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 뭉치12
작성일 2012-06-06 02:09:03 KST 조회 608
제목
스1과 스2의 차이 (GSL리거 스1리거)

스1 : 멀텟, 손이 빨라야 함. 노쇠하면 패망.

스2 : 편한 인터페이스로 노쇠한 게이머도 어느정도 커버 가능

 

스1 :

제가 알기론 스1의 정명훈의 단축기 신공은 따라올 자가 없다고 하더군요. 실로 엄청나서

아무나 따라할 수도 없고. 우리나라에 그정도 손빠른 사람 없다고 합니다.

==> 스1 게이머는 첫째가 손이 빨라야 하고, 부대지정을 무지 빨리 잘 해야 합니다.

 

스2 : 어느정도 손빠름에 대한 관용이 생긴 게임.

       전략, 세세한 컨트롤, 센스 등이 더 중요할 수도 있음.

       유닛이 바보될 일이 거의 없어서 컨트롤 노이로제나 노하우도 일반적임.

 

 

스1 : 손빠른 게이머들이 모여서 연습하면 효율이 좋음

        인터넷에서 실력 키운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듬.

        모여서 훈련하는 팀이 이로움. 연습량이 실력을 좌우함

        인터넷 게임 방식이 엉망이라 레더에서 실력 키우는 것은 불가능

 

스2 : 인터넷상으로도 얼마든지 연습 가능. 단, 전략등이 노출이 쉬움

        레더 시스템이 좋아서 굳이 팀에 안들어가도 어느정도 연습 가능.

 

 

==> 결론 : 스2는 스1보다 훨씬더  OPEN된 게임이며, 폐쇠적인 팀 단위 연습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음.

               스2는 스1보다 멀텟이나 손빠르기가 조금 모자라도 최상급 게이머가 될 수 있음.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천제누구 (2012-06-06 02:09:37 KST)
0↑ ↓0
센스 이미지
부재지정 ㅇㅅㅇ
아이콘 천제누구 (2012-06-06 02:10:45 KST)
0↑ ↓0
센스 이미지
빠른 수정 ㅎㅎ
아이콘 불곰. (2012-06-06 02:13:13 KST)
0↑ ↓0
센스 이미지
멀텟은 맵 크기마다 다를꺼 같은데
아이콘 루미나스 (2012-06-06 02:13:2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손빠른 게이머들이 모여서 연습하면 효율이 좋음
레더 시스템이 좋아서 굳이 팀에 안들어가도 어느정도 연습 가능
이렇게 구분하는게 좋은지 잘 모르겠어요

스1도 스2래더만은 못하지만 고수들 사설서버같은거 있지 않나요? 김택용 전태양 경기때 들어본적이 있는데(연습상대 없는날 사설서버서 날빌테스트했는데 그게 방송경기 상대였다는...)

글구 스1은 손빠른 게이머들끼리 모인게 중요한게 아니고 최적화 타이밍을 공개 안하기 때문에 아마추어가 프로를 잡을수 없다 소리도 들어본적 있는것같고
NoWHere (2012-06-06 02:13:4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슷2는 멀텟이 필수가 아닌 어느정도의 특징이라고 해야하나
아이콘 루미나스 (2012-06-06 02:14:1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류원코치 김정환코치 얘기하는것 자체가 스2도 스1과 크게 다르지 않지 않을까요?
아이콘 ElapsedTime (2012-06-06 02:14:35 KST)
0↑ ↓0
센스 이미지
현실은 스2선수도 손 전부 빠름.손이 느리다고 생각했던 재덕옹조차 손이 빠름

유닛이 바보 될일이 없다지만 게임스피드가 전반적으로 스1보단 빠르기 때문에 잠시 안보는 사이 그 유닛 녹음
아이콘 사과맛참치 (2012-06-06 02:15:15 KST)
0↑ ↓0
센스 이미지
실제로 스타2는 인공지능이 좋아서 유닛 각개격파도 알아서 잘 하고(예를 들어서인스턴트 공격대상이 흩어지지 않는 다던가 미사일형 공격의 집탄성이 매우 죽여주기도 하고)해서 엄청난 컨으로 경기를 역전시키는 건 점멸이나 산개같은 일종의 소수로 다수를 죽이는 형식이 아닌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형식쪽이 더더욱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는 스원처럼 노가다 식의 컨트롤은 많이 없으니까요.(뮤탈컨이나 p컨, 홀컨이 없음)
그래서 좋음.
StarGG (2012-06-06 02:16:5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런데 스1의 연습 환경은 조작에 의해 더 폐쇠적으로 바뀐것도 있어서

그리고 멀텟이나 손빠르기 모자라도 다른게 뛰어나면 최상급 게이머가 될수있는거지 그런 부분도 딸리는데 최상급 게이머가 될수있는게 아니고 요건 스1도 마찮가지
괜히 송병구나 최연성 염보성 같은 선수들이 존재하는게 아니죠
StarGG (2012-06-06 02:18:1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피지컬은 운영이나 게임 이해도 등등이 비슷할떄 확 빛을 보는거지 그런게 딸릴때는 별 의미 없어짐(물론 경기를 상대가 못 쫒아오게 주도해 간다면 또 몰라도)
아이콘 서귀포 (2012-06-06 02:18: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지금 스2를 하는 스1 선수들의 컨트롤을 문제삼아서
스1 선수 피지컬도 신화였다고 하는 말도 가끔 있는데
피지컬은 게임 이해도가 선행되야 하는 것임
apm 2000짜리 선수가 탄생했다고 하더라도 게임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헛손질일뿐 적재적소에 어느 화면을 보고 어느상황에서 무슨 컨트롤을 해야하는지
머리로 알고 몸이 자동으로 따라가주는 과정이 쌓이면서
피지컬이란 능력이 완성되는거라고 생각함
아이콘 루미나스 (2012-06-06 02:19:3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최연성이 결국 피지컬 부족으로 은퇴한 것도 크지 않나요...
저는 스1 볼때 2~3년 안보다 다시 보니 피지컬 수준 상승이 충격이었고 그 뒤로도 해마다 피지컬 하한선이 올라가는 느낌 받았는데
StarGG (2012-06-06 02:24: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피지컬보다 게임 의욕적인 부분에서 기량 저하 물론 마레기의 등장으로 현재 패러다임에서 신규 패러다임의 등장으로 밀린거(이건 마래기는 김택용한테 밀린거) 랑 비슷해서 그런것도 있지만 그런것보다 원래 페이스로 게임을 하던 사람이라

더구나 나이대도 생각해야하는게 결승 마지노선 23살 넘은 나이임 22살 최고령 데뷔에 24살 최고령 우승(23살 이상 결승 간 사람 임요환 2회 최연성 우승 뿐) 나이도 고려해야하고

거기에 팀 자체 매너리즘 빠져서 07전기 skt t1 고인규,전상욱 최연성 다 성적 망쳤죠 그뒤에 손목 아작 나고 은퇴일 잡고 날짜 보면서 게임하니깐 경기가 일일이 다 마지막이라는거 때문에 소중해지면서 게임에 대한 의욕이 다시 살아나서 은퇴전 프로리그 반타작하고 김성기랑 13팩토리 vs 4팩토리 역전승도 하고 msl 16강에 그 대회 우승자 박성균하고 1시간 장기전 이기는 경기도 보여주면서 1:2패 보여줌
StarGG (2012-06-06 02:25:5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병민이나 이윤열 등 손만 보면 빨랐던 선수들도 07 기준으로 확 떨어진것도 생각하면 뭐
아이콘 루미나스 (2012-06-06 02:26:4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다들 시각이 다르시고 저는 마침 그때 안봤으니... 주워들은걸로 얘기해야 하는데
최연성의 은퇴에는 다양한 요소가 작용했지만 피지컬로 인해 저그전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들어서요
아이콘 루미나스 (2012-06-06 02:27:5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제가 아주 잠깐 이스트로 팬(신희승팬-안보기시작-보기시작-이슷해체 ㅠㅠ)이라서 아는데 이병민은 복귀후 테란전 기량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제대후 손이 굳어 타종족전을 따라갈 수 없어서 프로리그 반타작 가까이 하고도 은퇴했다고 들었어요
StarGG (2012-06-06 02:29:5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06년도 저그전 70퍼 07년도 63퍼인데 무슨... 그 저그전 인식이 마재윤 떄문에 낮아진것처럼 보인거 도리어 손 빠른 이윤열이 06년도 53퍼 , 07년도 51퍼이고 서지훈이 06년도 63퍼 07년도 50퍼인데
StarGG (2012-06-06 02:31:1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병민은 06년도부터 떨어지기 시작함 아무튼 올드급 선수들 다 손 어쩌고 저쩌고를 떠나서 07년도 기준으로 확 사라짐 특히 개인리그에서 말이죠

이병민 손보다 기본기가 부족하다가 하고 은퇴했죠
아이콘 루미나스 (2012-06-06 02:32: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포모스에 공식전 06 57퍼 07 43퍼라고 나와서요
07년에는 마재 상대로는 1패밖에 없는데 43퍼인데요?
StarGG (2012-06-06 02:32:4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이병민 군입대 하지 않았아요 kt에서 쭉 하다가 페이스 다운으로 결국 이적하게 되서 이스트로 가서 한시즌 그렇게하고 은퇴한거에요
StarGG (2012-06-06 02:34:5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경기수가 적어서 전체로 해서 그렇다는거 어째거나 다른 올드 테란들도 다 그런 시기 보시면 암
StarGG (2012-06-06 02:36: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글구 승률이 그렇다는것보다 인식이 마재윤 5전 연승 진게 크다는 의미
아이콘 루미나스 (2012-06-06 02:37: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병민은 테테전 잘하는 이미지라 기본기 부족하다니 의외긴 하네요
암튼 두번째 댓글 잘 이해를 못한... 비공식 포함해도 쵱 승률 06 69퍼 07 55퍼로 이전에 비하면 떨어진 편인데
StarGG (2012-06-06 02:40: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병민 모든 종족전 잘하는 선수였어요 그런 류가 서지훈 김정민 이재호(mbc 때)

그리고 말씀 드린것처럼 07년도 기준으로 올드들 다 싹 엉망 됬다고요
떨어지는거야 당연하죠 나이대 야기도 했으니깐
더구나 지금 최연성 한명을 기준으로 말하는게 아니라 피지컬 떄문에 그런거라면 피지컬 빠른 다른 올드 테란들 봐도 다 떨어진 시기 더 성적 안좋거나
StarGG (2012-06-06 02:42: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최연성 자체가 임요환 공군 입대하면서 성적 떨어짐 그리고 게임 흥미 잃었다고 인터뷰 했었고

최연성 자체가 게임 준비를 아마추어랑 하면서 연승을 어마어마하게 쌓으면서 이기는 패턴만 익숙해지고 자신감을 체워서 실전에 가서도 그렇게 하는 류였던거 다 아는 사실이고

http://sports.news.nate.com/view/20120315n04169?mid=s1001&isq=5985
대충 요런 형태의 선수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