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 lIlllIll
작성일 2012-07-29 00:06:53 KST 조회 474
제목
스2 흥행 문제는 스2가 한국인 입맛에 안맞았기 때문이지

왜 개스파니 뭐니 들먹임?


 블리자드는 스1의 흥행이 속도감에 있다고 스1에서 속도만 2배속 해놓으면 더 잘 팔릴거라는

 어처구니없는 망상이나 하면서 게임으로 만든게 잘못이지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뭉치12 (2012-07-29 00:08:4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매니아 겜을 만들어 놓고 e-sports 흥하기를 바라는 건 에러...
아이콘 lIlllIll (2012-07-29 00:09:3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죄다 순삭 전투 지적하면서 떨어져나갔음.
아이콘 뭉치12 (2012-07-29 00:12:0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참... 그리고.. 스2가 역전이 상대적으로 스1 보다 적게 나오는 구조라서...
보는 사람의 재미가 적다고 하네요...
선수들도 스1에 비해서 역전하기 무지 어렵다고 하네요.
이건 좀 이스포츠 고려하면 개선해야 할 것 같네요.
아이콘 플토지만허접 (2012-07-29 00:18:1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런 문제였으면 외국에서도 스2 인기가 현저하게 떨어져야된다고 보는데요.....
외국인들이 스1 안봤던것도 아니고 걍 선점효과 + RTS의 몰락 + 초반부에 지적됐던 두가지 문제 + 언플 + 홍보 미흡 등등으로 국내에서 안뜬거라고 봄
아이콘 하등플토 (2012-07-29 00:24:1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스1이 인기는 있었지만 외국인들 스1 잘 안봤음
외국 게임순위 잡지에 나온거보면 99년 후반까지는 탑이였는데 2000초반쯤엔 쭉 밀려나갔고
매니아 급들만 남음.. 그리고 그당시엔 미국 유럽 인터넷이 특정지역 빼고는 너무 느려서(+ 종량제)
워3부터 좀 외국에서 인프라 구축되고 해서 보기시작한거 같고
StarGG (2012-07-29 00:27:1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런것도 있고 저런것도 있고 복합적임
해외 같은 경우는 워3 다음으로 e스포츠에 맞는 게임이 안 나오고 있었고 워3하고 또 다른 형태 스타일에 물빠질떄 나와서 그 자리를 차지한거(솔직히 e스포츠로서 최고의 자리를 잡은거지 판매량만 보면 대중화 되싿고 볼수없음 물론 많은 판매량이지만 세계 게이머 인구수를 생각해보면)
국내는 스1이 계속 자리 잡고 있었으니깐 야기가 달라짐


더구나 RTS 자체가 원래 대중적인 장르가 아님 게이머층 어느정도 비율의 층이 즐기는 게임인데 스1은 시기랑 등등 예외의 상황이 된거고
스2 나올 시기에는 이미 그 층이 대체적으로 스1에 쏠려 있는 상황에 자연스럽게 넘어갔으면 야기 달라지지만 갈등이 생겨서 그렇게 된것도 크죠
아이콘 플토지만허접 (2012-07-29 00:30:0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러니까 요지는 스1의 겜성이 더 뛰어나다면 스1을 볼거다란 거죠
첨에 스2 나왔을때 스1은 이미 경기력들이 많이 올라간 상태였으니까 위에서 지적한 스2의 문제점이 스투의 주요문제점이었다면 외국인들도 스2가 아닌 스1을 봤을거다....뭐 이런거임
위 문제점은 스2의 문제점이라고 볼수도 있겠지만 스2의 특징이라고도 볼 수 있죠 윗분들이 제기한 스2의 문제점은 스2 국내 흥행이 잠잠한 주요 이유가 될 순 없다고 봄
아이콘 하등플토 (2012-07-29 00:34:2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가장중요한건 게임 유저수죠.. 롤이 스2보다 보는 재미 떨어진다고들 하는데 인기 훨씬 많잔아요? 외국인 유저수가 2000년대 초반에 이미 매니아 정도만 남았는데 별로 없었죠
즉 외국인 유저수 자체가 적었기때문에 그건 알수 없다고 생각함..
StarGG (2012-07-29 00:34:2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플토지만허접// 같은 시기에 나온 게임이면 게임성을 따질수있어도 이미 오래된 게임은 아니죠
더구나 시청 할수이 있는 시스템이나 선수들 자국 리그나 선수 같은게 있고 하면 몰라도 그런게 아예 없는 상황에;;
도리어 그렇게 없는 상황에 아직도 해외 스1 아마추어 온라인 리그 열리고 있고 보는 사람들 아직도 나름 되고 스2 나오기 전까지 스1쪽 게이머가 계속 나오던게 신기한거
아이콘 플토지만허접 (2012-07-29 00:44:3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렇기에 내말은 이거임 두개의 개임성을 절대적인 척을 하는 상대적 기준을 놓고 보면 안된다는 거죠 뭐가 낫다고 할수는 없음....
스2엔 스1의 요소가 없어서 망했다 뭐 이런말들 말임 이런건 성향차이라서 어쩔 수 없이 갈리죠 다만 스2가 전세계적으로 흥행하는 걸로 봐선 스1식보단 스2식이 대세라고 볼 수있다고 봄
즉 우리나라 흥행이 잠잠한 주 이유가 스1만큼의 요소가 없다가 될수는 없음 물론 부가적인 이유일수는 있지만 말이죠
주 이유는 제가봤을땐 선점 효과가 크다고 생각함... 스1이 오래 해먹음에따라 국내 스2 흥행에 여러가지 변수가 생겨버렸으니 말이죠
롤은 스2보다 흥행하고 있는데 그건 비단 우리나라뿐만은 아니니까... 새로운 형식의 겜이 대세가 됐다는 반증이겠죠?
StarGG (2012-07-29 00:51:2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종합적으로 선점 효과나 언플 등등도 있지만 게임성도 분명 있음
가장 큰걸로 두가지가 역전 요소의 상대적 적음, 상대적으로 순삭 전투가 많다는 가장 흔하게 말이 나오는거라 이 부분도 없다고는 못한다고 봄

전자는 스타의 최고 장점은 기존에는 rts가 rts랑 rtt로 극적으로 갈라져서 나왔죠
그런데 그게 적절하게 배분이 된게 거의 스1이 최초였죠
그래서 rts쪽이든 rtt쪽이든 한가지만 상대보다 확 잘 하면서 끌고 가면 역전할수있는 요소가 켰지만 스2는 rtt로 좀더 치우침에 따라 그런 요소의 다양성이 줄었죠
그리고 상성의 - 가 아니라 + 가 되면서 순삭이 좀더 많이 되는거고

장단점이 있지만 어째거나 이 부분이 전문가든 일단 팬이든 다 가장 많이 나온느 요소기 떄문에 아니라고 말할수는 없을듯
아이콘 하등플토 (2012-07-29 01:14:3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스2가 대세인건 인프라나 시대상이 큼(물론 잘 만들기도 해서)
스1이 한국에서 인프라를 잘 탔다면, 워3가 외국에서 인프라를 잘 탔고 스2가 이어받은거
외국에선 플레이하는거로선 한참전에 한물간(그당시엔 대회가 있었으나 보기도 힘들었을거임) 게임이 외국에서 대세가 될순 없죠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