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35757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RPGLauncher
작성일 2012-07-31 16:32:18 KST 조회 367
제목
저는 예전에 김택용 선수보고 천재형 선수라고 하는 사람들이...

정말 이해가 안됬거든요. 아니, 스1 전성기 시절 때나 프로리그 다승 찍을 때나 암만봐도 천재형 선수라는 느낌이 들지 않았던 것은, 다른 내로라 하는 선수들이 스타리그 우승할 때 정작 본인은 2009년 이후로 3년쨰 상위 라운드로 올라가서 다전제를 치르지 못한게 사실이였고 당연히 스타리그 우승을 한번도 못했을 뿐더러 2011 ~ 2012 시즌에는 스타리그 예선에서 2.3번은 미끄러졌었잖아요.

 

솔직히 이영호 이제동을 천재형 게이머라고 한다면 뭐라고 딱히 반박할 것이 없는데 이 둘과 비교해서 김택용이 천재형 게이머라고 불리기에는 뭔가 확실히 어폐가 있는게 아닌가 싶었는데 지금 스2에서 보여주는 모습도 천재형 게이머는 아니라는 것이 딱 드러나는 부분인데...

 

참 씁쓸하고 아쉬워요. ㅠㅠ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앰흑기사단 (2012-07-31 16:34:3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마재윤 잡기전에는 물량으로도 유명했고 커닥도 정착시켰고

멀탯도 쩔었고.. 김택용도 천재형이라고 생각했는데... 한계가 뚜렷해서 그렇지.
StarGG (2012-07-31 16:36: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천재형 게이머가 아닌건 맞는데 마인드적 스타일이 최연성 처럼 페이스나 기세류인데
개인리그 3년쨰 못 올라갔다고 천재형 아니다는 아닌거 같음
천재형 게이머중 그런 케이스 선수들 있었고 그전에 이미 우승이나 쭉쭉 활약 한적도 있었으니깐요
천재형이니깐 오랜 부진 있을수없다는거 자체가 좀 아니니
StarGG (2012-07-31 16:38:0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그리고 김택용이 천재형이라는 야기가 나오게 된게 결승 앞두고 푸켓 휴가로 팀 갔다 왔는데 3대0 승해버려서 푸켓몬 하면서 천재 소리가 그때부터 생긴거
(개인적으로는 천재 어쩌고 보다 신규 패러다임 떄문에 그렇게 된거라고 생각함 최연성이 마재윤 처음 만났을때나 이윤열이 최연성 만났을때 같은 )
아이콘 언제나올래 (2012-07-31 16:42:51 KST)
0↑ ↓0
센스 이미지
걍 연습 안하고 빈둥대는데도 게임 잘하는게 천재 이거보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불러온 플레이를 선보이는 선수에게 천재라는 말이 어울리죠.
천재 맞습니다.
RPGLauncher (2012-07-31 16:45:5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언제나올래// 그렇게 단순하게 얘기하기에는 제가 본문에서 얘기한 저런 미스테리한 모습이 설명이 안되니까 미칠 노릇이죠;;;

명확히 한계점이 보여서 더 이상 꾸준히 치고 올라오지 못한다면 (특히 개인리그에서) 저는 천재형 게이머라고 불리는 것은 어폐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르게 말하면 이영호 이제동은 한계를 뛰어넘었기에 5회, 6회 우승을 밥먹듯히 했던 거고 김택용은 그 한계를 뛰어넘지 못했기 때문에 3회 우승에 머물렀다고 할 수도 있는거죠.
StarGG (2012-07-31 16:52: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그리고 한가지 더 고려해야하는건 이윤열 이성은 조용호 등등 과거 천재형 선수(성적보다 실제 연습 대비 경기력 엄청났던 선수들)
봐도 20~21살 전까지는 그렇게 해왔지만 그 나이 넘어서고 부터는 연습량으로 경기력 보여줌

김택용도 10년도에 22살로 시기적 맞음이 있기는 함

근데 희안한건 택뱅리쌍이든 요즘 게이머들은 다 게임 연습 많이해서 연습에 따른 야기는 좀 안 맞음




그리고 이영호 이제동 야기 하는건 조금 애매한게 있는게 토스 기준으로는 최다 우승인걸 고려해야함 물론 스타리그는 우승 못했지만
그리고 리쌍 우승에 운적이 요소도 많고 특히 이제동 2시즌 양대 올 저그 우승 한시즌 양대 올 저저전 결승 이던 타종족은 있어본적도 없을정도로 한 종족 시즌에 2회 우승한것도 있고
아무튼 우승 관련은 운적인 요소도 너무 커서 그것만 가지고 비교해서 뭔가 못 넘었다 하기에는 애매한면이 있음
아이콘 FOTS (2012-07-31 17:09: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용택이는 단순히 우승만 갖고는 못 따지는게 용택이가 프로리그에선 다승왕 같은걸 엄청 해먹었음
아이콘 PaDoJung (2012-07-31 17:14:3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러니깐 천재형이죠

명확한 한계점을 다 보이면서 극복 못하는 모습이 나오니 아 그냥 천재라서 잘했구나 하는 의미도 있겟죠

뭐 초창기 천재형이야 첫 결승때 ㅇ이미 나온거고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