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 lexo
작성일 2012-05-09 21:42:21 KST 조회 284
제목
사람들은 늘 영웅을 원하는거 같음

뭔가 실질적인 실력과 흐름과는 무관하게 그 시대의 심볼이 될만한 영웅을 필요로 하는거 같음.

 

어떤 전략이나 전술의 흐름이 분명 한 선수에서 시작된게 아님에도 그 선수가 시대의 지표가 되었음을 기록하고

싶어하고, 전략의 과정에는 무수한 다른 선수들의 노력과 래더에서의 흐름이 있었음을 별로 인지하고 싶어하질 않는 듯. 마카가 마카류를 혼자 고안해낸 스타일이 아님에도 그 트렌드의 중심에 선 것처럼.

 

어쨋든 타 선수들의 더 뛰어난 경기들이 눈 앞에서 펼쳐지고, 톱스타의 추락이 현실임에도 그 실력을 부정하고 싶어하지 않고 그속에 특별함이 존재한다고 신앙에 가까운 믿음을 보이는걸 보면.. 좀 신기하고도 그럼 ㅋ

스2는 스1이나 여타 스포츠에 비해 그 실력의 차이가 덜하고, 리그간의 구분으로 손쉽게 실력의 척도를 측정가능함에도 별로 그런건 사실 중요하지 않는 듯도 싶고.

 

특히 스타는 맵이나 종족, 패치등의 유불리 편차가 심한 게임이라 한 스타 게이머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정말 불합리함의 연속임. 

그래서 난 스타가 스포츠라기엔 좀 미흡하고 실력보단 이미지의 의존도가 강한 엔터테인먼트라고 생각함...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GSLSD (2012-05-09 21:44:2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런 팬덤이 이스포츠를 꾸려가는 힘이라는 거는 모름?
꼭 부정적으로만 보려고 하시네 이분은
님 마라도나가 아르헨에서 어떤 대우받는 지 암?
임요환을 생각해보면 답 나오지
아이콘 lexo (2012-05-09 21:46:1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부정적으로 본다고 한적 없음.
다만 난 특정 팀이나 선수를 경계로 게임을 보지 않으니 그런 현상이 신기하다는거임.
그리고 축구는 양팀이 훨씬 공정한 상황에서 경기를 치루니까.. 대가가 더 정당한 편이졍.
전투돼지 (2012-05-09 21:46: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제작목적부터가 엔터테인먼트인데
아이콘 lexo (2012-05-09 21:50: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뭐 그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e스포츠라는 하드웨어를 꾸려놨으니
아이콘 plasticsmile (2012-05-09 21:54:37 KST)
0↑ ↓0
센스 이미지
이런 분들은 자동차 경주는 어떻게 생각할까 궁금하네/./ 진짜 f1은 머신에따라 갈리는데. 솔직히 포뮬러1 보지만 이스포츠보다 훨심해요 패치 밸런스 이런것보다 머신 성능차가....
아이콘 lexo (2012-05-09 21:56:3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음 모터스포츠의 경우가 있었네요 ㅎㅎ 그 경우는 생각을 못해봤네요.
아이콘 plasticsmile (2012-05-09 21:57:54 KST)
0↑ ↓0
센스 이미지
e 스포츠 불공정함은 진짜 새발의 피입니다. 진짜로요. 저쪽은 좋은팀 안가면 평생 우승 못한다고 보시면 되요. 비와서 정말 운좋았는데 9위 했다고 기적이라고 하는 동네.
아이콘 lexo (2012-05-09 21:59: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잘 몰라도... 레이싱의 경우엔 스폰서, 차 스펙이나 효율도 실력의 범주로 치거나 하진 않나요?
아이콘 plasticsmile (2012-05-09 22:01:28 KST)
0↑ ↓0
센스 이미지
당연히 치죠. 그래서 자금력과 인력이 중요한거고요. 하지만 거기도 팀단위 점수와 개인점수가 있고 팬덤도 있고. 솔직히 e스포츠 돌아가는거 보다 스케일만 크지 비슷하다고 봅니다. 머신 생김새도 꽤 변했어요.
아이콘 lexo (2012-05-09 22:05:3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흠 그 영역도 실력의 범주로 친다면 이스포츠역시 종족을 선택한 것이 자체 실력으로 봐야되는거 아닐까요. 이 팬덤은 종족의 선택과 실제 실력은 별도로 취급하니까요. 저그로 어느정도 했다면 잘한거다- 처럼요.
아이콘 lexo (2012-05-09 22:07: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공격적인 의미가 아니라, 동선상에 놓았을때 그렇지 않을까 싶어서 말해봅니다.
아이콘 plasticsmile (2012-05-09 22:10:49 KST)
0↑ ↓0
센스 이미지
근데 저쪽은 선수가 팀 선택권이 없다는게 크죠. 그래서 어 저선수 머신만 좋으면 우승할텐데 하는말이 나오곤합니다. 스2도 초반에 저 선수 테란 했음 우승인데 같은말 많았죠. e스포츠는 아마 경제가 무너지고 산업이 퇴보해서 게임산업 자체가 무너지지않는한 계속 될겁니다. 스포츠가 아니라고 생각하셔도 상관없어요. 어차피 돈이 된다고 생각되면 점점 커지게 되있으니까요. 그리고 꽤 돈이 된다고 생각해서 미국에서 그렇게 투자들 해대는 거고. 이미 시장 엄청 크다고 봅니다. 안정적까진 아니지만 10년이내로 하나의 주류 문화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한국에서 말고요.
아이콘 lexo (2012-05-09 22:15:1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ㅇㅇ 뜻하시는 바 잘 알겠습니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