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ㅁㄴㅇㄹ (119.206.xxx.54)
작성일 2010-04-04 16:50:44 KST 조회 442
제목
토스가 저그상대로 유리하면 안되는겁니까?

프징징글임 ^^

 

스타1에서 저그는 토스가 극복할수 없는 종족

강민의 더블넥과 김택용의 운영이 합쳐져 그래도 50:50을 만드는 데는 성공했지만,

토스가 저그상대로 승률상 앞섰던 해는 2007년밖에 없음...

토스가 저그를 결승에서 꺾은적은 3.3혁명 단 한번밖에 없음

 

테란은 이윤열 최연성 임요환 이영호....각각 6회 4회 2회 2회 우승

저그는 마재윤 이제동 박성준...각각 4회 5회 3회 우승

프로토스 김택용 강민 김동수...각각 3회 2회 2회 우승

 

박성균 변길섭 한동욱 변형태 서지훈 1회우승

조용호 김준영 김윤환 박찬수 박태민 1회우승(미안하다 홍진호...)

박용욱 기욤패트리 오영종 송병구(빼먹을뻔) 1회우승

 

단기간동안의 성적이라면 어느정도 이해는 하겠지만

위쪽의 우승횟수는 10년이 넘은 "스타리그"에서의 성적임

전작의 프로토스는 어느정도 타종족에 비해 불리한 종족임

농담으로 하는 말이지만

다른 종족에 비해 앞서는 건 우월한 디자인밖에 없음^^

"프징징"이란 단어가 괜히 생겨난 게 아님

상성이라는 테란?

승률은 50:50이고, 결승에서 토스상대로도 테란이 더 많이 우승했음

 

문제는 이 상성 그대로 스타2에도 적용되고 있다는 것...

물론 베타이기 때문에 아직 섣부른 판단을 하는 것 무리일 수가 있음...

하지만 적어도 지금까지는 저그>토스=>테란의 상성인듯 싶음...

왜 프로토스는 언제까지나 저그를 극복하지 못해야 하는지...?

 

ps>MSL송병구 테란한테 탈락..ㅡㅡ;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   아이콘 papkok
Sound (2010-04-04 16:54:0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제2의 김택용이 되볼생각은없으신가요
아이콘 [Tyrande] (2010-04-04 16:55:52 KST)
0↑ ↓0
센스 이미지
라이오넬 입지가 위험하네
라이오넬 분발하세요
psychedelico (2010-04-04 16:59:31 KST) - 112.171.xxx.226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맞는 말이긴 함. 스타1에서 프징징이니 어쩌니 했지만 결국 10년에 걸친 데이타가 토스가 실제로 약 함을 증명해줬음.. 스타2는 .. 흠 두고봐야죠
아이콘 TaMaki (2010-04-04 17:18:1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토스가 가장 하기 껄끄러운 종족이라고들 하죠.. 해설자분들도.. 방송에서 토스가 사실 다른종족에 비해 꿀린다고 말씀 자주 하셨죠..

사실 마이크로적인 측면에서도 프로토스가 손이 가장 많이 간다고들 하구요..

그리고 더블넥서스 확립 안된 시절에는 토스 저그 상대로 선택권은 딱 2가지 였습니다.
2~3게이트 질럿 러시 혹은 커세어 + 다크 (본진자원으로 커세어 리버 한다고 하시는 분들은 스타1 조금 배우셔야 할듯;;) 하지만.. 스타1 오리지날 때는 커세어와 다크 둘다 없기에.. 무조건 2~3게이트 질럿으로 시작했죠.. 혹은.. 1게이트1 포지 캐논으로 언덕 입구 막으면서 리버 가는 빌드가 있었지만.. 사실 그 빌드는 뮤탈에게 너무 취약해서..

그래서 대부분 의견이 '토스대 저그' 이대로는 패치가 무조건 필요하다.. 토스가 저그를 상대로 장기전이 불가능하다 라고들 했죠.. 하지만 블리자드는 오히려 상향은 커녕 스톰 데미지를 계속약화 패치 하였고, 심지어 리버의 스캐럽 발사 딜레이를 추가, 로보틱스 빌드타임 증가 등등.. 토스는 너프의 연속이었죠..(다른 유닛은 수송선에서 내리지마자 공격을 하는 반면 리버는 수송선에서 내린후 약 2초 후 발사하죠..) 물론 리버 패치는 당연했습니다. 그전에는 리버를 막을 유닛이 없었거든요 (ㅡ,.ㅡ)

그런데 부르드워가 나오고.. 더블넥서스가 확립되기 시작하였고.. 그와 동시에..
게임 방송사에서도 거의 80~90% 에 이르는 리그 맵들을 포지 더블넥서스가 가능한 맵으로 변경하기 시작했습니다. 루나, 포르테 등등..

아예 2007 이후의 맵들은 포지 더블넥이불가능한 맵이 없었죠.. 사실상 토스 대 저그의 밸런스는 블리자드의 패치에 의해 이루어진게 아니라.. 유저들의 연구와.. 방송사들의 노력에 의한 결과물이라..
아이콘 TaMaki (2010-04-04 17:30: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물론 테란도 굉장한 발전을 이뤘죠..

사실 스타1 오리지날 시절 메카닉이란 빌드가 확립되기 전에는..
테란 토스만 만나면 패배했습니다. 그 이유가 대부분 마린 + 탱크 조합을 사용했거든요. 그러다 템플러가 나오기 시작하면 'gg'였죠.. 마치 거신만 모이면 'gg'였던 스타2 베타 초창기 테란대 토스 전 처럼 말이죠..

게다가 초반도 넘기기 힘들었습니다. 그 이유가 스타1 오리지날에서는 마린이 메딕이 없는 관계로 스팀팩을 진짜 중요한 순간 아니면 사용불가능이었고. 사업 드라군 만으로도 마린이 상대가 가능했으니깐요..(이정도면 얼마나 테란이 암울했는지 아시겠나요? -ㅅ-;;)

그렇다고 벙커 도배하고 수비적으로 멀티가져가면서 하자니.. 사업 드라군은 노사업 마린 벙커보다 사정거리가 길어서 압박이 심했습니다.. 그리고 어떻게든 200 싸움으로 몰고갔다고 쳐도.. 캐리어가 떠버리면... 골리앗이 사정거리 업그레이드가 없었던 스타1 오리지날에서는 캐리어의 카운터가 '클로킹 레이스'가 전부였습니다. 체력이 낮아
골리앗으로 캐리어를 상대하는건 드라군으로 캐리어 상대하는 것 보다 못했거든요.. (드라군이랑 골리앗 대공 공격력 20으로 같습니다. 대공 사거리와 연사력이 월등해서 골리앗이 좋은거지.. 노업일 경우 드라군이랑 다를게 없죠..)

그러다 메카닉이 정립되었는데..사실 메카닉 초창기에는.. 지금과 같은 메카닉 최적화 빌드가 아니었습니다.. 메카닉을 최초 정립하신 분은 '고스트' 도 사용할 정도로 이상한 메카닉이었죠;; 게다가 입구 막기 수비보다는 3각 벙커처럼 지금 생각하면 말도 안되는 방어수단을 이용해서 초반을 넘겼죠 (-_-;;)

그래서 메카닉 처음 나왔을 때도 토스가 그냥 질럿 드래군양으로 밀어버렸습니다..
그러다 점차 벌쳐는 전혀 상향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벌쳐의 재 발견에.. 토스가 하나둘씩 싫은소리를 내기 시작하더니.. 흔히 FD빌드라고 불리우는 마린 + 1탱크 + 1벌쳐 찌르면서 앞마당이 토스를 죄다 잡기 시작했고.. 어느샌가.. 토스가 동네북이 되는 결과를 가져 왔죠..

그 결과 토스유저들의 빌드 및 운영 연구를 촉진 시켰죠.. 옵드라 빌드나 2드라군 더블 넥서스, 포지 더블넥, 노게이트 더블 넥서스 등등.. 수많은 결과를 만들었죠..

스타1 오리지날때 저그대 토스전 토스의 불리함과
토스 대 테란전 테란의 불리함을 패치해야한다는 유저들의 목소리를..
거의 싸그리 무시했지만.. 결과적으로 밸런스가 유저들의 손에서 해결이 되어버렸죠;;
조선최고미남 (2010-04-04 18:47:34 KST)
0↑ ↓0
센스 이미지
확실히 스타1에서는 토스가 가장 암울한 종족이죠. 해설의원들도 다들 인정했던 부분이고 그런이유로 유저들이나 해설의원 등등이 토스한테 많은 지지를 보냈죠.또 토스유저들의 팬이 많았던 이유겠죠. 하지만 그건 스타1에서 이야기고 스타2에선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름. 이제 고작 베타시작이고 정발되고 난후에도 꽤 많은 시간이 흘러야 댕충 윤곽이 잡히지 않을까싶네요..

토스의 매력이란 암울한 시대에서도 한명의 영웅이 나타는것도 토스의 매력이 아닌가 싶기도하고
황혼집정관 (2010-04-04 19:52:0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삼각벙커 진짜 오랫만에 들어보는 전략이네요. 스타1 초기땐 입막플레이가 아니라 벙커 3개를 짓고 방어한다는 개념이었으니.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