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추선의 시추 중 메탄가스가 유출되어 시추선이 폭발함. (4월 10일)
2. 시추선이 침몰하면서 시추선과 유정을 연결하던 파이프가 부러짐. 그 사이로 세 곳에서 원유 유출이 시작됨.
[일일 2만 배럴 유출로 추정]
3. 원유가 유출되었을때 wellhead에 유출을 막기 위한 감압장치가 달려 있었으나 작동하지 않음.
4. 여러번 로봇 잠수정을 투입하여 감압장치의 작동스위치를 누름. 그러나 장치가 고장나서 작동하지 않음.
5. 로봇 잠수정을 사용해 파이프에서 유출되는 곳 중 한 곳을 막음. 그러나 유출량에는 변화가 없음.
6. 건물 4층 높이, 100t 무게의 돔 형태 구조물로 유출되는 부분을 덮어 뚜껑쪽에 파이프를 연결하여 유출되는 원유를 뽑아내려 시도함. 그러나 메탄하이드레이트의 생성을 예측하지 못하여 실패함. (뚜껑부분에 메탄하이드레이트가 생성되며 파이프의 구멍을 막아버림. 그리고 메탄하이드레이트가 생성되면서 구조물이 놓이는 것을 방해함.)
7. 더 작은 돔 형태의 구조물을 사용하여 덮으려고 시도함. 당연히 실패함.
8. 진흙 따위와 시멘트를 섞어 wellhead 부분에 집어넣어서 유출 자제를 막으려는 top kill 방식을 시도함. 압력 계산 실수로 실패함. 점점 압력을 높이며 다시 시도했으나 거듭 실패함. 총 3번의 시도 후 압력을 더 높이면 wellhead 자체가 터질 수 있어 유출량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어 top kill 방식을 포기함.
9. 유출되는 지점 부근에 구조정(relief well)을 파서 압력을 감소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유출부분에 밀도가 높은 유체를 집어넣어 원유 유출을 원천 차단하려는 방법이 시작됨. 시추를 해야 하므로 8월경에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10. wellhead의 일부를 잘라내고 그 위에 차단 캡을 씌워 지상과 파이프로 연결하여 원유를 뽑아내려 시도. 일일 1만 배럴정도를 뽑아올리는데 성공하나 원유의 일일 유출량은 증가함. (6월 초)
[일일 유출량은 2만 배럴보다 많아짐. 지상으로 1만 배럴을 빼내므로 실제 바다로 유출되는 양은 감소함]
11. 로봇 잠수정과 차단 캡이 충돌하여 이 곳에서 일부 원유가 새어나옴. 차단 캡을 제거하고 다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바다로 유출되는 원유의 양은 증가할 것임. (6월 24일)
유출된 기름은 현재 반경 300km가 넘게 퍼져나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