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Vetu
작성일 2010-09-30 14:07:22 KST 조회 539
제목
스타1이 대흥행을 한 이유.

첫번째.

일단은 게임자체가 참으로 신기했음. 일꾼이 돈을 캐면서 병력을 모아서 전투하는 스타일이라는 거 자체가

당시에는 거의 전무했었음. 거기다가 저그의 무시무시한 건물, 테란의 사이버틱한, 프로토스의 신비한 건물을

보고 있노라면 환상적이었음. 한 마디로 생전 처음보는 게임이었음.

 

두번째.

그 당시에는 게임자체가 별로 없었음. 스타1 처음 나왔을 당시에 본인도 어렸어서 생각이 잘 안나지만.. 대략,

바람의 나라, 포트리스, 레인보우 식스? 뭐 그정도 였음. 그 밖에는 채팅프로그램이 유행했었음. 물론 이 중에서

스타1이 가장 유행했음. 왜냐하면 제일 재미있었기 때문.

 

세번째.

극적인 타이밍과 프로게이머. 당시 우리나라는 인터넷이 빠르게 보급되던 시기였음. 모뎀 시대에서, 광랜?으로

넘어가는 시기였는데 메가xx, 두루x 등의 인터넷 회선이 유행이었음.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배틀넷이 가능한

스타1이 뜰 수 있었음. 그리고, 당시에 '임요환'이라는 걸출한 프로게이머의 등장과 함께 스타1 인기 대폭팔!

 

사실, 본인이 말한 이 타이밍의 스타의 가장 황금기라고 할 수 있음. 다를때도 엄청난 흥행을 하기는 했지만,

지금 내가 언급한 시기가 가장 붐을 일으켰을때라고 생각함. 스타2도 재미있음. 하지만 신기하지는 않음.

스타1은 신기했음. 그리고 충격적이었음. 그게 흥행의 결과임.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베플 아이콘 글로리아체펫트 (2010-09-30 14:07:58 KST)
4↑ ↓0
센스 이미지
첫번째는 좀 아니네요.
아이콘 글로리아체펫트 (2010-09-30 14:07:58 KST)
4↑ ↓0
센스 이미지
첫번째는 좀 아니네요.
아이콘 글로리아체펫트 (2010-09-30 14:08:46 KST)
0↑ ↓0
센스 이미지
당시 온라인겜이 없었다는거랑 피씨방 보급에 큰 역할을 한 것은 맞는듯 'ㅅ'.
철가면z (2010-09-30 14:08:5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정말 스타1은 신의 타이밍이라고 불리울정도로 흥할 요소가 딱딱 맞아 떨어졌습니다.
coKOco (2010-09-30 14:09:1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꾼이 돈을 캐면서 병력을 모아서 전투하는 스타일이라는 거 자체가 당시에는 거의 전무했었음.
이거부터가 좀,. 아닌듯...
아이콘 -StarWars- (2010-09-30 14:09:20 KST)
1↑ ↓0
센스 이미지
첫번째는 완전 뻘글이네요..
그 당시가 아니라 RTS 는 전부 이런식 이였음;;
그 당시 최고의 게임은 스타가 아니라 토탈어나힐레이션 이라고 평 받았었음..
다만 스타가 확 오를수있던건 배틀넷이라는 멀티플레이를 받쳐주는 시스템때문이였음
아이콘 ENDLICHERY (2010-09-30 14:09:24 KST)
0↑ ↓0
센스 이미지
1번은 C&C 가 대표적이죠
아이콘 [닭별] (2010-09-30 14:09:4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세번째 것도 아닌듯
스1 처음 즐길때
천리안 썼었는데.
쭈쭈가오 (2010-09-30 14:09:5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전 셋다 아닌거 같은데..=.=;;;; 일꾼으로 자원캐는 게임 그 전부터 있었고 스타 발매할 당시에도 게임 많았고 그리고 임요환은 스타 부흥하고 프로게임판이 커진후에 나온거 아님?
아이콘 Koccam (2010-09-30 14:09:57 KST)
0↑ ↓0
센스 이미지
두번째 마지막줄 '제일 재미있었기 때문' 지극히 주관적이라 공감안감;
[Virus] (2010-09-30 14:10: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타1 처음에 만져보면서 받은 충격이 지금도 그대로 기억납니다..
그런데 스타2 하면서는 그런 충격은 없고 그냥 확장팩 나온거 처럼 느껴졌어요...

스타1은 SCV 미네랄 캐는 소리만 들어도 전율이 왔었는데...
아이콘 미루자 (2010-09-30 14:10:43 KST)
0↑ ↓0
센스 이미지
1번은 임진록도 있고...
아이콘 사용설명서 (2010-09-30 14:10:50 KST)
0↑ ↓0
센스 이미지
두달밖에 안됐기때문에 황금기라 말하긴 뭐함.. 98년도에 스1출시되고 99년도에 임요환이라는사람이 나왔으니.. 아직은..
아이콘 해삼멍게말미잘 (2010-09-30 14:10:5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첫번째가 아닌게 일단 워크래프트1,2가 있잖삼
아이콘 빛에가려진 (2010-09-30 14:11:2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ㄴ
1. 당시에 전략시뮬은 많았고 인지도는 웨스트우드가 더 높았지만 빠른 게임스피드와 손쉬운 인터페이스로 스타가 승리.
2. EA의 C&C와 AOM은 온라인 컨텐츠인 배틀넷에게 처참하게 개박살.
멀티플레이가 대세가 될거라는 흐름을 잘읽은 블리자드가 승리

게임끝 gg
아이콘 k_alsearin (2010-09-30 14:11:45 KST)
0↑ ↓0
센스 이미지
1번은 영 아닌거 같네요

당시 aoe1 토탈 cnc등의 게임들이 있었는데 말이죠
아이콘 Fact (2010-09-30 14:11:51 KST)
0↑ ↓0
센스 이미지
삼국지 천명도 있었죠..

근데 별로 주위에 하는사람은 못본듯;;
아이콘 Polapo (2010-09-30 14:11:57 KST)
0↑ ↓0
센스 이미지
1. 스타가 최초엿던건 3종족개념
3. 다른거보다 당시에 딱 맞춰서 일었던 피시방붐이 큼. 피시방이 스타를 띄운건지 스타가 피시방을 띄운건지.. 하여튼 그렇슴
아이콘 -StarWars- (2010-09-30 14:12:04 KST)
0↑ ↓0
센스 이미지
음.. 지금 다시 다 읽어보니.. 전체적으로 맞는듯 하지만 아닌게 많네욤 -_-;;
임요환선수는 1.5세대라서 온겜넷 만들어진후 나왔는뎀.. 처음이라면 투니버스 시절이겠죠;;
임요환보다 차라리 이기석이나 신주영이라 했으면 나앗을텐데 ㅋㅋ
아이콘 Vetu (2010-09-30 14:12:24 KST)
0↑ ↓0
센스 이미지
답글을 달아주신 분들에게는 죄송합니다. 제 나이가 그 당시에 초5였습니다.

워크래프트2는 아예 몰랐습니다...^^;;
아이콘 스타2 (2010-09-30 14:12:29 KST)
0↑ ↓0
센스 이미지
글쓴이가 초딩때 스타1을 봐서 신기했었던 듯 ;;;
아이콘 k_alsearin (2010-09-30 14:13:24 KST)
0↑ ↓0
센스 이미지
98년도면 내가 8살떄인데 난 왜 aoe도 알았고 토탈도 알았지?...
아이콘 Vetu (2010-09-30 14:14:54 KST)
0↑ ↓0
센스 이미지
ㄴ 게임을 많이 접해보셔서 그런것 아닐까요? 저는 그 당시에 스타1과 슈퍼마리오3만 해봐서;;
아이콘 PaDoJung (2010-09-30 14:17:4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타가 초반에 흥행한게 피씨방이 생기면서죠

그리고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의 등장으로 스타가 장수한거죠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