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irror.enha.kr/wiki/%EA%B7%B8%EB%9E%98%ED%85%8D
여기 보시면 아시겠지만(엔하위키지만 '인용'이고 또한 그에 따른 논거가 제대로 제시되어 있으므로 인용합니다).
.....
한 때 '모든 리그는 오로지 곰tv로만 중계해야 한며, GSL기간 에는 그 어떠한 리그도 열릴 수 없다.'라는 루머가 마치 사실인양 돌아다니며 곰tv를 까는 떡밥이 되었는데. 실제로 모든 리그를 곰티비로만 중계해야 한다라는 조항은 없다. 더욱이 GSL기간중 타 리그 개최 불가 조항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개인방송 등에서의 소규모 이벤트 리그등은 곰티비가 아닌 블리자드측과 협의를 해야하며, 블리자드 홈페이지에서 토너먼트 신청을 통해 허가를 받으면 기간과 매체에 상관없이 대회를 진행할수 있다. ###
물론 이는 개인 방송 규모의 소규모 리그 한정이며 GSL급의 대규모 리그의 경우 블리자드뿐만 아니라 곰티비측과도 협의를 해야한다.
커뮤니티들에서 2013년까지 그래텍이 스타2 방송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했기 때문에 다른 방송국에서는 스타2 방송을 할 수 없다는것 또한 사실이 아니다. 블리자드는 2013년까지 그래텍에 한국 스타2 사업권을 부여한 것이며, 현재 케이블 게임 방송국들이 블리자드에 라이센스비를 지급하면서 방송하는것과 마찬가지로 그래텍에 스타2 라이센스비를 지급하면 2013년 이전에도 스타2 리그를 개최하는것이 가능하다. 물론 스타1 라이센스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정도로 고액을 지불해야 할것이며,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케이블 게임 방송국들이 그 정도 금액을 지불해가며 스타2 리그를 개최할 것인지는 미지수.
즉, 곰TV가 독점권 개방을 하여 '라이센스비'를 가능한 한 싸게 제공하면 양대방송국(엠비시는 망했으니, 게임박스 온게임넷) 메이저 리그 체제가 불가능한 건 아닙니다.
곰TV의 판단에 달린거죠. 이 판을 더 키울 것인가 말 것인가.
가능하면 이 판을 더 키우기 위해서라도 독점권을 좀 더 개방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