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조랭
작성일 2011-11-20 18:27:19 KST 조회 286
제목
아래 철학 문제. (나타나라 리갈마인드)



'모든 변화에는 그 원인이 있다'는 명제도 그러한 것에 사용될 수 있다. 바로 이 후자에는 '원인'이라는 개념 자체가 결과와 연결되는 필연성의 개념이 아주 명백하게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규칙의 엄밀한 보편성이라는 개념도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흄이 그렇게 했듯이, 일어나는 현상이 앞서 있는 현상과 자주 함께 일어나는 것에서, 또 이로 인해 야기되는 습관과 함께 원인이라는 개념을 도출한다면, 필연성과 보편성을 지니는 원인 개념이라는 것은 완전히 사라질 것이다.


일단 이거 해석

: 처음 제시된 문장은 원인과 결과의 필연성을 무조건 긍정한다는 내용. '규칙'이 있으면 그게 보편성을 갖는다는 말은  연역적 추론이 성립한다면 같은 전제와 조건을 갖는 상황은 어떤 경우에든 항상 같은 결과로 연결되어야 하는, '필연성과 보편성'을 가진다는 주장을 말합니다. 흄은 그걸 반박하는 입장인데, '일어나는 현상과 앞서 있는 현상'에 관한 내용은 어떤 두 현상의 상관관계를 무조건적인 인과관계보다 그 둘 간의 경험적 상관관계, 귀납적 추론으로 어떤 사건을 바라볼 경우 꼭 '필연적 인과관계'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어떠한 사건들이 존재한다고 보는 거죠.
 
아래는 흄이 다룬 주요 철학의 문제에요. 
이 사람은 기본적으로 경험적 사실에 근거한 과학연구를 중요시했는데,
이전까지는 이성에 의해서만, 논리적 추론에 의해서만 어떤 결과에 도달하던 방법에서
좀 더 결과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 같네요. 

귀납의 문제

(summerized)

1. 귀납에 의존한 과학에는 단순한 견해에 대한 여러 가지 비판이 따른다.

2. 연역은 진리 보존적 논증이다.

3. 연역과는 달리 귀납은 결론이 참일수도 있고 거짓일수도 있다.

4. 우리는 평상시 언제나 귀납 논증을 사용한다.

5. 귀납 논증의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6. 귀납은 서로 다른 예측을 낳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닉언급 죄송합니당)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프케 (2011-11-20 18:27:4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님 짱이네요
아이콘 리갈마인드 (2011-11-20 18:33:0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헐 감사합니다. 스2갤에 어떤애가 두줄로 해석해줬는데 스2갤>xp 인줄알앗더니 다음에 한번 지식배틀을....ㅋㅋ
무튼 정말감사합니다.
아이콘 조랭 (2011-11-20 18:34:1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덧붙이자면 흄이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결정적인 근간이 되는 생각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어떤 사실을 받아들일 때 이성만으로 그렇게 하는 게 아니고, 이성이 이해한 것을 감정적으로 해석하는 단계가 있다라는 것. 그러니까 과학적 연구도 우리가 평소에 어떤 사실을 받아들이는 생각의 구조를 따라가는 게 더 진실에 가까워진다고 여긴게 아닐까 싶습니다.

전 철학 전공이 아니니 진짜가 나타나서 발리기 전에 이만 ..(..)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