCS
결론 : WCS는 3회 염 끗
파이널대회가 예전 WCS임
|
||
|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