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매왕
작성일 2010-10-21 10:05:20 KST 조회 527
제목
GSL의 의도가 뭘까? 왜 이렇게 빠른 경기 진행??

스1에 비해 훨씬 더 큰 규모의 상금을 제공하는 GSL에 관한 의문점이...

 

보통 스1은 한 시즌당 3개월 가량의 진행을 가져 가는데..

조 지명식이라는 이벤트 등도 구성하는 등..

시청자의 볼거리 보다는 프로그램 편성 양 및 광고 수익 등을 염두해 둔 편성을 가져 갑니다.

이에 따라, 선수들도 상대 선수에 대비한 준비 시간도 길어 지고, 경기 내용도 알차 지는데..

 

이에 반해 GSL은 폭풍 진행..

하루에 8경기씩 주 5일제로 소화하고, 64강 부터 결승까지 1개월이면 뚝딱..

게다가 엄청 빠른 VOD 업데이트 때문에 궂이 Live를 고집할 필요가 없습니다.

대부분 VOD를 접하게 되면 플레이 바를 조절해서 경기만 보고 빠져 버리는데..

이렇게 되면 광고 효과도 반감 되며, 이로 인한 광고 수익 저조..

너무 빠른 진행에 선수들의 준비기간도 짧아서 그날의 컨디션이나,

상대 날빌 운영 등에 망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등,

 

과연 현 상태의 GSL 체제의 성적을 진정한 성적으로 평가 받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시청자의 입장에서야 빨리 경기를 볼 수 있고, 그 결과를 빨리 알 수 있으니 좋긴 한데..

그렇담, 왜 이런 진행을 하고 있을까요?

 

첫째. 곰TV가 아직 리그 진행 경험이 없어서 그렇다.

둘째. 스2의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한 전략적인 움직임이다.

세째. 곰TV는 사업성 보다는 시청자를 위한 방송을 한다.

 

음.. 과연 뭘까? 이들이 그리는 큰 그림의 실체는...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베플 아이콘 로데스 (2010-10-21 10:06:05 KST)
6↑ ↓1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ㅡㅅㅡ 정확하게 알고 씁시다.
조금만 찾아봐도 gsl 이렇게 강행하는 이유다 나오는데
아이콘 제시카갤러리 (2010-10-21 10:06:01 KST)
1↑ ↓1
센스 이미지
올해까지는 정규리그라기보다는 이벤트+준비리그 성격임
아이콘 로데스 (2010-10-21 10:06:05 KST)
6↑ ↓1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ㅡㅅㅡ 정확하게 알고 씁시다.
조금만 찾아봐도 gsl 이렇게 강행하는 이유다 나오는데
아이콘 다빈치. (2010-10-21 10:06:20 KST)
0↑ ↓1
센스 이미지
오픈리그라 그래요

내년부터 정식리그하면 차차 제대로 해 나갈꺼

지금은 코드따기 대회

다음 3차가 오픈리그 마지막이라죠
아이콘 흑인경비원 (2010-10-21 10:06:34 KST)
0↑ ↓1
센스 이미지
개스파 음모론
아이콘 바다위의달 (2010-10-21 10:06:58 KST)
0↑ ↓1
센스 이미지
내년부터 정식으로 리그 출범하려고 올해는 시범경기 성격이라 빠르게 진행하는듯
아이콘 kenny.shin (2010-10-21 10:07:04 KST)
0↑ ↓1
센스 이미지
프리시즌이라.. 코드S 뿌리고 내년부터 지대로 시작이죠
아이콘 Aver (2010-10-21 10:07:13 KST)
1↑ ↓1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올해까지 시즌3 진행해서 코드S를 모두 부여 할려는 일정이여서그런거 같네요.
코드S 다 부여되고 이제 S,A나뉘게 되면 그때부터 여유있게 경기가 나뉘지 않을까 싶어요
anarchists (2010-10-21 10:07:14 KST)
1↑ ↓1
센스 이미지
GSL홈피 가보시면 큰그림 잘나와있습니다 고갱님
Ember. (2010-10-21 10:07:25 KST)
0↑ ↓1
센스 이미지
단순하죠. 이렇게 64강 몰아치기하는건 블리즈컨 영향이 클테고,
1달에 1시즌 하는건 내년 본격적인 여러가지 대규모 스2리그를 계획대로 진해하기위해
올해 코드S 선수들을 확보해야되니까요.
홍보효과의 파급력도 더욱 크고, 여러가지 다양한 요소가 합쳐져 지금의 체제가 된듯
아이콘 매왕 (2010-10-21 10:07:40 KST)
1↑ ↓1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정식리그가 아니군요.. 그렇다면 우승자에 대한 Respect도 정식리그에 비해 조금 떨어진다고 봐야 하는 건가..
아이콘 다빈치. (2010-10-21 10:08:18 KST)
0↑ ↓1
센스 이미지
ㄴ 그말도 맞음
아이콘 Aver (2010-10-21 10:09:5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정식리그는 맞지않나요. 이쪽은 잘 몰라서
주목할껀 계쏙 비추 누르는 한분이 있다는 겁니다.
아이콘 매왕 (2010-10-21 10:16:19 KST)
1↑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2의 활성을 위해, 스1의 프로게이머의 이동을 독려하고, 코드S를 부여 하는 과정에 자동으로 시청자들에게 선수들을 소개 하고, 팬층을 만든다! 이런 전략이라면 매우 좋은 전략이라 생각 됩니다. 다만, 3번의 오픈리그를 치르는 비용 및 상금이.. 통상 E-Sports의 예로 봤을 땐 파격 적이라는게 놀랍군요. 저 같은 마케터 입장에서는 솔직히 부럽네요.
아이콘 호크윈드 (2010-10-21 10:48:42 KST)
1↑ ↓0
센스 이미지
마케터시라면 이런 글을 쓰기 전에 정보를 뒤져 보시고 케이스 스터디로 삼으시는 게 더 낫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마케팅적 관점에서 GSL과 오픈 토너먼트를 여는 방식 등은 아주 좋은 공부거리랍니다. 그렇게 뒤져보고 스터디를 해 보시면 비용 및 상금 등이 단순히 부러운 일을 아닐 듯 하네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