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11-04-07 14:38:25 KST | 조회 | 162 |
제목 |
스1이 뜬걸 피시방이라고만 보기는 무리수
|
스1 나왔을 때 제가 중학교 입학하면서 그때 제일 잘나가는 게임.
스타, aoe랑 제가 좋아하던 대항해시대2 확장팩을 샀던걸로 기억하는데.
게임이 나왔을 때 단순히 타이밍 때문에 성공한 것만은 아니죠.
물론 성공요인에 지배적인 요소 중 하나라고 볼 순 있지만.
초고속인터넷과 pc방들이 생겨나지 않았으면 스1이 성공할리 없었던건 분명하지만.
그 당시에 유명했던 다른 게임들은 다 무너지고 스1만 성공했습니다.
게임의 완성도랑 그리고 그 당시의 대중들의 유행이 뭔지도 함께 고려해야됨.
이때만 하더라도 온라인게임은 패키지 게임 망하면서 이제 꾸물럭대던 시기였고, 스타크래프트 하면서 학교에서 "한판 뜨자" 뭐 이런 분위기가 유행해서,, 학교별 대항전도 많이 생기고 심지어는 pc방 대표들끼리 모여서 대회하고 저도 중학생인데 아주 작은 동네 pc방 대표로 대회나갔다가 7분만에 6저글링 당하고 광탈한 기억이 있네요.
마찬가지 이유로, 당시에는 pc방 뿐 아니라 아케이드 게임이 유행이었는데.
가장 유명했던게 kof 시리즈. 가장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던게 3d게임인 버츄어 파이터.
근데 가장 성공해서 대중적으로 알려진건 철권3 이후에 철권tag였다는.
게임이 성공한건 단순히 타이밍 만으로 되는건 아닙니당.
피시방 다니면서 퀘이크3를 엄청 재밌게 했었는데,, 같은 타이밍에도 퀘이크3보다는 레인보우6가, 레인보우6 보다는 결국엔 카스가 살아남더군요.
같은 타이밍이라도 뭐가 더 인기있고 대중적인 유행을 타느냐의 싸움이죠.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