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티거7
작성일 2010-08-05 10:45:56 KST 조회 463
제목
쿼드 지원 패치 원하시는데.. 아마 없을거에요

코딩할때 쿼드를 기반으로 한 코딩? 그런것은 없습니다 ㅠㅠ

스타2가 듀얼코어에 최적화 되어 있다? 소문이 왜 이렇게 나고 있는지 모르겠는데

이 말 자체가 오류에요. 전 개발자지만 그런 코딩은 본 적이 없어요.

따라서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패치는 나오지 않을꺼에요.

왜냐면 이걸 관리하는 건 운영체제 몫이지 하위 어플단에서 할 수 있는 역활이 아니거든요.

그리고 쿼드를 쓰는게 듀얼을 쓰는것보다 훨씬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하는거에요.

쉽게 설명하면 2명이서 충분히 할수 있는 일을 그래도 4명이서 하면 더 빨리 처리 할 수 있겠죠?

물론 2배 빨라지진 않습니다. 왜냐면 4개의 프로세서에 작업을 똑같이 분배 하진 않거든요. 그렇게 한다고 반드시 빨라지진 않거든요. 오히려 더 느려질 수도 있습니다. 오버헤드가 발생해서

 

결론은 이거에요. 쿼드코어를 쓰는게 당연히 더 좋구요. 지원 패치 따위는 없을겁니다.

더 좋은 운영체제 쓰는게 맞는 말이겠죠.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스카이빠 (2010-08-05 10:50:1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렇군요
아이콘 MiIkyway (2010-08-05 10:52:14 KST)
0↑ ↓0
센스 이미지
라네요
아이콘 MiIkyway (2010-08-05 10:53:11 KST)
0↑ ↓0
센스 이미지
국내 기술로는 이해못하는게 당연한거 아닙니까? ↑
아이콘 Factor (2010-08-05 10:55:12 KST)
1↑ ↓0
센스 이미지
http://www.pcgameshardware.com/aid,705392/Starcraft-2-Beta-CPU-benchmarks-x-Core-i5/i7-leading/Practice/
E8400이 Q6600보다 훨씬앞서있는 이유는 뭔가요... 따지고 싶은게 아니라 정말로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아이콘 Factor (2010-08-05 10:55:54 KST)
0↑ ↓0
센스 이미지
링크가 좀이상하게걸렸는데 그냥 다 드래그해서 위에붙여넣으면 들어가집니다.
아이콘 울트라해병 (2010-08-05 10:57:02 KST)
0↑ ↓0
센스 이미지
초보자로서 무슨 소리인지 이해가 잘 안가는군요..
같은 부류의 프로그램인데 어떤건 다중코어를 사용하고 어떤건 다중코어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다중코어 사용/비사용 옵션이 있는 프로그램은 또 어떻게 이해를 해야할지...
아이콘 란즈크네츠 (2010-08-05 11:02: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Factor // 클럭빨이죠
김토르 (2010-08-05 11:03:33 KST)
0↑ ↓0
센스 이미지
그걸 분배 시켜주는게 프로그램 기법인데요.
아이콘 Lostship (2010-08-05 11:03:45 KST)
0↑ ↓0
센스 이미지
마야 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프로그램 설정에 쓰레드 지정옵션이 있습니다. 쓰레드에 2라고 입력하면 코어2개만 씁니다. 물론 코어4개가 다 움직이는걸로 보이지만 실제로 퍼포먼스 측면에서 2개나 4개나 똑같은 퍼포먼스가 나오죠.
그런데 4라고 입력하면 코어 4개가 모두 점유율 100%를 달성하면서 렌더링 성능도 크게 향상됩니다. 마야는 멀티스레드상황을 염두해두고 만든 프로그램이며 쿼드 옥타 지원합니다.
마야도 구버전에서는 쿼드 지원 안했습니다. 그런데 이게 순수한 운영체제의 영향이라고요? 동의할수 없네요.

예전에 와우가 싱글코어만 지원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 때도 듀얼코어에서 돌리면 듀얼코어 둘다 움직였습니다. 그런데 실제 프레임은 싱글코어나 듀얼코어나 차이가 없었죠.
그러다가 어느날 패치가 됩니다. 와우도 듀얼코어 지원한다고 패치가 떴어요. 그 이후로는 싱글코어와 듀얼코어의 프레임 차이가 생겼습니다. -_-

현재 스타2와 와우에서 듀얼코어나 트리플코어나 쿼드코어나 코어 성능이 같을경우 프레임 차이가 없다는건 수회의 실험을 통해 증명된바 있습니다. 전 개발자가 아니어서 상세한걸 알 수는 없으나 쿼드코어에서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프로그램이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운영체제만의 영향은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쿼드코어를 지원한다고 말하는 일명 쿼드최적화 프로그램은 xp에서 돌리던지 윈7에서 돌리던지 유사한 성능을 발휘하니까요. 물론 코어 4개가 80%이상 점유율 달립니다. 인코딩 프로그램도 그렇습니다. 보통 코덱에 따라서 갈리는데 H.264코덱같은경우 보통 멀티쓰레드도 같이 지원하는 코덱입니다. 이 코덱으로 인코딩해보면 쿼드코어에서 성능향상이 있죠. 그런데 지원하지 않는코덱으로 인코딩해보면 싱글코어수준으 성능밖에 안나옵니다. 멀티코어로 인한 성능향상이 없지요.


지금 쿼드의 상황은 과거 처음 듀얼코어가 나왔을때와 유사한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과거에도 듀얼코어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의 경우 싱글코어로 돌릴때나 듀얼로 돌릴때 성능차이가 없었거든요. 그러다가 세월이 흐르다보니 프로그램의 기본소양이 듀얼지원으로 바뀌었습니다.
물론 아직도 싱글코어만 열심히 쓴느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예전에 마비노기 영웅전이 그랬지요. 그러다가 어느날 마비노기 영웅전 듀얼코어 지원한다고 공지가 뜹니다. 그리고 코어 2개가 놀기 시작했지요. -_-;;

그리고 소스엔진은 최근 몇몇 주류 게임에 멀티코어를 지원하게 패치가 되었죠. -_- 실제로도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고 들었습니다. 운영체제는 바뀐게 없죠.

개발자가 듀얼코어만 쓰게 프로그래밍을 하는건 아니지만
멀티코어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게 프로그래밍을 하는것은 충분히 가능한거 같군요.
결국 스타2는 운영체제 바꿔도 소용없을겁니다. -_-
아이콘 Factor (2010-08-05 11:04:42 KST)
0↑ ↓0
센스 이미지
Q6600 이랑 E6600이랑 거의 똑같은 성능을 내고있는데 동일클럭수에 하나는 쿼드 하나는 듀얼입니다. 근데 이래도 정말 쿼드코어가 더 좋은건가요?
아이콘 Lostship (2010-08-05 11:07:58 KST)
0↑ ↓0
센스 이미지
저는 현재 이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철수와 영희에게 1~100까지 더해오라고 시켰을경우

듀얼코어에 최적화 되지 않은 프로그램은 철수가 1을 더하고 그 다음에 영희가 2를 더합니다. 그 다음에 철수가 다시 3을 더합니다. 그리고 영희가 4를 더하죠
이런식으로 100까지 반복됩니다.

두명이서 계산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철수 혼자서 1~100까지 더하는거나 계산 시간이 똑같습니다. 그렇지만 실제로 점유율은 50%선이죠. 철수도 영희도 열심히 계산안해도 됩니다. 서로 번갈아가면서 여유있게 계산하죠. 이게 현재의 멀티코어에 최적화 되지 않은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멀티코어에 최적화된 프로그램이라면

철수는 1 3 5 7 9를 더하고 영희는 2 4 6 8을 더합니다. 동시에 작업이 진행됩니다.
차례차례 계산하는게 아니라 한번에 같이 계산하는겁니다. 이러면 작업시간은 절반으로 단축됩니다. 그리고 철수 영희 둘다 자기 능력을 100%발휘하여 열심히 계산합니다.
이게 멀티코어에 최적화된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합니다.
티거7 (2010-08-05 11:14:4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Factor // 제가 자세히는 비교를 못했지만 캐쉬메모리도 차이나고 코어도 다르네요.
동일한 코어에서 듀얼과 쿼드는 분명 차이가 날거에요~ㅎ
아이콘 Lostship (2010-08-05 11:19:13 KST)
0↑ ↓0
센스 이미지
Q6600과 E6600의 관계는 일반적인 듀얼 쿼드의 관계가 아닙니다. 현재 존재하는 일반적인 쿼드는 네이티브 쿼드코어로서 한 다이에 코어 4개가 집적되고 캐쉬또한 공유합니다.

하지만 Q6600은 E6600을 두개 MCM방식으로 붙여놓은것으로서 캐쉬 공유가 안됩니다.
그래서 캐쉬량이 많다한들 듀얼모드로 작동할때 이점이 거의없습니다.
예를들면

Q6600이 캐쉬가 4메가 인데 실제로는 2+2 메가로 나뉘어져 있고 데이터가 공유될려면 FSB를 통해서 데이터가 공유됩니다. 그런데 이방식은 실제로 전송함에 있어서 레시턴시도 길고 FSB자체가 원가 병목이 많이 발생하는 버스인지라 데이터공유의 효율이 떨어집니다.

현재 쿼드로서 인기를 끌고 있는 네할렘 아키텍쳐의 경우 L3캐쉬가 이를 담당합니다. 코어 4개가 모두 L3캐쉬와 물려있지요. 그래서 듀얼코어 모드로 작동할경우

원래 코어4개가 캐쉬 8메가를 나누어서 쓰던거를 두놈이서 8메가를 모두 독점해서 사용합니다. 그래서 은근히 성능향상이 있습니다.-_-
티거7 (2010-08-05 11:23:4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Lostship // 만약에 프로그램을 그렇게 짯는데, 싱글 코어의 유저가 그 프로그램을 돌린다면 그 사람을 위해 코딩을 다시해야겠죠. 사실 이런거에요.
프로그램 안에는 여러가지 명령어가 있죠.
그중에 하나는 1~100까지 더해오는거고 또하나는 아이스크림 사오는거고 등등이 있으면
철수에겐 1~100까지 더하는걸 시키고 영희에겐 아이스크림 사오는 것을 시키는걸 운영체제가 해주는거죠.
티거7 (2010-08-05 11:27:0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프로그램 내부에 코드에 손을 보지 않고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운영체제가 처리하는 부분을 손대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위에 글은 cpu 부품에 대해 제가 지식이 없어서 이해를 못했네요. 그리고 운영체제가 작업을 어떻게 처리하고 관리하냐에 따라 씨퓨 성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수있어요^^ 씨퓨를 쓰는데 가장큰 영향을 미치는것이 운영체제에요. 작업스케줄링 메모리관리 다 운영체제에서 하는거니깐요
아이콘 Lostship (2010-08-05 11:28:29 KST)
0↑ ↓0
센스 이미지
단순히 운영체제가 해주는걸로 생각하기에는 프로그램만 패치되도 쿼드를 지원해주고 성능향상이 되는 경우가 많기에 하는 말입니다. 티거님은 개발자 입장에서 말씀하시고 저는 최종 퍼포먼스 측면에서 살펴보고 말하고 있어서 좀 다른거긴 한데

저도 궁금합니다. 프로그램의 패치만으로 멀티코어에서 성능이 향상되는 경우가 있거든요. 단순히 운영체제의 힘으로는 설명할 수가 없죠. 왜냐하면 운영체제는 같으니까요.

물론 과거 듀얼코어가 없던시절에 만든 프로그램의 경우에 현재 쿼드에서 실행해보면
코어4개가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 코어가 25%씩만 점유하는 상황요.
그런데 실제 퍼포먼스 측면에서는 이 역시 싱글코어나 쿼드코어나 똑같더군요.
운영체제가 알아서 분배해주고 있다는 말은 맞는거 같습니다.

그런데 멀티코어에 최적화된 프로그램이 존재하고 중간에 패치로도 바뀌는 경우가 있는걸 보면
분명 프로그래머가 멀티코어에서 이점을 가지게 프로그래밍이 가능한거 같다는 말입니다.

현재 스타2의 경우 듀얼코어의 프레임이나 트리플이나 같습니다. 듀얼까지는 멀티코어의 이점을 누리지만 듀얼을 초과하는 프로그램에선 효과가 전혀 없다는 말이지요. 이는 수회의 실험을 통해 지속적으로 증명되고 있는 내용입니다. 단순히 운영체제 탓이라고 하기에는
xp나 윈7이나 성능이 똑같다는 점에서 운영체제의 탓만으로 돌리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나 하고 생각됩니다.
티거7 (2010-08-05 11:30:5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 패치가 프로그램을 패치하는게 아니라 실제적으로 운영체제에 영향을 주는 패치로 알고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다면 죄송합니다. 그런 패치들은 프로그램 명렁어나 코드에 영향을 주지 않거든요. 그럴라면 프로그램을 다시 만드는게 빠르니깐요
아이콘 Lostship (2010-08-05 11:37:29 KST)
0↑ ↓0
센스 이미지
물론 게임의경우 멀티코어에서 성능향상을 시키기 위한 패치의 경우 매우 어렵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스타2의 경우에는 향후에도 멀티코어로 인한 이점을 가지기 어려울꺼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에 게임을 새로 만드는게 차라리 낫다고 하더군요. -_-;;
(사실 와우에서 듀얼코어 지원한다고 한것도 그냥 사운드 부분을 두번째 코어에 배당한것에 불과 하다고 들었습니다.)
소스엔진의 경우에도 멀티코어를 지원한다고 패치가 떳고 실제로 멀티코어로 인해서 이점이 생기는 반면 특정상황하에선 오히려 느려진다고 하더군요 -_-a

여담이지만 현재 하드웨어의 발전은 CPU의 경우 멀티코어로 가고 있습니다. 개별코어의 성능향상을 시키기 힘들어져서 이제는 듀얼코어 쿼드코어 헥사코어 옥타코어 이런식으로 코어 숫자를 계속해서 늘리고 있죠. 문제는 이러한 방식이 실제 프로그램에서 성능향상으로 직결되지 않는다는것이 문제입니다.

응? 듀얼코어에서 돌리나 쿼드에서 돌리나 헥사에서 돌리나 성능이 같네??
멀티코어의 이점은 이런 프로그램을 두개 동시에 돌려도 버벅이지 않는다는건가? 이런경우가 많다는 거지요. -_-a

물론 몇몇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멀티코어로 갈수록 성능이 비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로 3D렌더링 돌리는 프로그램의 경우가 대표적이지요. 이런 프로그램들은 CPU성능을 매우 많이 요구하는게 특징이긴합니다. 전적으로 시피유 성능에 따라 작업속도가 달라지는것들요.
N.ec.ron (2010-08-05 11:41:19 KST)
1↑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I7 9XX 를 가진 사람은 이글을 보고 그냥 웃기만 할듯

결국은 돈이 많고 봐야됨 ㅋㅋㅋ.
티거7 (2010-08-05 11:59: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네 그렇군요. 제가 개발자이다보니깐 프로그램에 대한 수정만 생각해서 패치가 없다고 단정 지어 버렸네요. 생각해보니 얼마든 운영체제에게 특정 연산에서 멀티를 하도록 유도 하는 패치가 있을 수 있으니 멀티프로세서를 위한 패치는 가능하네요.^^ 물론 그게 특정 코어를 타겟으로 게임이 만들어지거나 만들지 않아도.
아이콘 NyamNyam (2010-08-05 12:10:2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e8400 대책없는 빠돌이 한명 등장이네/ 내가 e8400 쓰다가 이번에 린필드로 넘어왔는데 프레임이 14 넘게차이가 남 -_- 체감속도는 그 이상이고 뭐 동영상 인코딩 같은 기타작업은 말 할 것도 없고. 이런 사람들은 클럭수에 목숨걸고 캐쉬 메모리나 내장멤컨 같은 애초에 태생이 다른 CPU 설계에 대한 개념은 안드로메다로 떠나보낸지 오래지. e8400 4.0 으로 쓰던 때랑 린필드
3.8로 쓰는 지금 프레임이 넘사벽 차이가 나는데 저게 무슨 궤변이람 ㅉㅉ 얄팍한 하드웨어 지식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