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카이제르
작성일 2011-12-13 01:17:02 KST 조회 120
제목
절대적인 실력이 모자라서가 아니라 띄워주기를 성층권돌파할 기세로 띄워주니까
거.품이라 하는거지 ㅄ들아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CvTale (2011-12-13 01:17:27 KST)
0↑ ↓0
센스 이미지
묘사돋네
아이콘 미쳐버린천재 (2011-12-13 01:18:02 KST)
0↑ ↓0
센스 이미지
성층권은 대류권의 위로부터 고도 약 50km까지의 대기층이다. 약 20~30km지점에서 오존들이 자외선을 흡수하므로 높이에 따라 기온이 증가하는 오존층이 있다. 대류권과 반대로 높이 올라갈 수록 온도가 올라간다.








본문
대류권의 위로부터 고도 약 50km까지의 대기층이다. 성층권의 하부에서는 기온이 높이에 따라 일정하다가 상부에서는 높이에 따라 기온이 증가하는데 그 이유는 오존층이 태양의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대단히 안정하여 대류권과 달리 대류현상이 없으므로 일기변화 현상도 거의 없다. 성층권 내에는 특히 고도 약25km를 중심으로 오존이 많이 존재하는데 오존층은 지구상의 생물에게 유해한 강한 자외선을 거의 흡수하며 장기적인 기후변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대기과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분야중의 하나이다.




오존의 형성과정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오존의 생성과 소멸
①오존의 생성: 성층권의 산소 분자는 자외선에 의해 해리되어 산소원자로 분해된다. 그래서 성층권에서는 산소원자와 산소분자와 섞여 있다. 성층권에서 질소 분자(N2)나 산소 분자(O2)를 촉매(M)로 산소분자와 산소 원자가 결합하여 오존(O3)이 된다.

O2 →O + O O2 + O + M → O3 + M

②오존의 소멸 : 오존은 불안정한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생물체에 유해한 파장 200∼300nm인 자외선을 흡수하여 산소 분자와 산소 원자로 분해된다. 그리고 이 산소 원자가 다른 오존 분자와 충돌하여 2개의 산소 분자가 되면서 오존이 소멸된다.

O3 → O + O2 O3 + O → 2O2

실제의 대기 중에서는 대체로 N2나 O가 M의 역할을 한다. 대체로 고도 약 80km까지는 공기의 조성비가 일정하며 하층으로 갈수록 공기의 밀도가 크다. O나 M은 하층으로 갈수록 많이 분포되어 있고 O2는 상층으로 갈수록 많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이 세가지 요소가 서로 충돌할 수 있는 기회는 고도 약 25km 부근에서 가장 많다. 따라서 25km 근처에 오존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렇게 생성만 된다면 오존은 계속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오존은 불안정한 구조를 띠고 있어 자외선(0.2∼0.3㎛)을 흡수하면 다시 산소원자와 산소분자로 분리되는 성질이 있다.

O3 → O + O2

이런 식으로 생성하고 소멸하는 과정을 계속 반복하여 오존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성층권의 발견
성층권을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은 프랑스의 L.P.테스랑 드 보르이다. 그는 1902년 실시한 많은 기구관측(氣球觀測)에 의하여 대기 중의 기온의 수직분포를 조사한 결과 고도 약 11km 이상에서는 기온이 거의 일정하여 기온감률이 0으로 되므로 그 아래의 대류권과는 성질이 뚜렷하게 다르다는 사실을 발표하였다. 같은 해에 독일의 기상학자 R.아스만도 밤에 실시한 기구관측 결과에 의하여 테스랑 드 보르의 관측결과를 증명하였다.

이와 같은 등온층(等溫層) 속에서는 대류가 잘 일어나지 않아 상하의 혼합이 잘 되지 않고, 지구의 중력 때문에 공기 중의 무거운 성분 기체는 아래쪽으로, 가벼운 성분 기체는 위쪽으로 분리되어 층을 이루게 된다고 생각하여 성층권이라고 명명하였다. 그러나 그 후의 관측결과에 의하여 오존이나 수증기를 뺀 나머지 성분 기체의 조성은 성층권 내에서도 거의 일정하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즉 상하의 혼합이 잘 되고 있다.

성층권의 대류
거의 모든 구름은 대류권 내에서 발생 ·소멸을 되풀이하고 있지만 성층권 내의 고도 20∼30km에서 자개구름(mother of pearl clouds)이라고 하는 특수한 구름이 나타날 때가 있다. 렌즈 모양의 고적운(高積雲)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높은 하늘에 자개처럼 반짝이며 나타난다. 1870년 겨울 노르웨이에서 처음으로 관측되었다. 그 후 고위도지방에서 겨울철에 평균 2년에 3회 정도씩 관측되고 있다.

주로 스코틀랜드나 스칸디나비아 지방에 나타나지만 드물게는 프랑스나 알래스카에도 나타난다. 자개구름은 해뜨기 전이나 해진 후, 즉 태양이 수평선 아래로 약간 내려가 있을 때에 가장 아름답게 빛나는 구름이며 그 평균고도는 23km이다. 이 구름은 아주 작은 구형(球形)의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크기가 조금씩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채색(彩色)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고도 약 20km까지의 하부성층권에서는 수증기 양이 극히 적어서 공기 1g 속에 3mg 정도밖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25km 고도에서는 약 10배로 된다. 그 까닭은 화학반응으로 합성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으며, 고위도지방에서 이 부분의 기온이 극히 낮을 때에 자개구름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로켓 관측 결과에 의하면 고도 약 20 km까지의 하부성층권에서는 기온이 적도 상공에서 극소를 나타내고 고위도 쪽으로 가면서 상승한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극지방 상공에 기온의 극대역(極大域)이 있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북위 55° 부근까지만 기온이 높아지고 그보다 더 고위도지방에서는 반대로 기온이 내려가서 극지방의 기온이 결국 적도지방보다 낮게 된다. 성층권의 이 극지방 상공의 저온역을 감도는 편서풍(偏西風)이 있는데 이것을 극야(極夜)의 편서풍이라고 한다.

겨울에는 위도 40∼50°, 고도 65km 성층권 위의 중간권에 속하지만) 부근에 중심을 가진 강한 편서풍(극야제트)이 불고 평균최대풍속은 80m/s 이상이 되기도 한다. 여름에는 그것과 반대 경향을 나타내어 동풍이 분다. 즉 성층권의 순환은 대류권과는 거의 독립적인 데 반하여, 중간권과는 상당히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 그 까닭은 대류권의 순환이 태양복사에너지의 지표면에서의 흡수에 의한 열원(적도에서 최대, 극에서 최소)에서 원동력을 얻고 있음에 반하여, 성층권(중간권까지 포함)하여 순환을 일으키는 열원과 냉원(冷源)은 주로 오존에 의한 자외선의 흡수와 이산화탄소에 의한 적외선 복사와의 차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이다.

대류권에서는 파장이 수천 km 정도의 고저기압파(高低氣壓波)가 서에서 동으로 이동해 가지만 이 파는 대류권계면의 높이 이상으로는 거의 침입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성층권에서는 파장이 1만 km 이상인 대규모파동(planetary wave)이 뚜렷하다. 이것은 주로 겨울의 서풍영역(西風領域)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적도 상공의 성층권에서는 편동풍과 편서풍이 26개월 주기로 바뀌는 이른바 준(準)2년 주기진동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성층권의 기온변화
1952년 2월 베를린자유대학의 셰르하크는 약 30km 상공의 기온이 이틀 사이에 -48℃에서 -12℃로 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이 성층권의 기온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현상은 그 후에도 가끔 관측되었는데 주로 유럽 ·캐나다 ·시베리아 등에서 많이 관측되었고, 승온은 며칠 사이에 40℃ 이상이 될 때도 있다. 승온현상은 점점 아래쪽으로 퍼져서 2주일쯤 후에는 대류권계면까지 이르기도 한다, 돌연승온(突然昇溫) 현상은 한 겨울에 1∼2회 나타나지만 그 시기 ·장소 ·강도 등은 해에 따라 크게 다르다. 남반구의 겨울에도 관측될 때가 있지만 그다지 뚜렷하지는 않다.

[출처] 성층권 [成層圈, stratosphere ] | 네이버 백과사전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