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32654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가라비안
작성일 2012-10-13 22:13:17 KST 조회 429
제목
양대4강 선수+ 이영호 최근전적(MVP 5,6주차+ WCS추가)
정윤종 선수는 오늘 WCS에서 무난한 승리를 거두며 승자조 8강 진출에 성공하였습니다. 
아시아 선수들의 실력이 생각보다 높지않아, 대진표운이 따라준거 같지만, 그래도 나름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MvP 5,6주차에서 11승 3패를 추가하며, 랭킹 공동 2위(31승 5패)로 마크하고 있습니다. 초반 1등을 돌주하던 거에 비해서는 아쉬운 성적이지만 시드에는 들었으니 만족할수있는 성적이겠네요.(마지막 7주차에 너무큰 패배를 하지 않는다면 시드는 확보될거 같습니다.) 특히 장민철 선수를 2:0으로 잡은것이 인상적이였습니다. 그리고 양준혁선수에게 마지막날 2:0으로 져버린게 너무 큰 타격이 되었네요.
승률이 2.3% 올랐습니다.

이영호 선수는 MvP 5,6주차에서 12승 2패를 추가하며, 역시 공동2위(31승 5패)를 마크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외국 선수에게 당할뿐 한국선수에게는 패배가 없었는데 최재원선수가 결국 유일하게 이영호선수에게 한세트를따낸 선수가되었네요. (장민철 선수와의 경기가 없었던 것이 아쉽습니다. 기권승을 하였네요. 사실상 약간 프로토스전에 ?를 느끼게 하고있어서, 한번 확인하고 싶었는데..)
승률이 다시 80%에 거의 근접하였습니다.. 역시 테란이라 종종 패배를 한종족들은 대부분 프로토스입니다. 저그에게는 프로리그에서의 패배 이후로 단 한세트도 내주지 않는게 정말로 인상적이네요.
극 상성 빌드랑, 매우 괴상한 빌드에 당해 코드A에서 떨어진게 아쉽네요. 좋은 성적을 거두는걸 보면 분명히 실력은 있는거 같은데.. 아무튼 승격강등전에서 선전을 기원합니다.

장민철 선수는 MvP 5,6주차에서 3승 9패로 매우 안좋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최근에 안좋은 기세를 그대로 보여주고있는것 같습니다. 특히 마지막 5,6주차에 케스파의 최상위권 선수들을 몰아서 만나서 더욱더 안좋은 성적을 거두어 버렸습니다. 신노열, 정윤종선수에게 모두 2:0 패배를 당했고, 김준호 선수랑 1:1 성적을 거두었네요. 
그리고 이영호,김정우 선수랑의 경기는 지각때문에 2:0 기권패를 당했다하더군요. 매우 아쉽게 되었습니다.
결국 18승 18패로 아슬아슬하게 승률 50%를 거두며 한국,대만 1위로 시드는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유럽의 나니와 선수와 장민철 선수가 유일하게 승률 50%를 넘긴 MLG 소속 선수를 지키고 있네요.( 기권이 없었으면 그래도 어느정도의 승률을 유지하였을건데 아쉽네요. 덕분에 매우 위험한 1위자리를 지키게되었습니다.)
승률은 2.1% 떨어져서 정확한 62%가 되었습니다. 지속적인 하락이 안타갑습니다.

김성현 선수는 11승 1패로 마지막 MvP 5,6주차를 기록하며 랭킹 7(27승 7패)위에 랭크되었습니다. 스타리그에서 아쉽게 탈락을 하였지만, 어떻게든 시드는 지키고 있는 시점입니다. 마지막 주차만 잘한다면 시드에 들수있을거 같습니다.
그래도 너무 아슬아슬 한 상황이라 마지막 주차에 큰 실수를 한다면, 시드를 박탈 당할 위기에 있습니다.

윤영서 선수의 ESV TV Korean Weekly: Season 3 Grand Prix 2 경기가 메이저 경기로 보기에는 큰 무리가 있다는 의견이 있었고, 저도 공감되는 면이있어서 제외를 하였습니다.
덕분에 윤영서 선수의 승률이 2% 가량 하락하였습니다.

-----------------------------------------------------------------------------------------
-7월 15일 듀얼 토너먼트 시작 이후의 데이터 입니다.-
이승현
TeamLiquid StarLeague 4 - Qualifier KR 9승 4패 (프로토스전 1패 테란전 3패) 준우승
GSL 승격강등전 2승 1패 (테란전 1패) 코드S 진출
TeamLiquid StarLeague 4 16승 10패 (프로토스전 6패 저그전 3패 테란전 1패) 준우승
GSL 코드S 14승 2패(프로토스전 1패 테란전 1패) 결승 진출
IPTL시즌1 프리미어 디비전 5승 2패 (프로토스전 2패) 진행중
GSTL 1승 1패 (테란전 1패) 진행중

67전 47승 20패 (승률 70.1%)
프로토스전 10패
테란전 7패
저그전 3패

---------------------------------------------------------------------------------------
윤영서
WCG 1승 2패 (테란전 2패) 16강 탈락
2012 Assembly ASUS ROG Summer 22승 7패 (저그전 1패 프로토스전 4패 테란전 2패) 우승
2012 MLG Summer Championship 14승 11패 (프로토스전 9패 테란전 2패) 4강 탈락
MLG Pro Circuit 2012: Summer Arena 14승 4패 (테란전 1패 저그전 1패 프로토스전 2패) 우승
2012 DreamHack Open: Valencia 20승 6패 (프로토스전 3패 저그전 1패 테란전 2패) 우승
2012 Ritmix Russian StarCraft 2 League Season 2 6승 3패 (저그전 3패) 8강 탈락
GSL 11승 8패 (프로토스전 3패 저그전 5패) 4강 탈락
IPTL시즌1 프리미어 디비전 2승 3패 (저그전 3패) 진행중
North American Star League Season 4 5승 2패 (프로토스전 2패) 진행중

141전 95승 46패 (승률 67.4%)
프로토스전 23패
테란전 9패
저그전 14패

-------------------------------------------------------------
김성현
프로리그 3승 3패 (프로토스전 1패 테란전 2패) 준플레이오프 진출실패
듀얼 2승 1패 (테란전 1패) 스타리그 진출
GSL 코드B 6승 1패 (프로토스전 1패) 코드A 진출
GSL 코드A 1승 2패 (저그전 2패) 1라운드 탈락
스타리그 8승 7패 (프로토스전 5패 테란전 2패) 4강 탈락
MvP 인비테이셔널 27승 7패 (프로토스전 4패 저그전 1패 테란전 2패) 진행중

68전 47승 21패 (승률 69.1%)
프로토스전 11패
테란전 7패
저그전 3패

----------------------------------------------------------
박수호
듀얼 2승 스타리그 진출
WCS 2승 4패(프로토스전 2패 저그전 2패) 패자조 1라운드 탈락
GSL 코드S 6승 5패 (테란전 5패) 16강 탈락
스타리그 5승 2패 (프로토스전 2패) 4강 진출
IPTL시즌1 컨텐더 디비전 전적없음 진행중
GSTL 1패(프로토스전 1패) 진행중
North American Star League Season 4 3승 3패 (테란전 3패) 진행중

33전 18승 15패 (승률 54.5%)
프로토스전  5패
테란전 8패
저그전 2패

---------------------------------------------------------
장민철
듀얼 2승 1패 (프로토스전 1패) 스타리그 진출
2012 Assembly ASUS ROG Summer 19승 7패 (프로토스전 3패 테란전 4패) 준우승
WCS 1승 2패 (저그전 2패) 패자조 1라운드 탈락
IEM Season VII 퀼른 14승 9패 (테란전 4패 프로토스전 2패 저그전 3패) 8강 탈락
GSL 코드S 3승 4패 (저그전 2패 테란전 2패) 32강 탈락
스타리그 5승 2패 (테란전 1패 프로토스전 1패) 4강 진출
GSL 코드A 0승 2패 (테란전 2패) 2라운드 탈락
MvP 인비테이셔널 18승 18패 (저그전 7패 테란전 3패 프로토스전 4패 기권패4패(전적에는추가안함)) 진행중
IPTL시즌1 프리미어 디비전 1승 진행중
North American Star League Season 4 6승 1패 (테란전 1패) 진행중

111전 69승 42패 (승률 62.2%)
프로토스전 11패
테란전 17패
저그전 14패

------------------------------------------------------
정종현
듀얼 2승 1패(프로토스전 1패) 스타리그 진출
스타리그 1승 2패(프로토스전 2패) 16강 탈락
WCG 2패 (테란전 2패) 16강 탈락
IEM Season VII 퀼른 23승 7패 (저그전 6패 테란전 1패) 우승
WCS 1승 2패 (테란전 2패) 패자조1라운드 탈락
GSL 코드S 14승 7패(테란전 3패 프로토스전 3패 저그전 1패) 결승 진출
GSTL 1패 (테란전 1패) 진행중
IPTL시즌1 프리미어 디비전1패 (저그전 1패) 진행중

64전 41승 23패 (승률 64.1%)
프로토스전 4패
테란전 9패
저그전 8패

-------------------------------------------------------
정윤종
프로리그 6승 5패 (프로토스전 5패) 플레이오프 탈락
WCS 9승 7패 (저그전 4패 프로토스전 3패) 아시아 챔피언쉽 진출
듀얼 2승 1패 (프로토스전1패) 스타리그 진출
스타리그 10승 4패(프로토스전1패) 결승 진출
코드S 14승 6패 (테란전 6패) 4강 탈락
MvP 인비테이셔널 31승 5패 (저그전 1패 테란전2패 프로토스2패) 진행중
WCS 아시아 챔피언쉽 4승 0패 진행중

104전 76승 28패 (승률 73.1%)
테란전 11패
프로토스전 12패
저그전 5패

---------------------------------------------------
이영호
프로리그 2승 2패 (프로토스전 1패 테란전 1패) 준플레이오프 진출실패
듀얼 2승 스타리그 진출
스타리그 5승 3패 (테란전 3패) 8강 탈락
GSL 코드B 6승 코드A 진출
GSL 코드A 3승 3패 (프로토스전 3패) 코드A 2라운드 탈락
MvP 인비테이셔널 31승 5패 (저그전 1패 프로토스전 4패 기권승2승(전적제외)) 진행중

59전 47승 13패 (승률 79.7%)
테란전 4패
프로토스전 8패
저그전 1패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슬리퍼테란 (2012-10-13 22:14: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장민철선수 vs 김정우 vs 이영호 2:0 부전패인걸로아는데.. 경기는 진행 안하고 지각패라고 하더라구요
아이콘 서귀포 (2012-10-13 22:16: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잘 보고 있습니다
StarGG (2012-10-13 22:17: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정윤종 진짜 경기 많이 하긴 한듯 다른 100경기 넘은 선수들처럼 해외 대회 다 출전하는거 아닌데도
아이콘 가라비안 (2012-10-13 22:18: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어쩐지 그렇군요... 너무 많은 패배를 기록해서 의심스러웠습니다. 방금 확인하니 시간이 매우 적은 초를 기록했네요 바로 수정할께요. WCS예선 기록은 확인할 길이 없어서 추가를 못했습니다. 만약 확인할 주소를 알려주신다면 추가할께요^^
아이콘 핫세븐 (2012-10-13 22:20:45 KST)
0↑ ↓0
센스 이미지
수고하십니다 항상
아이콘 가라비안 (2012-10-13 22:23:0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오늘 기권패때문에 장민철 선수도 매우 위험한 1위자리가 되버린;; 김정우선수가 플토전에 매우 약한데 장민철 선수에게 2:0승리를 한게 조금 의심스러웠습니다. ㅎㅎ
StarGG (2012-10-13 22:25:5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객관적으로 힘들어 보여죠 현재 헉, crank, 김학수 쭉 2대0 토스전만 전승중이라
나니와하고도 2대0이고 그루비하고 1대1
아이콘 GSLSD (2012-10-13 22:33:4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정정할게요.
스타리그/WCS 모든 선수 넣으실거면
윤영서 선수 스타리그 예선 탈락 (로브 풍선이라는 분한테 2대0으로 졌다고 함)
이영호 선수 WCS 예선 탈락도 추가해야 할 듯.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2012_StarCraft_II_World_Championship_Series/Asia/Nationals/South_Korea/Preliminaries)

ESV 는 온라인 대회니 프리미어급 대회와 같이 넣는 건 아닌 것 같고요.
아이콘 가라비안 (2012-10-13 22:33: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영호, 장민철 설수의 MvP 데이터에는 기권 승,패도 기록을 해두었지만(순위 확인을 위해) 실제 승률을 계산하는 데(아래에는)에서는 기권승은 제외시켜버렸습니다. 승률은 실제 대전 데이터에서만 정산되었습니니다.
아이콘 가라비안 (2012-10-13 22:37:3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TO GSLSD 링크하신곳에 예선에 윤영서 선수는 존재하지않는거 같은데요 ㅇㅇ. 한번 말씀하신게 있으니 좀더 찾아보겠습니다. 날짜는 아슬아슬하게 7월 15일에 걸린거 같은데..
아이콘 GSLSD (2012-10-13 22:40: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니요. 제가 링크 건거 이영호 선수 (Flash)의 WCS 예선 만을 말한 거고
윤영서 선수 스타리그 예선 탈락은 제가 올린 글에서, 여러 유저님들꼐서 확인해주셨네요.
(http://www.playxp.com/sc2/bbs/view.php?article_id=4183213)
아이콘 가라비안 (2012-10-13 22:44:0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윤영서 선수 스타리그 예선 탈락은 7월 15일 이전이라 데이터에서 빠졌습니다. 15일 이후만 포함된 데이터에요 최근 데이터이니 ㅎㅎ 듀얼토너먼트 시작한 이후 시점 데이터 입니다.
아이콘 가라비안 (2012-10-13 22:46: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확인 찾았습니다. 7월 22일 ㅋㅋ 7일차로 아슬아슬하게 걸려드는 데이터네요.
아이콘 GSLSD (2012-10-13 22:54: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링크는 맞습니다.
2번쨰 조에 Flash 1 - Sniper 2 확인해주시고요.
WCS 예선은 애초에 케스파 비케스파 안나눴으니 참고하시구요.

7월 15일 전이라고 했는데, 제가 볼 떈 형평성을 위해서라도 추가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한 선수는 16강 탈락 2패 탈락 이렇게 떡하니 강조되어 있는데
다른 선수는 열외가 된다는 건 납득이 잘 안됩니다.

이유야 어쨌든 같은 대회고, 최근 기세가 단순히 대회의 시작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면
예선까지 포함한 날짜가 좀더 의미있는 기준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