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Kezilac | ||
---|---|---|---|
작성일 | 2012-06-27 00:22:55 KST | 조회 | 213 |
제목 |
임재덕선수가 재능형이라고 하는건..
|
뭐, 선수중에도 상위급 하려면 역시 연습을 뒷받침해주는 재능이 필요하기에, 재능형이라는 말은 재능이 정말 다른 선수들과 비교해서도 우월할때 재능형 선수라고 말하는건데..
임재덕선수는 그렇다고생각이 안되네요.
임재덕선수가 재능형 선수라는 분의 말씀에 따르면, 나이가 많아서 어린선수들에 비해 연습량이 딸릴거라는 막연한 추측과 더불어 재능이 다른 선수보다 뛰어나기에 잘한다고 하는건데..
제가 보기엔, 오히려 임재덕선수는 문성원선수와 같은 스타일로 게임을 연습하는게 아닌가 생각되거든요(게임을 자주 하는 것보다, 한판 한판의 심도깊은 분석). 임재덕선수의 연습방식은 모르지만 감히 이렇게 말해보는건, 임재덕선수의 나이와 침착함 때문이라고 말하고 싶네요.
일반적으로, 나이가 많다는 것은 선수에게는 방해요소가 될 수 밖에 없다지만, 분명 경험과 관록은 플러스요소거든요.
예를들기 위해서 하는 말인데, 제가 스타크래프트 외에도 와우대회도 자주 봐왔고, 격투기를 또 좋아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와우대회를 자주 봤을때도, 3:3게임에서 대부분 나이가 가장 많은 팀의 맏형님급 되는 유저들은 솔직히 젊은 유저들보다 피지컬이 딸려서 힐러종류를 많이하는 편이고, 혹은 순발력이 '조금이라도' 덜필요한 메즈딜러를 많이 합니다.
대신에 맏형급 유저들은 젊은유저들이 못챙기는 '넓은 시야'와, 팀원들의 '정신적 지주'역할을 해주죠.
정말 신기한게, 곰티비에서 해주는 네임드 시즌 1,2,3 다보고 그 외 거의 대부분 경기들을 다 섭렵했지만, 멘탈은 역시 나이많은 유저들이 강한편입니다.
결국 게임을 오래하든 적게하든 나이가 들면 아무래도 실제 살아온 경험이 많고, 감정절제라던가 상황판단에 능해지게 되는 것 같더군요.
그리고, 이종격투기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40대 선수들이 신체적 약점을 딛고(심지어 프로게이머보다 더 심하다고 볼 수도 있죠. 여기선 순발력 외에도 절대적인 근력에서도 딸리기 마련이니까. 복합적으로 따졌을때 나이든쪽이 상당히 불리하니까요), 젊은 선수들을 이기는 이유로는, 역시나 침착함과 상황판단. 그리고 경험에서 나오는 응용력, 분석력이 비중이 크더라구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하여간 임재덕 선수도, 위의 예와 다르지 않을거라는게 제 판단입니다. 임재덕 선수는 흔들리지 않는 멘탈과 타 선수들보다 뛰어난 분석력(명탐정은 분명 게임 한판한판에서 상대의 빌드를 찾아내는 모습때문에 붙은 별명이지만, 게임이 끝나도 그 분석력을 풀가동할겁니다. 이겼든 졌든 개의치 않구요), 응용력(젊은선수들이 보통 생각이 더 기발 할 수는 있지만, 단순히 선수경험으로 봐도 임재덕선수 스타1부터 오래 해왔고, 온고지신이라고 자신의 이전 경기들을 살짝씩 비틀어서 응용하는 능력이 보이더라구요) 덕분에 강한 거라는 얘기죠.
재능이 남들보다 뛰어났기에 잘했다는 게 아니라, 나이와 경험에 맞는 관록을 가지고 게임을 했기에 잘했다는 생각이들어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게 보통 젊은사람이라지만, 실패했을 때의 리스크를 알고 어떻게 하면 실패와 성공 사이의 외줄타기를 잘 할 수 있나 판단하는 것은 관록있는 선수가 더 잘할거라고 생각하는데, 솔직히 이건 재능자체보다도 더 큰 요소 아닌가요?
프로게이머가 나이들수록 퇴보되는 정도가 심한 직업인건 저도 알고있는데, 무조건적으로 젊은게 더 어드벤티지라고 생각하는 엑스퍼분들이 많아서 적어봅니다.
|
||
|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