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는 전 세계에서 학생들이 가장 공부를 잘하는 나라입니다..
2001년부터 실시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계속 1위를 놓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1-2위를 다투지만 0교시부터 해서 야간자율학습까지 하며 강제적으로 이룬성적이며
대학교에 가면 전 세계순위 50위까지 떨어집니다..)
핀란드의 교육목표는 뒤처지지 않는 아이를 만드는게 교육의 중요한 목표중 하나입니다..
선생님들이 무엇을 기록하냐면요.. 아이들이 손으로 물건을 잡은게 언제인지.. 일어서서 걸은 때가
언제인지, 실과 구슬을 주면 몇개를 꿰는지 전부 기록합니다.. 잘하는 아이를 골라내기가 아니라
뒤처지는 아이가 있으면 도와주려고 그렇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이 학부형들에게 아이들이 집중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해 주라고 도와달라고 합니다..
그럼 어떻게 키우는가 하고 학부형들이 물으면,
레고 장난갑 소꿉장난을 통해서 집중력을 키우게 하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아이들이 놀고 있으면 "너 공부 안하냐? 몇시간째 이러고 있냐?" 이러지만
핀란드는 더 놀게 한다는 것입니다.
그럼 평가는 어떻게 하느냐, 우리나라처럼 점수로 하지 않고, "잘합, 아주 잘함, 아주 아주 잘함으로 합니다.."
모두가 잘했다는 것이지요.. 결국 핀란드 학생들은 칭찬으로 인해서 정말 잘하게 됩니다..
그럼 경쟁은 누구하고 하느냐? 경쟁없이 우수한 학생들을 키워낼 수 있느냐? 하는 문제에 부딪힙니다.
그럼 핀란드 사람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경쟁은 자기자신하고 하는 것입니다.. 자기의 전학기 태도와 지금의 태도를 비교하면서 얼마나 더 나아졌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것이지요..
친구는 경쟁의 대상이 아닌 협력의 대상입니다.. 시험보다는 같이 놀 친구가 필요하니까요..
그러면 공부를 잘 하게 되느냐? 잘합니다..
세계 평가에서 1위를 놓친적이 없으니까요.. 그것뿐이 아닙니다. 그렇게 자라난 아이들이 좋은 나라를 만들어서
핀란드는 반부패지수가 1위입니다. 사람들이 정직합니다.. 경제적 창의성 지수도 1위입니다.. 환경 지속성도 1위입니다..이나라는 수도꼭지에서 나는 물을 그냥 마셔도 됩니다.. 성장경쟁력 지수도 1위입니다..
---------------------------------------------------------------------------------------------
가끔 이런 생각을 합니다.. 우리나라도 PISA에서 1위이지만 그런아이들이 가는 서울대학교는 전세계 100위안에도 못듭니다..
요즘 학생들 아는 것은 많지만, 누구하나도 비판하는 사람들이 없습니다.. 학생여러분들이 스스로 행복해지는 법을 배우셔야 합니다.. 다들 학교다니고 학원다니고.. 그러다 잠깐 짬내서 스타 2하고, 다시 학교가고 학원다니고 합니다..
요즘 진보교육감시대에 진보교육감들이 많은 일을 하고있지요.. 학생인권조례도 만들고.. 이건 학생들보고 단순히 머리나 기르는데 쓰라는 조항이 아니라 , 좀 더 넓은 의미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스스로 인생을 선택할 기회를 준 것입니다. 지금 학생여러분들의 선배인 20대들은 할줄 아는 것이 없습니다..20대는 듣기 싫겠지만 사회에 관심이 좀 많으면 20대가 사회비판 능력이 없고 무기력한 이유를 분석한 자료도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지금 공부 잘 한 아이는 취업안되니까 공무원으로만 몰리고 공부 못한 아이는 비정규직에 몰리고 있죠.. 학교 선생님들도 교과과목이나 가르쳤지 사회의 변화에 둔감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잘 모릅니다.. 그러니까 그냥 학생들보고 공부해서 대학이나 가라고 하고 있죠..
스타 2 학생여러분들 많이 하시는 것으로 알지만.. 가끔은 게임과 공부에만 아니라 사회에도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전 오늘 다야 500점을 찍었다는 (전종족 상대 4차관러쉬ㅋ -.ㅜ쿨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