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41907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 쿠나쿠나
작성일 2012-02-26 21:36:39 KST 조회 239
제목
만화 떡밥 정리해 줌. 국가가 만화 사업 말아먹은 거 맞음.

일단 역사를 살펴봐야함.

대여점, 불법 복제가 만화 산업의 직접적인 시망 원인인 거 맞음.

근데 분명 그 전에 만화 산업, 겜 산업이 자리 잡을 여건이 충분히 마련되어있었음.

그걸 정부가 씨를 말려놔서 대여점, 불법 복제 충격을 못 버틴 거임.


예를 들어 볕도 안드는 지하 감방 독실에 갇혀서 죽도 제대로 못 얻어먹던 죄수가 폐렴으로 죽었다.

이 사람의 직접적인 사인은 폐렴이지만,

폐렴의 발생 원인은 생활 환경임을 부정할 수 없음.

만화 산업이 좆망한 거랑 정부의 규제랑도 이거랑 비슷한 관계.


지금 20대 초중반이신 분들은 아마 상황을 잘 모르실 거 같아서 쭉 정리해드림.

걍 역사 상식 알아둔다 셈 치고 함 보셈.

참고로 나 전대갈 끝물~노태우 시절에 최루탄 냄새에 국민학교 나온 사람임.

전대갈 끝물~노태우 시절에도 고우영 작가라던가, 허영만 작가, 김수정 작가 등

꽤 잘 나가는 만화가들이 있었음.

문제는 이게 각종 검열삭제 크리로 서서히 그 나물에 그 밥화 되어가고 있었다는 거.

비극이 여기서 부터 시작함.


80년대 중후반, 경제가 일정 궤도에 올라서니까 일본만화 몰래 들여와서는
300원, 500원짜리 단행본으로 묶어다 팔아서 떼 돈을 버는 사람들이 생기기 시작함.

사업하는 새끼는 당연 존나 많이 벌었고, 심지어 소매상 중에도 돈 많이 번 사람 많았음.

3 학년 땐가 가게에 세내면서 장사하던 문방구 아저씨가 나 졸업하기 전에

13평 짜리 아파트 하나 사서 들어가는 걸 목격함.

(그 집 아들이 친구라 만화는 존나게 봤음. 물론 걸리면 으앙 주금)
이게 뉴스에서도 크게 문제가 될 정도로 불법이란 게 유명했는데,

그래도 애들은 그런 거 없고 걍 일본 만화만 주구장창 사서 봤음.

결국 돈이 존나게 벌리긴 하는데, 그 돈이 결국 불법 출판 공장 주머니로만 들어가지

한국 만화시장으로 돌아가질 않았음.


왜 이런 일이 벌어졌냐고? 우리나라에서는 애들 용은 검열 때문에 꺼벙이 같은
명랑만화, 교육만화 밖에 못 그리게 했거든.
그 만화들이 품질이 낮다는 게 아님.
표현의 자유가 없으니까 맨날 그 나물에 그 밥만 나온 게 문제임.

아기 공룡 둘리도 하루이틀이지 ㅅㅂ.

그러다가 해적판 일본 소년 만화 들어오니 애들이 다 거기 환장하는 거임.

결국 유소년 시장이 일본 만화에 종속되고 국내 만화가들은 규제가 덜한 신문 성인 극화 쪽으로 몰림.

근데 당시 어른이란 사람들은 신문 만화는 하악 거리고 보면서
정작 만화책 사는 걸 존나 쪽팔려하는 이중적인 인간들이었음.

사실 이 시점에서 이미 국내 만화 시장은 공장 시스템으로 전락하기 시작했음.

저 위의 죄수의 예로 말하자면 폐렴이 악화되서 오늘 내일 하는 상태.

해적판 물건 떼다 파는 새끼가 돈을 자루로 쓸어 담는데

죽자고 만화 그리는 만화가는 노예 신세라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애초에 경쟁력이고 지랄이고 꿈도 꿀 수 없는 상황을 국가가 나서서 만들고 있었던 거.


그래도 어떻게 저떻게 굴러는 가다가 드디어 만화 시장 최대의 찬스 오브 찬스가 도래함.


김영삼 시절 규제 많이 풀리면서 점프류 만화 잡지가 정발되고,

거기에 한국 만화 작가들이 대거 투입 되기 시작한 거임.

규제를 풀었을 때와 풀지 않고 찍어 누르기만 할 때의 시장 성장이

얼마나 다를 수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극적인 예가 바로 이 시기임.


이 당시 어쩐지 저녁 같은 작품이 권 당 몇 십만 부씩 팔리고 그랬음.

(일부 국내 만화의 단행본 단일권 판매량이 동시기 발매 드래곤볼 단일권이랑 삐까뜨던 리즈 시절도 있음)

만화 잡지 보다 수요가 떨어지는 겜 잡지들도 90년 대 말까지 막 10만 부 이상 팔렸으니

그 보다 적게는 대 여섯 배, 많게는  열 배 이상 팔리던 만화 잡지들은 어마어마하게 팔렸음.

이제는 만화 시장이 자리 잡힌다며 만화가 지망생 친구가 존나 기쁨의 눈물을 흘릴 때였지.

말하자면 폐렴 환자가 어케어케 보양식 좀 먹고 잘 쉬고 해서

살아날지도 모르는 그 찰라에.... 마무리 일격이 들어옴.


그거슨 아이엠에프 크리.

여기에다 안 그래도 온 나라가 죽네 사네 하는 판에

잘 알려지지 않은 정부의 마지막 삽질이

마치 폐렴 환자의 골방에 비바람 들이치듯이 만화 시장을 덮침.


당시에 업계에 관심 없고 뉴스 이런 거 잘 안보는 사람들은 모름.

심지어는 만화 어지간히 좋아한다는 애들 중에도 이거 아는 사람 별로 없는데,

정부에서 아이엠에프로 좆망한 중산층 살린답시고 자영업 활성화 드립을 쳤었음.

여기 까진 좋은데, 소자본 창업 아이템으로서  만화 대여점을 적극 권장함.

국가에서 남의 저작권으로 권리금 안 물어 주고 2차 수익을 챙기란 짓을 권장한 거여 미친ㅋㅋㅋㅋㅋㅋㅋ

만화 대여점 창업시 대출 금리 우대라던가 여하튼 그런 보조 혜택이 꽤 있었음.

뿐만 아니라, 만화 대여점이 체인식으로 혹은 업자들이 동맹 맺고 서로서로 만화책들을 돌리기 시작함.

오늘 이 만화방에 있던 A 시리즈가 내일 저 만화방에 가고

오늘 저 만화방에 있던 B 시리즈는 내일 이 만화방에 들어오는 식.

이게 만화 산업을 말아 먹은 결정타가 된 거임.


지금 처럼 웹하드 이런 거 거의 없고

VT 통신사들이 아직 까지 상당한 점유율을 보이고있었던 98~99년 경에 일어난 일들이라,

대여점 폭발 시작 시기엔 불법 복제가 그리 흥하진 않았음.

말하자면 이 시기 이후 확 터진 불법 복제 문제는 사실

이미 숨도 못쉬는 시체나 다름 없는 인간에다 대고 기름 끼얹고 불붙인 거.


여튼 만화 좆망의 역사는 이러함.

비슷한 테크를 탔어도 시장층이 성인이었고,

만화에 비하면 규제 훨 느슨한 영화 산업이 그래도 국내에서 만큼은

헐리우드한테 완전 점령 안당하고 가끔 원작 수출도 하는 거랑 엄청 비교되는 일이지.


이거 비슷한 일이 게임 판에는 안 벌어질 것 같음?

안 그래도 중국애들이 따라 잡으려고 개 발악하고 있는데다

점점 품질 높여가는 미국애들이 거세게 압박해 오는 판에

규제는 무슨 지랄인지 모르겠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루디 (2012-02-26 21:36:55 KST)
0↑ ↓0
센스 이미지
떡밥 탑승 타이밍이..
작은하마 (2012-02-26 21:37:4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읽기 귀찮다
아이콘 쿠나쿠나 (2012-02-26 21:38:39 KST)
0↑ ↓0
센스 이미지
에에이 늦었다 ㅋ
사막오징어 (2012-02-26 21:40:1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좋은 글이군요

물론 읽었습니ㅏ
아이콘 재미없네요 (2012-02-26 23:17:1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늦게나마 댓글답니다.

님 말대로 당시엔 해적판이죠..

근데 그건 만화 뿐만 아니라 음반,책,뭐..등등 당시 일제는 죄다

보따리였음. 아시죠? 팩같은것도 가격이 어마어마했죠.

일본 문화가 개방이 안되었으니까요.

그리고 님글에서 말하는대로 규제라는게 심했죠. 많이 풀린게 8~90년대임.

그때가 늦었다고 하면 할말없지만..국가는 나름 지원 많이해줬음.

경쟁력에서 밀린걸 뭐라할수 있을까요?

심의가 그래서 경쟁력이 떨어졌다??

당시 애니 산업자체도 일본한테 상대가 되지 않는 규모였음..애초에.

돈이 되고 전망이 있다고 뉴스에서 때려줘도 어차피 알만한 사람들은 일본만화가

스토리 자체도 잘 짜여져 있고, 재밌다는걸 알기 때문이죠.

500원 해적판은 당연히 님 말대로 보따리장사한테 돌아간 이익이였고,

단지 다른 만화방이나 많다고 해도 살 사람들은 단행본이든 보물섬이든

다 사서 봤음.

진짜 망하기 시작한건 대여점임. 당시 만화가들이 "캠페인'들도 많이 했는데..

IMF때 PC방,대여점이 불같은 속도로 늘어나는걸 막을수가 없었죠.

현재는 웹툰이든...아니면 영화 같은 파생효과를 노려볼 정도로 연명하는 정도가

되었습니다만..

님 최루탄 냄새..

ㅋㅋ 남산아래쪽은 늘상 났었음.

국가가 잘못한거요? 제 생각엔 국가가 딱히 잘못한게 없습니다.

아까 제가 쓴글 1,2,3 번 다 국가가 해결해보려고 했는데 실패한거고,

가장 많이 볼만한 금요일 저녁시간에 일부러 국산만화를 TV에 넣은것도 있죠.

그리고 제작비투자(이것도 금액이 적다고 하면 적다고 불만일텐데..애초에 예산이 적었음)

마지막으로 경재력,대여점이 제일 큰거지

이걸가지고 국가 운운하는건 좀 웃기다고 보임

(심의는 당시에 만화 뿐만이 아니라 문화 전반에 걸쳐서 다~좀 심했습니다.)
아이콘 재미없네요 (2012-02-26 23:19: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국가를 탓하려면 DJ를 먼저 탓하는게 맞겠죠.

문화는 당연히 더 좋은걸 받아들이기 마련이고,

DJ때 일본문화를 완전개방하면서 걷잡을수 없었으니 말이죠.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