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버프받은곰 | ||
---|---|---|---|
작성일 | 2010-09-19 21:40:43 KST | 조회 | 179 |
제목 |
세계 각 국의 항공모함 보유상황
|
자칭 헬기 탑재 구축함, 실상은 경 항모 |
동북아시아 3국이 서태평양을 놓고 해상력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일본이 도입하는 신형 헬리콥터 탑재 호위함 「휴우가」(기준 배수량:13,500t)의 명명·진수식이 23일,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있는 IHI 마린 유나이티드 요코하마 공장에서 행해졌다. |
자칭 헬기 탑재 구축함, 실상은 경 항모
동북아시아 3국이 서태평양을 놓고 해상력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일본이 도입하는 신형 헬리콥터 탑재 호위함 「휴우가」(기준 배수량:13,500t)의 명명·진수식이 2007년 8월 23일,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있는 IHI 마린 유나이티드 요코하마 공장에서 행해졌다.
일본 헤상 자위대로서는 처음 보유하는 기준 배수량 1만 t 이상 클라스의 전투함인「휴우가」는, 설계당시 16DDH(헬기탑재 구축함)으로 지칭되던 함으로서 테러나 (북한의) 괴선박등 새로운 위협에 대한 대응을 염두에 둔 일본 최초의 「헬기 항공 모함」이다.
퇴역 하는 헬기 탑재 호위함 「하루나」의 후계인, 「휴우가」는 격납고와 갑판상에서 최대 11기의 헬리콥터를 탑재할 수 있으며(하루나는 헬리콥터 3대 탑재) 또한, 4기를 동시에 발착시키는 것이 가능해, 헤상자위대의 헬리콥터의 전개 능력이 큰폭으로 향상되었다.
그러나「휴우가」는 함수에서 함미까지 갑판이 연결되는「전통 갑판」스타일로 영락없는 항모의 형태를 하고 있음에도, 현재로선 전투기의 발착은 할 수 없다.
일본 정부는 1988년 「공격형 항공 모함을 자위대가 보유하는 것은 용납되지 않는다」라고 하는 통일 견해를 낸 바 있으며 「휴우가」도 종래대로, 헬리콥터 탑재의 호위함이라고 분류되고 있다.
그러나 충분한 격납공간과 대형 함재기 이송 엘리베이터, 항공관제 장비를 가진 「휴우가」는 언제든지 일본 정부가 의지만 갖는다면 영국해군의 인빈시블급 경항모에 준하는 경항모로 개수될 수 있으며, 함재기의 경우에도 미국이 F-35전투기를 일본에 판매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확보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과거 구 제국해군(IJN) 시절의 함명을 그대로 승계하는 일본해상 자위대의 전통상, 이지스함 「공고」가 2차대전 당시의 일본해군 순양전함 「공고」의 이름을 딴 것처럼 「휴우가」역시 2차대전 중의 전함 「휴우가」를 그대로 딴 것이다.
2차대전 당시의 「휴우가」는 1차세계 대전 직후「이세」급 전함의 2번함으로 건조되었으며, 대전 중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해군의 항모전단이 미해군에게 격멸당한 후「이세」와 함께 함재기 20여대를 운용가능한 「항공전함」으로 개장된 특이한 함선이었다. 명목상으론 헬기탑재 구축함 실제로는 경항모인 16DDH의 1번함이 이「휴우가」라는 이름을 승계받은 것은 이 함의 특수성과 빗대어 볼때 상당히 흥미로운 작명센스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에 진수된「휴우가」는 내장공사와 각종 테스트를 겨쳐 내후년 3월, 취역할 예정이다.
<제원>
기준 배수량 13, 500톤
만재 배수량 18, 000톤
전체 길이 197 m(수선장 180 m)
전체 폭 32 m(수선폭 26 m)
흘수 7 m(음파 탐지기부 9.7 m)
깊이 22m
출력 100, 000 마력
속력 30 노트 이상
무장 Mk41VLS 1기, 20 mm CIWS 2기, 324mm 3연장 단어뢰 발사관 2기, 12.7 mm기관총 4기.
항공기 SH-60 K초계 헬리콥터 3기MCH-101 소해·수송 헬리콥터 1기 승무원 347명
16DDH「휴우가」의 상면도와 측면도. 도면 출처 '세계의 함선' (日)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