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81392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Vetu
작성일 2010-08-30 14:26:08 KST 조회 174
제목
69000원이 싸다는 사람들은 도대체 뭔가.ㅡㅡ

때는 미디어데이, 악몽은 시작됬다. 패키지 미발매와 함께 스타2 국내 런칭 발표.

 

사람들의 원성은 자자했으나, 스타1의 인지도와 괜찮은 게임성 때문에 초반흥행할 줄 알았던 스타2 오픈베타와

 

함께 캠페인의 완성도에 대해 칭찬이 자자했으며, 흥행가도를 달릴 줄 알았으나.. But, 지금의 한국 상황은 가히

 

안습수준인다. 스타2를 이렇게 판매했다면 지금은 어떻게 되었을까?

 

-------------------------------------------------------------------------------------

미디어데이에 스타2 런칭계획 발표,

 

이날, 사람들이 많은 기대에 들떠있었으므로... 대규모 적으로 스타2와 관련된 상품을 풀었어야 했음.

 

마우스, 키보드, 그 밖의 여러 상품들을 풀었어야 했으며.. 대한항공 비행기 랩핑은 일단 쓸모없는 마케팅이었음.

 

 

롯데리아와의 마케팅은 참신했다고 보는데.. 롯데리아 말고도, 맥도날드, KFC, 버거킹 등등 좀 더 다양한 업체와

마케팅을 했어야 한다고 생각함. 롯데리아 만으로도 파급력은 굉장하다고 생각하지만, 기간이 너무 짧고(1달)

입점이 안된 곳도 많을 것이므로, 조금 더 다양하게 마케팅을 했다면 좋다고 생각함.

 

 

와우저 무료와, 한달과금&하루과금, 오픈베타는 할 필요가 없는 마케팅이었다.

 

일단, 와우저 무료 마케팅은 와우저한테만 해당되는 것이며, 스타 유저한테는 아무 영양가 없는 정책이었다.

한 마디로 돈 많이내는 유저들을 우대하겠다는 것이였는데, 현재 지금 많은 사람들이 언급하지 않는 것을 보면

와우저 무료정책은 사람들의 이목을 별로 끌 수 없는 정책이었다고 판단됨.

 

한달과금&하루과금 마케팅은 오히려 독이 되는 마케팅이었음. 하루유저들은 잘 모르겠으나, 한달유저들은

캠페인만 즐기고 마는 유저들일 가능성이 높음. 단돈 만원으로 스타2의 스토리를 볼 수 있다는 것에 많은 결제를

하겠으나, 장기적으로 볼 때 전체적 수익이 단돈 3만원 밖에 안된다는 것을 의미.. 한 마디로 더 손해를 볼 수도

있는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오픈베타는 뭐 말할 가치도 없다고 생각된다.

 

----------------------------------------------------------------------------------------------

 

패키지 미발매와 DLC69000원, 그리고 한정판.

 

나는 경악했다. 스타2의 판매방식과 가격을 보며.. 솔직히 말해서, 스타2 이만큼이라도 대중에게 알려진 거

자체가 기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패키지가 없는 게임 가격이 69000원이라... 이건 미친짓이다. 나는 블자

골수팬이다. 그런데 스타2는 구입하기가 꺼려진다.. 라이트 유저들은 오죽할까..

 

소장가치, 아까 언급했지만 이거 무시할 수 없다. 실제로 상당한 사람들이 패키지 유무에 따라 구매를 망설이곤

한다. 생각해 봐라. 외국은 같은 가격에 패키지가 있고, 우리나라는 같은 가격에 패키지가 없다. 누가 더 좋은가?

당연히 외국이다. 그런 면에서 차별을 받는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한정판, 스타1을 가장 히트친 나라는 우리나라다. 전세계 판매량 중 절반이 우리나라에서 팔렸으니 말 다했다.

but, 우리나라는 한정판이 안나온다. 살 사람은 널리고 널렸다. 아마 만장 찍어내면 수일내에 다 팔렸을 것이다.

하지만, 안팔았다. 블자는 무슨생각이었을까? 섭섭하다.. 한국을 무시하는 것 같아서...

 

---------------------------------------------------------------------------------------------

 

pc방 과금제, 그리고 내가 생각하는 스타2의 흥행 시나리오.

 

과금제가 너무 비싸다. 250원에 달한다고 한다.. 수익의 25%와 50%이다.. 어느 pc방이 좋아할까?

가뜩이나 pc방 침체기이다. 여기에서 블자는 또 적을 만들어 버린 것이다. pc방 과금을 내리면 지금보다는 훨씬

분위기가 상승하지 않을까 한다.

--------------------------------------------------

 

내가 생각할 때는, 판매방식이 잘못되었다고 본다.

스타2는 스타1처럼 나왔어야 했던 것이다. mmorpg와 같은 경우 ( 아이온, 와우) 등이 이미 돈주고 하는 게임이란

지표를 만들었다. 하지만 RTS는 아니다. 아직, RTS는 패키지 게임이고 CD게임이다.

 

1인 1계정 방식이 아닌, 각 컴퓨터 방식으로 나왔다면 어땟을까?

아마 지금보다는 훨씬 좋은 흥행의 지표가 나왔을 것이다. 오픈베타, 그 밖의 아무 홍보가 없어도 말이다..

일반 유저도, 업주들도 실망했었다.. 블자에게는 분명 최상의 선택이었으나, 많은 사람들을 적으로 돌려버렸다.

그래서 나온 결과가 바로 이것이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스타2는 이제 나온지 막 1달밖에 안된 게임이다.

스타1 방식처럼 나올 수 없다면, 최소한.. 지금의 가격보다는 내려야 할 것이다. 당연히 패키지를 내어야 하며,

pc방 요금이 좀 더 내려야 한다.. 전폭적인 수정이 필요하다.

 

블리자드는 좀 더 우리나라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과유불급이라는 한자성어가 있다. 블리자드는 딱 지금 그 상황에 처해있다. 지금이라도 한 발 물러나길 바란다.

계속해서 이런 방식이라면, 한국에서 스타2에 대한 내일은 없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ludaf (2010-08-30 14:27:0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3줄요약
아이콘 MuKapa (2010-08-30 14:28:35 KST)
0↑ ↓0
센스 이미지
넘 길어서..
아이콘 신호 (2010-08-31 22:42:5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니 다른나라에 비해서 6만 9천원이 싸니까 싸다고 하는거고

외국에서도 패키지나 다운로드나 가격은 같아요

선택권이 없다고 징징거리면 몰라도 가격은 우리나라가 싼거임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