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11-10-27 18:32:34 KST | 조회 | 146 |
첨부 |
|
||
제목 |
GSL 개편에 대한 간단한 개요
|
코드S의 32강 16강 탈라자는 각각 코드A에 잔류하게 되는데
32강에서 탈락하면 4위는 코드A 48강 3위는 32강부터 치르고 올라와야함.
코드S 16강에서 조 3 4등 하는 선수는 코드A 24강에서부터 치르고 올라와야함
또 코드A에서 48강에서 이긴 24명은 한번 패배도 '해외승강전'에 도전할 기회가 주어짐..
복잡하긴 복잡하네......
이해는 되는데.... 말로 설명하려니 참 x같다..... 뭐 이딴식으로 구성을 하냐.....
물갈이를 할려고 하는건 알겠는데... 좀 답답한 구성이긴함....
--------
즉 같은 코드S 라도 어느정도 까지 가서 떨어지느냐에 따라서 코드A의 스타트 지점이 다르므로 무조건 최대한 높이가는게 중요하고, 기존 3등 이상만 하면 코드S잔류하던 공무원들중 일부는 크게 위기의식을 느껴야함....
결국은 코드S의 8명만 확실한 잔류로 나머지는 물갈이 된다는 뜻이니.... 물론 그 와중에 살아남으면 되는거지만..
반대로 코드S 직행하는 사람들은 좋아진 구조..... 8자리밖에 안되는 코드S에 들어갈려고 코드A 8강뚫고 올라갔는데.. 거기서도 승강전 해서 이긴 8명만만 올라가는 방식을 탈피해, 물갈이가 쉬운 구조로 바뀜..
해외시드도 있고, 한번 탈락했다고 답이없는게 아니라 일단 최대한 높이까지 가면 패자부활전을 통해서 코드S노려볼만 한 상황이 되었으니..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