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 빠기리
작성일 2011-04-28 02:30:03 KST 조회 273
제목
우리나라 게임은 독창성이 없음.

90년 부터 현재까지 본적이 없음

 

아 2000년 부턴 관심도 없음.

 

는 떡밥은 여까지.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다리짧은치타 (2011-04-28 02:30:43 KST)
0↑ ↓0
센스 이미지
창세기전 재밌긔 제대로 해본 국산게임이 이거밖에 없어서
아이콘 빠기리 (2011-04-28 02:31: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그거 많이 떴잖음.ㅋ

디스크10장이던가...

근데 당시 FF,DQ랑 너무 비슷하고

그런종류는 일본RPG게임중에 흔해서 전 안함.
아이콘 로프누가니아빠야 (2011-04-28 02:33:18 KST)
0↑ ↓0
센스 이미지
SRPG가 독창성이 뭐가있어야되죠...-_-....물론 독창성 집어넣을수야있지만 장르에 보편적이게 만들었다고 그다지... srpg의 메리트는 스토리에있는거라서....
아이콘 빠기리 (2011-04-28 02:35: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하다못해 비슷한 장르인 DQ랑 FF도 차이나요.

일단 잡시스템부터 아이템 전투시스템 등등..

근데 창세기전은 크게 다를게 없었음.
아이콘 로프누가니아빠야 (2011-04-28 02:38:26 KST)
0↑ ↓0
센스 이미지
님이보기에 독창성 없는 게임이 시리즈 전부 다 엄청난 판매량을 보였는데, 해보시지도 않고서 판단하는게 오류라고 생각하네요. 그거 했던사람들이 다 호구도아니고... 그 게임만의 메리트가 있는거고, 그 게임의 메리트가 그 게임의 '독창성'이라고 볼 수도 있는건데

(창세기전 시리즈중에 제일 졸작으로 평가절하되는 창세기전2외전 : 템페스트가 당시 스타크래프트 : 브루드워 판매량과 한달동안 비등비등하다가 판매량 1위를 뺏음)

참고로 템페스트는 님 의견대로 색다른것좀 해보려고 미연시 시스템 비슷하게 넣었다가 졸작취급당함
아이콘 로프누가니아빠야 (2011-04-28 02:40:43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리고 아까 글에 리니지1이 디아1을 배끼셨다고 용감하게 글쓰셨는데, 리니지1이랑 디아1은 아주 많이 다른 게임인걸 아시는지

일단 따지자면 디아는 mmorpg가 아니고요. (방 파서 8명까지인가까지밖에 못들어오는 식이니 mmo가 아니죠) 디아1에서의 시스템 어디가 리니지1과 비슷한지... 단순히 비슷한 장르에서 올 수 있는 보편적인 시스템들을 베꼈다고 보면. fps 모든 게임은 다 베낀거고 축구게임은 다 베낀게 되버리죠.
아이콘 빠기리 (2011-04-28 02:41:0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창세기전 물론 친구가 그냥 줬는데 안함.-_-..

분위기에 이끌려 가기도 싫었고..

한국에서 게임만들었다고 으쌰으쌰 하는 분위기가..좀.ㅋ

그냥 한국치곤 잘만든 RPG게임 정도로만 기억하지...굳이 다른 재밌는 일본게임

많은데 할필요도 못느끼고 시간도 없었음.
아이콘 로프누가니아빠야 (2011-04-28 02:46:04 KST)
0↑ ↓0
센스 이미지
디아1이 mmorpg가 아니라고설명을했더니 아니라고 다시설명해주는건 뭔지 -_-
리니지가 무슨 시스템을 배껴서 냈냐니까요... 동일한 장르에서 보편적인 시스템을 배꼈다고 표현하는게 어불성설이라 말하는거임.
아이콘 빠기리 (2011-04-28 02:53:5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잘못봤네...가물가물해서..ㅈㅅ.

동일한 장르에서 보편적인 시스템이라..

그럼 한가지 묻고싶은게..우리나라에서 장르를 개척하거나 만든게 있나요?

잘나가는 돈되는 그런 장르는 빼다박는게 우리나라 게임산업입니다.

물론 상업적으론 당연한 논리지만. 게임성에 있어선 발목을 잡는부분이겠죠.

그리고 제목부터 내용까지 글 좀 잘읽으시죠.

독창성,창조적인 면을 말하는거구요.

같은 장르에서 시스템,사냥방식,아이템,인벤창 까지 똑같이 하는건 무슨심보인가요?
아이콘 로프누가니아빠야 (2011-04-28 02:54:23 KST)
0↑ ↓0
센스 이미지
게임산업이 당연히 후발주자로 출발했으니(일본이나 미국보다 산업자체가 10년정도 늦게출발) 장르를 개척하거나 만들기에 불리했던것 또한 사실이고, 디아의 인벤토리창 문제는 거의 정석화되어서 베꼈다고하기엔 무리가있죠.
(한창 이슈가 있었는데, 베끼다기보단 매번 새로운 시스템으로 유저들을 헷갈리게 하느니 어느정도의 규격을 따라서 만들어서 혼동을 줄이자 정도로 결론남)

물론 요새 mmorpg겜들이 모두 와우따라서 인터페이스들을 만들어내는건 상당히 맘에 안듭니다만..

그리고 장르를 만든 게 전혀없진 않죠. 소프트맥스에서 과거에 서비스했던 4LEAF의 주사위의잔영은 기존에 보지못했던 장르의 게임이고...
(주사위 굴려서 전진하고, 공격, 수비를 주사위를 굴려서 높은숫자가 나온쪽이 승리, 어빌리티포인트모아서 각각 고유의 어빌리티 사용)

그리고 님 말대로 따지면 비쥬얼만 바꿔서 신작 내놓는 스퀘어에닉스는 악의축인가요?
아이콘 로프누가니아빠야 (2011-04-28 02:56:20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리고 애초에 님 말에 신빙성이 없는게 전혀 플레이 해보지도 않고서 겉으로만 보이는걸 보고 판단한게 진리인양 말씀하신다는거임, 적어도 까려면 둘다 플레이해보고나서 말씀하셔야 신빙성이 있는겁니다.
아이콘 멍팬 (2011-04-28 02:59:1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솔까 여태까지는 기존에 있던거 모방에 가까운 창조 였다면.. 이제는 조금씩 모방 틀에서 벗어나 창조에 가까워져가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생각함 ㅋ 엘리샤 아키에이지 마영전 등 과 같이 ㅋ 헉슬리도 참신했는데... 참패 +_+
아이콘 빠기리 (2011-04-28 03:00: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단 답변을 드리자면 스퀘어,에닉스 중에

비주얼만 바꾸었다라...그게 DQ,FF를 말씀하시는거 같군요..

그건 자사 게임이라 상관없다고 봅니다...

문제는 예를들어 캡콤이 스퀘어,에닉스 RPG류를 그렇게 해놓은게 있나요.

브레스오브화이어란 캡콤 RPG게임 있죠..님말씀대로 RPG 정석(이것도 솔직히 좀웃김)

으로 했지만 다른시스템은 차별화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스퀘어도 그렇고 에닉스도 그렇지만 RPG말고 다른 장르의 게임을 할땐

독창적인게 많습니다. 에닉스 게임이죠? '버스트어무브' 그게임이 현재..

우리나라에선 또 배꼈죠..뭐...오디션?

똑같죠.아닌가요?

KONAMI사의 DDR같은경우에도 발판 모양 바꾸었다고 펌프가 독창성 있는걸까요?

물론 흔히 잘모르는 게임을 그럭저럭 지나가면서 즐기는 유저가 보기엔 그렇겠지만.

이미 그전에 해봤던 사람들은 한국게임 너무 심하다 싶을거예요.

그만큼 창조성 없고 배끼기 급급함..
아이콘 로프누가니아빠야 (2011-04-28 03:07:04 KST)
0↑ ↓0
센스 이미지
한국게임이 너무 심하다싶으면 진작에 표절소송 들어왔구요 -_- 오디션같은 경우는 모르겠고,(리듬액션 게임류는 관심이없다보니)

애초에 제가하고싶은말은 우리나라 게임이 베끼는게 없다 가 아니라
모든 우리나라 게임이 베끼기만 하고 독창성이 없다는건 아니란 거임

특히나 우리나라 rpg게임 대히트작인 창세기전이 독창성 없다고 치부하시는건 상당히 위험한 발언이란거는 아셔야합니다. 전 시리즈를 해보셨는지 모르겠는데, 시리즈마다 시스템이 살짝식 발전해왔고, srpg는 시스템보다 원래 스토리가 절반 먹고 들어간다는걸 아시는지 -_-

그리고 디아1을 리니지1이 베꼈다는건... 쩝 할말이없네요. 보편적 스탠다드를 따랐다는 이유로 베꼈다는 소리를 들어야 한다니... 위닝이랑 피파는 동일 회사에서 만든 게임인가요 그렇게따지면?

그리고 님 말대로 일본의 모든게임들이 독창성 넘치는건 아님ㅋ 일본 게임도 도찐개찐인 게임들 정말 많음

그거가지고 우리나라는 어떠느니 일본은 어떠느니 식으로 가는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라고 보네요.

우리나라의 게임 업계 종사자들 엿먹이는 짓이기도하고... 그리고 독창성 있는 게임이 다 성공하는것도아니고, 독창성있는 게임들이 많이 사장되기도 했죠. 그라나도 에스파다도 나름 독창성 넣고 대규모 자본끌어들여서 했는데 망했고요.
아이콘 빠기리 (2011-04-28 03:18:0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표절 소송이라..

디아1 처음나왔을때 혹시 잡지사에서 나온 글들 읽어보셨나요?

저도 의문이 드는게 왜 '특허'신청을 하지 않느냐였는데..

게임산업에선 그게 없는걸로 압니다...

ACTRPG 같은 새로운 장르에 대한 부담감이나

잘되었을 경우 타게임사에서 모방하면 어쩌냐..뭐 대충 이런 내용이였는데..

이부분은 저도 확실하지 않아서...(카더라로 생각해주셈)

그렇다면 양심껏 게임을 만들어야지.. .

님 말씀대로 리니지 안해본게 문제라면 문제겠지만..

뒤에서 친구가 하는거 봤고 "해볼래?"하는순간 디아 배꼈네 "와~이벤창도 똑같네"

안해 ㅄ게임이네 하는데 해볼생각이 들겠음?

이후 엄청 뜨더만.ㅋ PC방 때마침 폐인들도 생기겠다..

물론 안한건 제 잘못이겠지만.ㅋ

양심껏 게임을 만들어야죠...우리나라 개발사들 노력하겠죠.

혹,또 모름..독창성 있게 개발중에 사장이 "야 요새 이런류의 게임이 잘나가잖아"

이럴지도..하지만 한국 게임이 형편없다는건 사실이고

그런 사실을 말도 하지 않는건 좀 웃기다고 생각하네요.

패턴?님이나 저같이 짧은 사람들 생각으론 그냥 그회사가 특허내었으면 좋겠어요.

그장르는 그회사만 내게.

근데 그쪽 업계 사람들 본인들이 안내는걸 어쩌겠음..ㅋ

그리고 대량 카피본 게임들은 유저들이 선택하는거겠죠.

리니지,아이온,펌프등등 하는건 뭐라안함 창세기전 했다고 제가 뭐라했나요?

어차피 선택임.

근데 배낀게 좀 심한 게임인건 사실이고,

그게 우리나라 게임 현실이잖음.
아이콘 로프누가니아빠야 (2011-04-28 03:20:55 KST)
0↑ ↓0
센스 이미지
애초에 게임이 흥행하려면 범용적인 스탠다드는 필요한게 현실이고
예를 들어 블리자드의 스타, 와우도 완전히 독창적인 게임은 아님.
와우의 인터페이스는 다옥이랑 에퀘에서 들고온거고 스타는 토탈 어나힐레이션의 영향을 받은거고

다만 블리자드가 대단한건 그걸 따와서 글로벌 스탠다드로 만들었다는거임. 범용적인 즐거움이 없으면 어떻게 그 게임이 흥행할수 있겠음? 완전히 독창적인 게임으로 만들면 그만큼 진입장벽이 크다는거고, 매니악 게임이란 얘기밖에안됨.

현대인들의 편리성을 찾는 특성을 보았을때, 매니악 게임은 흥행과 먼 얘기고, 스탠다드를 따를 수 밖에 없는건 현실임

다만 이 스탠다드를 따랐다고 해서 표절이니 베꼈다느니 하는게 어불성설이라 제가 댓글을 다는거임. 애초에 게임 보기에 비슷해보여도 실제로 플레이해보면 속은 아예 다른게임들이 많음.

표지가 비슷하다고 해서 속 콘텐츠가 같진 않음.
아이콘 빠기리 (2011-04-28 03:25:0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ㅋㅋ 말이 길어지니 결론만 물을께요.

한국 게임이 독창성이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이게 제 제목입니다만.

혹시 축구 좋아하신다면 지금 엘클라시코 하니깐 보시구요..

재밌는 대화 즐거웠네요.
아이콘 로프누가니아빠야 (2011-04-28 03:25:59 KST)
0↑ ↓0
센스 이미지
독창성 있는 게임은 충분히 독창성 있죠 다만 그 게임들이 흥하지 못했으니 문제지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