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 Deathferado
작성일 2010-11-05 09:10:54 KST 조회 523
제목
요번 GSL 2는 좀...

 

래전드들의 참가로 굉장히 시끌벅적했고 엄청난 흥행에 성공했지만

 

사실 내용물은 굉장히 참담했다고 생각함.

 

아마 블리자드쪽에선 자신들의 명백한 실수에 당황하고 있을 것.

 

 

밸런스적인 측면과 유저 수 조정 실패가 바로 그것일 듯.

 

오픈시즌1에서도 4강에 토스 전무.

오픈시즌2에서도 4강에 토스 전무.

심지어 오픈시즌2에서는 상당히 많은 TvsT 전.

( 래전드들의 참여가 아니였다면 사실 흥행 실패는 따놓은 당상. )

오픈시즌1에서 멸종에 가까웠던 저그들이 오픈시즌2에서 16강까지 엄청난 수가 올라왔던것도 그 점.

( 16강 7저그 , 6테란, 3토스 )

 

사실 객관적인 측면에서 보려고 노력하는 팬의 입장에서 볼때,

밸런싱 작업이 뼈대를 갖추고 있는 상황에서,

즉, 게임이 발매되자 마자 1억 상금 규모의 대규모 대회가 열리는건 좀 에러였다고 봄.

물론 곰티비 입장에선 빠르게 선점하고 경쟁사에 비해 우위에 서고 싶었겠지만

시즌1, 시즌2의 통계를 놓고 볼때 현재의 스타크래프트2 오픈 리그는

객관성있고 신뢰있는 리그라고 보기 힘듬.

 

 

게임의 밸런스라는건 기본적으로 게임 개발사에서 조정하고

유저들이 가다듬는 것인데,

이런 밸런스 조정에 필요한 기간이 심하게 짧았다는게 문제.

 

 

방송 자체는 대박을 치고 있지만, 블리자드 이 부분을 인지하지 못했을 리도 없고

물론, 지금 기회를 잡은 곰티비가 이 부분에 크게 관여할 리도 없겠지만

시간이 해결해 줄 문제라, 팬의 입장에선 마냥 기다릴 수 밖에 없다는것도 좀 안습.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베플 아이콘 [파워맨] (2010-11-05 09:26:54 KST)
3↑ ↓0
센스 이미지
곰티비의 라이벌 기업사들에 대한 우위 선점을 목적으로 엄청나게 큰 상금으로 홍보를 때렸고 <<-- 이거 신뢰가 가는 글인가요? 아니면 글쓴이 생각에서 나오는 글인가요?
아이콘 Asriel (2010-11-05 09:12:38 KST)
0↑ ↓0
센스 이미지
벌써부터 토스가... ㅠㅠ
Deathferado (2010-11-05 09:13: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이러면 또 토스 우승자는 영웅소리들을듯.
문만이 (2010-11-05 09:15:25 KST)
0↑ ↓5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신고가 접수된 댓글입니다. 댓글 내용을 보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Deathferado (2010-11-05 09:16:1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어휴 ㅋㅋㅋㅋㅋㅋ 그냥 웃고갈게요.
아이콘 테오시스 (2010-11-05 09:17:1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근데 스타1도 토스 16강 진출자 1명 이런 경우도 있었으니 딱히 스1에 비해서 벨런싱이 나쁘다고 하기 뭐합니다
아이콘 회색의검 (2010-11-05 09:17: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토스빼곤 딱히 불만은 없을듯...
솔직히 래전드가 올라와서 어느정도 한쪽으로 몰아논 감도 있어서
Deathferado (2010-11-05 09:18:3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스1과 비교해야되는 의무가 있는건 아니죠. 비교할 필요도 없구요. 10년이 지나서 개발 된 게임인데, 지금 가장 아쉬운건 블리자드가 스타2를 E스포츠 종목으로 채택하기 위해 너무 성급하게 움직인게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문만이 (2010-11-05 09:18:41 KST)
0↑ ↓6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신고가 접수된 댓글입니다. 댓글 내용을 보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Deathferado (2010-11-05 09:19: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회색 // 한 종족을 플레이하는 객관성 없는 유저의 입장에서 본다면, 토스빼곤 불만이 없겠죠. 하지만 넓은 시야에서 GSL 자체의 팬의 입장에서 보자면 이건 분명 문제죠.
Deathferado (2010-11-05 09:19:4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문만 // ㅋㅋㅋ 그냥 웃을게요.
아이콘 SchwarzKater (2010-11-05 09:19:48 KST)
0↑ ↓0
센스 이미지
하지만 열리지 않는편보다는 조금더 스타2를 보편화시키고 기존 유저들의 흥미를 끈다는점에서 홍보효과는 충분히 누리고 있지않을까요?
문만이 (2010-11-05 09:20:34 KST)
0↑ ↓6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신고가 접수된 댓글입니다. 댓글 내용을 보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이콘 Char-Aznable (2010-11-05 09:21:33 KST)
0↑ ↓0
센스 이미지
ㄴ 그렇다고 이런 댓글을 달 필요는 없죠. 그리고 글쓰진 분이 리그 열지 말라했습니까. 초기 치고 너무 규모가 큰 리그가 아닌가 라고 하는 거죠
아이콘 [파워맨] (2010-11-05 09:22:28 KST)
0↑ ↓0
센스 이미지
스타1 도 밸런스 맞추는데 7년 걸렸습니다

그만큼 밸런스 맞추는거 힘듭니다

밸런스를 맞출때까지 기다릴순 없잖습니까

밸런스가 다 맞춰지도 않은채 열린 온게임넷 스타리그는 객관성있고 신뢰가 없는 리그였군요
Deathferado (2010-11-05 09:23:57 KST)
0↑ ↓1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파워 // 상대적인 비교죠. 흐지부지한 밸런스 상태에서 곰티비의 라이벌 기업사들에 대한 우위 선점을 목적으로 엄청나게 큰 상금으로 홍보를 때렸고, 실제로 밸런스가 불완전한 상태에서 총 상금 3억 규모의 대회를 개최한게 에러라는겁니다. 감정적인 비교는 무의미하겠죠.
문만이 (2010-11-05 09:24:05 KST)
1↑ ↓4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규모큰건 대체 왜 문제가 되지? 밸런스 맞추기전에는 1000만원짜리만 열고 맞추고나야 1억짜리대회열어야 타당해요? 이건뭐 돈많이 줘도 징징징징
문만이 (2010-11-05 09:25:00 KST)
1↑ ↓3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Deathferado 그니까 억단위 대회를 연게 왜 에러인지 좀 말해줘봐요
Deathferado (2010-11-05 09:25: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그러니까 너 몇살인지 말좀해줘봐요.
Deathferado (2010-11-05 09:26:1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스꼴스꼴하면서 스1 까는 사람들이 정작 스2꼴짓 하고 있으니... 정말 ㅋ 문만님같은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때문에 국민성이 냄비로 까이는거 아닌가 생각되네요.
문만이 (2010-11-05 09:26:27 KST)
0↑ ↓3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봐 못말하자나 그냥 넌 단지 밸런스가 맘에 안드는거야. 억단위 대회가 대체 왜 문제야? 말하지도 못하자나
아이콘 [파워맨] (2010-11-05 09:26:54 KST)
3↑ ↓0
센스 이미지
곰티비의 라이벌 기업사들에 대한 우위 선점을 목적으로 엄청나게 큰 상금으로 홍보를 때렸고 <<-- 이거 신뢰가 가는 글인가요? 아니면 글쓴이 생각에서 나오는 글인가요?
문만이 (2010-11-05 09:27:11 KST)
0↑ ↓4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냥 밸런스나 징징거려 쓸대없이 상금으로 태클걸지말고
아이콘 Char-Aznable (2010-11-05 09:28:51 KST)
0↑ ↓0
센스 이미지
ㄴ 님은 일단 네티켓부터 좀 배우고 오세요
아이콘 프로토스의희망 (2010-11-05 09:29:42 KST)
1↑ ↓1
센스 이미지
여기서 스2까면안돼요 벌레같이몰려들어요;
Deathferado (2010-11-05 09:30:2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파워 // 사실이죠. 생각 할 여지가 없는 부분입니다. 기업 경제 체제에서의 기본이구요. 곰티비는 온게임넷이나 엠비씨게임에 비해 굉장히 규모가 작고, 게임이란 부분에서는 논외의 대상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온게임넷과 엠비씨가 블리자드와의 지재권, 방송송출권에 협상에서 난항을 겪었고 이 부분에서 그레텍이 손쉬운 협상에 성공, 곰티비와 연결. 간신히 게임 방송계에 비집고 들어온 곰티비가 크게 판을 벌일 수 있는 단 하나의 방법이었죠. 실제로 GSL은 엄청난 규모의 상금과 첫 메이저 대회라는 두가지의 미끼로 최근 흔들리고있는 온게임넷, 엠비씨 게임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준에 올라서게 됐구요.
Deathferado (2010-11-05 09:30:4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프로토스 // 까는게 아닙니다 ^^; 스2팬이구요. 건전한 Feedback 을 하자는거죠.
문만이 (2010-11-05 09:31:25 KST)
0↑ ↓1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근데 그게 왜 나쁜거에용? ^^;
Deathferado (2010-11-05 09:32:1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파워 // 실제로 타 대회들의 평균적인 우승 상금 수준을 고려했을때 총 상금규모 3억은 어마어마한 수치인것을 고려하면, 쉽게 이해가 가능할것입니다.
아이콘 감좌님 (2010-11-05 09:36:07 KST)
0↑ ↓0
센스 이미지
문만님의 말씀처럼 이 글의 논조가 다소 애매하다고 생각합니다만..
주장하시는 바가 이건가요?

"완벽한 밸런스를 맞출때 까지는 억 단위에 규모가 큰 리그를 홍보까지 때리면서 열어서는 안된다"
일단 조건부터가 말이 안됩니다. 애초에 완벽한 밸런스는 없구요. 그건 걍 동족전이겠죠. 그리고 밸런스가 완벽하더라도 선수들 기량의 차이가 있고, 전세계적인 게임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플레이 스타일에 맞춰서만 밸런싱이 되는게 아닙니다. 밸런스가 완전 개 시망이라면 모를까, 물론 플토가 요즘 힘들긴 하지만 아예 GSL을 깔만큼 문제가 되는 건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그리고 규모가 큰것에 대해서 왜 비판을 하는지 그 이유가 궁금하네요. 논리가 없으신듯 한데. 그냥 밸런스에 대한 딴지라면 모를까 논지가 좀 이상하네요.
아이콘 [파워맨] (2010-11-05 09:39:38 KST)
0↑ ↓0
센스 이미지
글쎄요 제 의견은 좀 틀리네요. 단지 온게임넷 엠겜과 어깨를 나란하기 위해 상금 규모가 큰 대회를 연다는건 좀 아닌거 같네요.

스타2를 배경으로 한 큰 대회가 아직 없었고 또한 스타2를 홍보하기 위해 블리자드와 곰티비가 협력해서 GSL을 만든거라고 봐도 무방한데요
1억이라는 규모의 대회를 곰티비 혼자 다 감당할수는 없을거라 봅니다
당연히 블리자드의 개입이 있구요. 실제로 블리자드가 스타2의 e스포츠화에 굉장히 신경쓰고 있습니다.
Deathferado (2010-11-05 09:40:2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완벽한 밸런스를 운운한 적도 없구요. 억 단위의 규모가 큰 리그를 홍보까지 떄리면서 열어서는 안된다고 한 적도 없습니다 ^^; 글 자체를 읽어주세요. 밸런스 조정에 가장 중요한것은 시간입니다. 위 댓글중에도 언급했지만 개발사가 만들면 조정은 유저들이 하죠. 근데 이런 중요한 밸런스의 조정 기간이 생략된 체 열린 리그입니다. 만족할만한 수준의 밸런싱이 되었을 리 없단 말이죠. ( 여기서 만족할만한 수준의 밸런스를 가지고 또 태클을 거실지 모르겠으나, 완벽과 만족할만한 수준은 엄연히 차이가 있죠. ) 그리고 객관성과 신뢰성있는 리그라고 명시한 이유는, 역시 글을 잘 보시면 아시겠지만 상금의 규모를 가지고 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승패라는 명확하고 명시할 수 있을만한 객관적인 통계자료에서 비롯된 논지 강화입니다. 댓글만 보고 글을 쓰시는건 제가 언플로 다굴당할 소지가 있으니 -_- 글을 좀 읽어주세용 ~
아이콘 지하철폐인 (2010-11-05 09:41:10 KST)
0↑ ↓0
센스 이미지
뭐 토스때문에 밸런스 문제가 생기긴한데....뭐 일단 흥했으니 점차 밸런스는 맞춰지겠죠..
아이콘 테묵묵 (2010-11-05 09:41:5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밸런스를 뒤로하고 곰티비를 까는듯한 어조인데?흠흠
Deathferado (2010-11-05 09:43:4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파워 // 상당히 로맨틱한 이야기죠. 양 기업사가 협력해서 하나의 게임을 E스포츠화 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경제적 관점이 배제된 단순한 ' 팬심 ' 의 입장에서 볼때는 충분히 이런 생각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무엇을 위해 블리자드가 E스포츠화 시키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으며, 무엇을 위해 곰티비가 블리자드와 함께 무리한 상금선을 결정했고, 무엇을 위해 곰티비가 단독으로 빠르게 스타2 리그를 송출하고 있는가를 생각해 보면, 이런 팬의 입장에선 아쉬움이 남는다는 이야기 이죠. 아 물론, 파워맨님의 말씀은 잘 이해했고, 틀렸다는 말씀을 드리는것도 아닙니다. 사실 유야무야 될뻔했던 스타2의 국내 흥행을 성공시킨건 곰티비의 발빠른 방송 송출 대처에 있었다는 것에는 크게 공감합니다.
Deathferado (2010-11-05 09:44: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테묵 // 어떻게 하다보니 그렇게 되버렸네요. ㅋ . 깐다기보다는 아쉬움이 있어 쓴 글이다. 라고 생각 해 주시면 감사하겠네요. 어디까지나 스타2를 사랑하는 팬의 입장에서 쓴 글이니까요.
문만이 (2010-11-05 09:45: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글쓴이/ 왜 본문이랑 다르게 댓글은 산으로가지? 이제 자기가 본문에 뭘썻는지도 까먹은듯
아이콘 [파워맨] (2010-11-05 09:47:18 KST)
0↑ ↓0
센스 이미지
무엇을 위해 블리자드가 E스포츠화 시키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으며 <- 말 그대로 자회사 콘텐츠인 스타2를 e스포츠화시킬려구요

무엇을 위해 곰티비가 블리자드와 함께 무리한 상금선을 결정했고 <- 마찬가지로 스타2의 세계화와 e스포츠화

무엇을 위해 곰티비가 단독으로 빠르게 스타2 리그를 송출하고 있는가 <- 아시다시피 단독으로 할수밖에 없었죠

이런 팬의 입장에선 아쉬움이 남는다는 이야기 이죠 <- 어떤 부분에서 아쉬움이 남는다는지 모르겠네요
문만이 (2010-11-05 09:50:1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쉬움=토스가 4강에 없는것=그래서 1억대회는 열면 안됨! 응????
Deathferado (2010-11-05 09:50:2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말씀해주신 자회사콘텐츠스타2 e스포츠화, 세계화 e스포츠화, 단독으로 할수밖에 없었던 상황 모두가 경제적 논점과 상관관계가 있다는거죠. 어떤 부분에서 아쉬움이 남는지는 위에서 다 이야기 했구요 ^^;;
아이콘 감좌님 (2010-11-05 09:50:27 KST)
0↑ ↓0
센스 이미지
"즉, 게임이 발매되자 마자 1억 상금 규모의 대규모 대회가 열리는건 좀 에러였다고 봄." 이렇게 써 놓으셨는데요. 이 문장의 초점은 분명 '개임이 발매 되자마자' 와 '1억 상금 대규모 대회' 에 있는데요? 제가 어느 부분을 놓쳤나요? 분명히 글에서 쓰신 부분인데요.

밸런스 조정의 시간이 없었다구요? 클로즈 베타 오픈베타 몇개월 했는지 아세요? 그리고 이런 프로리그가 밸런스 조정에 얼마나 많은 자료가 되는데요. 실제로 상위 랭커들의 밸런스 조정을 위해서 블리자드에서 프로리그를 지켜봅니다. 지금 밸런스가 맞춰나가고 있는 도중이라는 건 맞지만, 그것 때문에 리그 자체가 성급하다고 이야기 하는 논리는 좀 이상하군요
아이콘 감좌님 (2010-11-05 09:51:50 KST)
0↑ ↓0
센스 이미지
저도 프징징중 하나입니다만 참 이글 이상하군요
문만이 (2010-11-05 09:52:1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자기가 본문에 뭘써놨는지 까먹음
아이콘 [파워맨] (2010-11-05 09:53:55 KST)
0↑ ↓0
센스 이미지
한가지 추가하자면 클로즈베타 총 횟수로 6개월 했습니다

이 기간동안 어마어마한 밸런스 패치가 이루어졌구요.

피드백 엄청 활발했습니다.

이렇게 해도 아직 못맞추는게 밸런스입니다.

Deathferado 님 글 잘 읽었구요 좋은 토론이었습니다 ㅎㅎ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