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cslegna | ||
---|---|---|---|
작성일 | 2010-03-12 13:10:43 KST | 조회 | 620 |
제목 |
추적자의 점멸은 게릴라만 하라고 주는게 아니다.
|
의외로 모르는 분이 많아서 알려드립니다.
같은 자원이라고 가정하고 말하는 팁입니다.
그리고 원거리 유닛을 기준으로 가정합니다.
만약 다수의 원거리 유닛끼리 싸운다면.
A1--------------------B1
A1 ----------------------B1
A1 ------------------------B1
A1 ------------------------B1
A1 ----------------------B1
A1--------------------B1
보통 진형이 이럴 껍니다.(저 뒤로 A1과 B1의 도착하지 않은 유닛들 다수, 그림의 서로 모든 유닛들이 사정거리내라고 가정하고.)
하지만 점멸을 쓰면?
A1(사정거리 안닿음)--------------------
A1(사정거리 안닿음) ----------------------
A1(사정거리 됨) ------------------------
A1 ------------------------
B1A1B1 ----------------------
B1B1A1B1B1-------------------
같은 변태적인 경우가 발생합니다.(아직도 뒤에서 유닛들은 걸어오고 있고 사정거리는 안닿고 있지만. 추적자는 점멸을 써서 거의다 들어오고 몇몇 유닛은 전 유닛이 싸우고 있습니다.)
물론 단순 비교인데 이와 비슷하게 점멸을 이용해서 전면전에서도 이용할수 있습니다. 특정 유닛 잡고 다시 전열을 다시 잡기.
(몰론 다른것도 그렇지만 진형과 전열을 고민해야할 꺼리입니다. 특히 접근전 유닛들말이죠 최고 대표적인건 불곰과 저글링)
PS:지나치게 단타 데미지가 높은 유닛이 아닌경우(EX:토르, 암혹기사)하나식 집중사 시켜서 적의 화력이 적어지는게 이득입니다. 이게 광전사 3이 5을 이기는 컨트롤이죠.(실제 가능함 적이 아무 컨트롤 안하면.. 바퀴도 적용되고요)
|
||
|
|
||
|
|
||
|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