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32760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가라비안
작성일 2012-10-11 09:18:28 KST 조회 373
제목
현재 세계의 가장 중요한 대회(나름 보기좋게 정리)

상금과 일정을 이렇게 저럭게 살펴 봤을때 이렇게 있군요.


WCS (총상금 2억 5천) 1년 1회 (마이너 여러번)

블리자드컵(총상금 6천) 1년 1회


GSL (평균 총상금 1억 5천) 1년 다수

OSL (총상금 9천3백) 1년 다수

NASL (총상금 1억) 1년 다수

MLG (평균 총상금 8천) 1년 다수 (마이너 여러번)

IEM (평균 총상금 8천) 1년 1회 (마이너 여러번)

DreamHack (총상금 8천) 1년 1회 (마이너 여러번)

IPL (평균 총상금 1억) 1년 2회



WCG  (평균 총상금 3천)

ESWC (평균 총상금 5천)


1달러를 1000원으로 무식하게 봤을때 언듯 이정도.


WCS가 상금으로 봤을때는 가장 큰대회입니다.

올해 처음 시작되기도했고, 만약 매년 이루어진다면 가장 중요한 대회가 될거같네요. 

상금도 어마어마 하지만 1년에 1회라는 점이 정기적인 수입은 되지 않겠네요. (마이너 대회들까지 휩쓴다면 3개의 대회로 생각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내년에는 어떻게 될지 몰라도, 시드가 존재하지 않고, 순수 예선에서 올라오니, 전대회의 이득이 별로 남지 않는 대회 일듯 싶습니다. (하지만 돈으로는 최상)


빨간색 대회들은 상금도 크고 일년에 다수가 열리는 대회입니다.

글로벌 스타 리그, 온게임넷 스타리그, 북미 스타리그 입니다.

상금도 크고, 전대회의 성적이 시드로 적용이 되서, 지속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어야 하는 리그입니다.

또 리그의 일정이 매우 긴것이 특징입니다. 정도는 다르겠지만, 대략 3개월정도를 필요로 합니다.


보라색 대회들은 상금도 큰대회입니다. 그중 MLG는 다수 열리고, 나머지는 1년에 1회 열립니다.

단지 대회자체가 매우 많은 마이너 리그를 가지는데 대회 참가권이 걸린 대회들입니다. (따로 예선도 있는것 같습니다만) 상금 자체는 작지만 그 리그들을 통해 대회에 참가하게 됩니다.

빨간색 대회와 다른점은 시드가 없어서 전대회의 성적이 별로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초청 같은게 있어서, 실력이 좋은 선수는 불려오는것 같지만.. 초청자체가 확신을 한수는 없는것이니까요. 예선이나, 마이너 대회를 통해 매번 새로 시작해야 하는게 특징입니다.  (마이너 대회들도 상금은 있습니다.)


갈색 대회들은 따로 예선을 해야하고, 마이너 대회가 존재하지 않는 대회들입니다.

쉽게 말해 단판 대회로 할수 있는 대회들입니다. 시드도 없어 전 성적이 별로 영향을 끼치지않습니다.

IPL이 가장 상금이 크고 WCG가 가장 상금이 적습니다. 


블리자드컵도 상당히 상금이 큰 1년에 1회 있는 리그입니다. (상금도 제법 큰편입니다.)

이 대회는 상당히 참가 시드가 신기한데 각 스타 메이저 대회의 수상자들을 시드로 참가를 시킵니다.

작년 같은 경우에는 GSL, MLG, IEM, DreamHack, IPL, WCG의 수상자들이 초청되었습니다.

사실 상금이 작았던 WCG같은 경우는 여기에 초청됨으로써, 좀더 가치를 증명한 편입니다.

아마 블리자드가 생각하는 메이저에 가까운 대회들에서 초청한거 같은데 확실치는 않습니다.


올해에는 어떤 대회들에서 참가 될지가 궁금하네요. OSL도 충분히 가능성은 있다 생각하지만 확실치 찮고, NASL같은 경우는 상금도 높고 지속적으로 열리는데 왜 자격이 없었는지도 좀 궁금..


PS: 정보가 틀린 부분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너무 전문적으로 보지 마시고, 아 이런것들이 있구나 정도로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리그들을 잘 모르는 초보 관객분들을 위한 자료.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StarGG (2012-10-11 09:21:4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컵이 블리즈컨 기존에 하던거에 작년에 특별히 맞쳐서 한걸로 아는데
블리즈컨 자체가 없애면서 wcs로 바꿔서 하는걸로 아는데
아이콘 아르노르 (2012-10-11 09:22:06 KST)
0↑ ↓0
센스 이미지
NASL은 연맹이랑 한번 트러블이 생긴 적이 있어가지고
StarGG (2012-10-11 09:24: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빨간색은 리그 형태 대회들
아이콘 가라비안 (2012-10-11 09:25:4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렇군요.. 그런데 블리자드에서 주체하는 대회에 연맹이랑 NASL의 의견차가 상관이 있나요? 싶긴한데.. 연맹이랑 블리자드가 더 친하다 정도로 생각할까요;;
아이콘 불꽃의영혼 (2012-10-11 09:26:58 KST)
0↑ ↓0
센스 이미지
이번에는 블리자드컵이 아니라 다른 포맷으로 대회 연다는 거 같던데... (월드팀 한국팀으로 나눠서 엔트리전도 하고 gstl처럼 승자연전?도 하고 이런 식으로 한다던데....)
WCS는 블리즈컨 인비테이셔널을 좀 더 확장시켜서 만든 대회라 이벤트성이 좀 강한 거 같고
그리고 gsl은 글로벌 스탠다드 리그가 아니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2 리그.... ㅋㅋ;;
아이콘 아르노르 (2012-10-11 09:27:29 KST)
0↑ ↓0
센스 이미지
한국 선수들 대다수가 빠지고 나서 해외랑 국내에서의 관심도가 거의 쩌리 수준이 됐음 시청자 수가 지금 온라인으로 하고 있는 IPTL의 반도 안 나옴 심지어 최근엔 나아진게 이 정도. 대회 자체가 흥행을 해야 하는데 관심도가 無
아이콘 푹찍찍 (2012-10-11 09:27:3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컵은 곰티비 주최에요. 한해 GSL투어를 마무리 하는 대회라 봐야함
아이콘 아르노르 (2012-10-11 09:28:03 KST)
0↑ ↓0
센스 이미지
불꽃의영혼 // 그건 IPL 5랑 GSL 5 할때 하는거
아이콘 Suffocation (2012-10-11 09:28:27 KST)
0↑ ↓0
센스 이미지
글로벌 스탠다드 리그 →글로벌 스타크래프트2 리그
GSL
아이콘 두냐몽Launcher (2012-10-11 09:28:41 KST)
0↑ ↓0
센스 이미지
대체로 잘 써주셨는데 기준을 상금규모 위주로 잡으셨네요.
북미대회는 굳이 위상을 따지자면 NASL보다 MLG,IPL이 더 높죠.

그리고 IEM,드림핵도 1년에 다회 열립니다.
아이콘 푹찍찍 (2012-10-11 09:29:0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꽃//월챔을 계승한 대회라 봐야죠. 곰티비도 그렇게 공지했고요.
블리자드컵은 조만간 발표난다고 하니 어떻게 나올지 기다려봐야겠죠 ㅋ
StarGG (2012-10-11 09:29:0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불꽃의영혼// 그건 월드챔피언쉽 작년에 했던거 이번에는 월드팀 한국팀해서 3라운드로 1라운드 프로리그 방식 2라운드 위너스 방식 그리고 비기면 에결
아이콘 아르노르 (2012-10-11 09:29:14 KST)
0↑ ↓0
센스 이미지
참고로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데 블리자드컵 초청은 블리자드와 곰티비가 '함께' 지명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블리자드가 독단적으로 할 수도 없고 곰tv 입장에서도 흥행하는 대회의 우승자들을 모으게 되기 때문에 NASL이 빠지는 것도 납득이 됩니다
아이콘 가라비안 (2012-10-11 09:30:5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위상에 대한 순서는 적어 놓지 않았어요 ㅎㅎ 단순히 형태를 나누어 둔거 ㅋㅋ
다회 열리는건 다위 마이너라고 적어둔게 그거(확실치는 않아도 상금이 큰건 1회 더라구요, 나머지는 그대회 가는 시드를 주는 대회들이고 그래서 그냥 마이너로 표현. 표현을 그렇게 한거 ㅎㅎ.)
아이콘 두냐몽Launcher (2012-10-11 09:31:19 KST)
0↑ ↓0
센스 이미지
아이콘 불꽃의영혼 (2012-10-11 09:31:53 KST)
0↑ ↓0
센스 이미지
아항 어쩐지 그럴 거 같았음
블자컵은 아직 안 나온 거구나... 왠지 gsl 시즌5까지 하면 올해 끝날 거 같아서 ㅋㅋ
아이콘 가라비안 (2012-10-11 09:32:5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오 그런데 리플수가 인기 폭팔이다 ㅋㅋㅋ 제글중 최고 리플수군요 ㅋㅋ
아이콘 불꽃의영혼 (2012-10-11 09:34:01 KST)
0↑ ↓0
센스 이미지
근데 마이너를 여러번이라고 했는데 상금이 gsl보다 좀 적다 뿐이지 그렇게 마이너가 아니란 점이 좀 헷갈리죠.
작년 mlg도 프로비던스가 1년을 총정리하는 대회였고 나머지는 상금이 적었었고
하나하나 다 중요대회로 치지 않나
아이콘 아르노르 (2012-10-11 09:35:28 KST)
0↑ ↓0
센스 이미지
현재 스타2에서 그랜드슬램이라는 칭호가 못나오는 이유 중 하나. 대회가 미친 듯이 많은데 이중에 4개만 꼽자니 실로 병림픽이 일어나기 적절한 구조를 갖추고 있음
아이콘 가라비안 (2012-10-11 09:41: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MLG의 마이너다 뭐 이런 뜻이죠. ㅎㅎ. 애초에 하위 대회 자체는 적혀있지도 않잖아요. 표현을 그렇게 한거. 아무튼 가장 중요한건 계속 열리는 경기냐를 가장 중요하게 보았어요. 지속적으로 열릴 가능성이 얼마나 있느냐에서 의문인것은 우선 빼두었다고 생각하는..
여기 적힌 대회들은 계속 열릴게 분명하니 중요대회라고 할수 있겠죠(뭐 그래도 갑자기 조직이 깨져서 사라져 버리는건 어쩔수 없겠지만, 스타2는 아직 역사가 짧아서;; 우선 안정적이라고 생각하는 대회들)
무슨 대회라도, 사라져버리면 그 대회의 가치가 완전히 날라가 버리는.
아이콘 가라비안 (2012-10-11 09:45: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프로의 세계에서 상금은 무시 못하는.(자원봉사자들이 아니니)
예를 들어 뜬금없이 브라질에서 어떤 조직이 상금 10억 걸어놓고 1년에 4번 열어버리면, 과연 선수들이 참가 안할까요 ㅎㅎ 상금이 크고, 안정적으로 열어버리면, 역사와 권위는 자동으로 따라오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