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토을 (61.73.xxx.182)
작성일 2010-08-14 00:13:01 KST 조회 408
제목
왜 우리나라는 핀란드처럼 안되는가?(난 다야 500점)

핀란드는 전 세계에서 학생들이 가장 공부를 잘하는 나라입니다..

2001년부터 실시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계속 1위를 놓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1-2위를 다투지만 0교시부터 해서 야간자율학습까지 하며 강제적으로 이룬성적이며

대학교에 가면 전 세계순위 50위까지 떨어집니다..)

 

핀란드의 교육목표는 뒤처지지 않는 아이를 만드는게 교육의 중요한 목표중 하나입니다..

선생님들이 무엇을 기록하냐면요.. 아이들이 손으로 물건을 잡은게 언제인지.. 일어서서 걸은 때가

언제인지, 실과 구슬을 주면 몇개를 꿰는지 전부 기록합니다.. 잘하는 아이를 골라내기가 아니라

뒤처지는 아이가 있으면 도와주려고 그렇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이  학부형들에게 아이들이 집중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해 주라고 도와달라고 합니다..

그럼 어떻게 키우는가 하고 학부형들이 물으면,

레고 장난갑 소꿉장난을 통해서 집중력을 키우게 하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아이들이 놀고 있으면 "너 공부 안하냐? 몇시간째 이러고 있냐?" 이러지만

핀란드는 더 놀게 한다는 것입니다.

 

그럼 평가는 어떻게 하느냐, 우리나라처럼 점수로 하지 않고, "잘합, 아주 잘함, 아주 아주 잘함으로 합니다.."

모두가 잘했다는 것이지요.. 결국 핀란드 학생들은 칭찬으로 인해서 정말 잘하게 됩니다..

 

그럼 경쟁은 누구하고 하느냐? 경쟁없이 우수한 학생들을 키워낼 수 있느냐? 하는 문제에 부딪힙니다.

그럼 핀란드 사람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경쟁은 자기자신하고 하는 것입니다.. 자기의 전학기 태도와 지금의 태도를 비교하면서 얼마나 더 나아졌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것이지요..

 

친구는 경쟁의 대상이 아닌 협력의 대상입니다.. 시험보다는 같이 놀 친구가 필요하니까요.. 

그러면 공부를 잘 하게 되느냐? 잘합니다..

세계 평가에서 1위를 놓친적이 없으니까요.. 그것뿐이 아닙니다. 그렇게 자라난 아이들이 좋은 나라를 만들어서

핀란드는 반부패지수가 1위입니다. 사람들이 정직합니다.. 경제적 창의성 지수도 1위입니다.. 환경 지속성도 1위입니다..이나라는 수도꼭지에서 나는 물을 그냥 마셔도 됩니다.. 성장경쟁력 지수도 1위입니다..

---------------------------------------------------------------------------------------------

 

가끔 이런 생각을 합니다.. 우리나라도 PISA에서 1위이지만 그런아이들이 가는 서울대학교는 전세계 100위안에도 못듭니다..

 

요즘 학생들 아는 것은 많지만, 누구하나도 비판하는 사람들이 없습니다.. 학생여러분들이 스스로 행복해지는 법을 배우셔야 합니다.. 다들 학교다니고 학원다니고.. 그러다 잠깐 짬내서 스타 2하고, 다시 학교가고 학원다니고 합니다..

 

요즘 진보교육감시대에 진보교육감들이 많은 일을 하고있지요.. 학생인권조례도 만들고.. 이건 학생들보고 단순히 머리나 기르는데 쓰라는 조항이 아니라 , 좀 더 넓은 의미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스스로 인생을 선택할 기회를 준 것입니다. 지금 학생여러분들의 선배인 20대들은 할줄 아는 것이 없습니다..20대는 듣기 싫겠지만 사회에 관심이 좀 많으면 20대가 사회비판 능력이 없고 무기력한 이유를 분석한 자료도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지금 공부 잘 한 아이는 취업안되니까 공무원으로만 몰리고 공부 못한 아이는 비정규직에 몰리고 있죠.. 학교 선생님들도 교과과목이나 가르쳤지 사회의 변화에 둔감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잘 모릅니다.. 그러니까 그냥 학생들보고 공부해서 대학이나 가라고 하고 있죠..

 

스타 2 학생여러분들 많이 하시는 것으로 알지만.. 가끔은 게임과 공부에만 아니라 사회에도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전 오늘 다야 500점을 찍었다는 (전종족 상대 4차관러쉬ㅋ -.ㅜ쿨럭)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아이콘 wallenstein (2010-08-14 00:14:11 KST)
0↑ ↓0
센스 이미지
자일리톨의 파워임 ㅇㅇ
Ds_Tex (2010-08-14 00:14: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러면 좋겠는데... 사회 구조가 이미 박혀서 어떻게 개인으로는 힘드네여... 시간에 의해 바뀌거나...
더 심화되거나...일단은 현재는 점점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서 문제
TayCleed (2010-08-14 00:14:37 KST)
0↑ ↓0
센스 이미지
하지만 많은 이들이 스압에 그냥 내리겠지...
아이콘 너는펫 (2010-08-14 00:14:53 KST)
0↑ ↓0
센스 이미지
네버랜드? 그런곳이 실존하는군요^^
아이콘 MildCocoA (2010-08-14 00:15:12 KST)
0↑ ↓0
센스 이미지
ㄴ ㅋㅋㅋ 어떻게 아셨어욤?
아이콘 간트리써 (2010-08-14 00:15: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마지막줄이 본론인듯한 ㅋㅋ
스칸듐 (2010-08-14 00:15:3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미 제목부터 가능성 없어서 스크롤 내림
아이콘 마이레느 (2010-08-14 00:15: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근데 핀란드는 인구가 500만정도밖에 안되지않나요; 우리나라 1/10임;; 그래서 저런교육이 가능하다고들엇음
TayCleed (2010-08-14 00:16:35 KST)
0↑ ↓0
센스 이미지
시간 되시면
한 고교 졸업생 대표의 연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rysialove&logNo=150091614704

이것도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TayCleed (2010-08-14 00:19:30 KST)
0↑ ↓0
센스 이미지
마이레느 // 현대 정주영 회장님 말씀 중에 그런 게 있지요. "해봤어? 안 해봤음 말을 말어."

전 우리나라도 핀란드처럼 세금 4~50% 팍팍 걷고 수익 구조 청렴하게 죄다 공개하고 탈세 처벌 확실히 하고 하면 돈 많아져서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봅니다. ... 만 이건 스타2 이야기가 아니네.
아이콘 쥬다스 (2010-08-14 00:20:50 KST)
0↑ ↓0
센스 이미지
우리나라는 인재를 죽이려는 유전자가 있어서 안됨
그러니까 열성이 우성을 압도한달까...
아이콘 낙타지휘자 (2010-08-14 00:22: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핀란드처럼 된다면야 얼마나^^:; 20대도 많은 사람들이 사회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해요.
그렇지만 운동권에 나서는 사람들이 적은 거죠. 지금 당장의 취직이 급하고, 돈이 급해서ㅠㅠ
또 자본주의 경제구조는 고착되어서 점점 계급 이동은 어려워지고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 변혁에 현실적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은 줄어들죠. 소위 sky대학내에 중산층 이상의 자녀들이 많이 들어가니, 그만큼 보수적인 분위기가 주류화되는 경향도 있구요
아이콘 걸뱅이특공대 (2010-08-14 00:26:4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발표과제 때문에 핀란드에 대해서 공부를 좀 해봤는데,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우리나라와는 케이스가 너무 달라서 단순히 대입하긴 힘들더군요.

일례로 정치를 들자면, 핀란드는 다수당이 5개고 그외 여러 소수당이 있는데 얘들끼리는 항상 연정을 해서 정치를 끌어가요. 머 여기에도 장단이 있긴한데,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보자면 굉장히 바람직하죠. 근데 이걸 본따 노무현 전 대통령이 우리나라에서 대연정 한번 하자 했다가 털렸잖아요. 그도 그럴게 우리나라는 다수당 2개가 권력을 분점하는 구조라..

지난 정권에서 야심차게 준비했던 지방 균형 발전도 핀란드의 산업클러스터에서 따온건데 별 효용을 발하지는 못했죠. 이렇듯 각 나라마다 다른 사회적, 문화적 요인을 고려해야지 단순히 따오기만 한다고 해서 국가경쟁력도 비슷해지는건 아니라는..
아이콘 촉촉한히드라 (2010-08-14 00:31:12 KST)
0↑ ↓0
센스 이미지
아쉽다...
아이콘 지구인바이러스 (2010-08-14 00:37: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가장 큰 차이는 핀란드의 교육체계나 사회 분위기는 협력과 협동을 중시하는 체제라는거죠. 애초에 민주주의란 이념에는 이게 맞는건데, 한두명 똑똑한 사람이 엘리트로 '통치'하는것 보다는 평균적인 지성과 양식을 갖춘 다수 민중이 협력하고 논의해서 결론을 내리는게 대개는 훨씬 더 낫습니다.
근데 핀란드와는 달리 한국의 현실은 초등학교부터 피튀기는 경쟁천국이죠, 덕분에 양극화는 점점더 심해지고, 1등국민 2등국민 3등국민이 생기고 서로간의 이해나 협력은 개뿔, 치고박느라 원래 잠재력의 50%도 못내는게 한국 현실임.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