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초보휴먼유자
작성일 2010-03-11 09:01:47 KST 조회 605
제목
스타2 게임보다 관심가는건 워3 게이머들..

저는 워3를 정말 좋아했고 많이 플레이했고 플레이XP분들이라면 워3 많이들 하셨을텐데..

 

여튼 상당한 인기가 있었음에도 불과하고 실패한 게임의 인식때문에..

 

워3 프로게이머들이 대부분 스타2 베타에서 활약하시는 걸로 알고있는데

 

비록 워크는 아니지만 스타2에서 명성을 널리 알렸으면 좋겠습니다.

 

뻘글이네요 ㅋㅋ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간다간다훅간다 (2010-03-11 09:14:0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래서 장재호가 스타2 베타 달리느라 NSL 워3 글로벌 리그 16강에서 2대 빵으로 탈락했다는 소리가 심심치 않게 들리고 있죠 ㅠ
케이스 (2010-03-11 09:30:36 KST) - 210.108.xxx.36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어차피 스타도 팬이 있어야 가능한거죠. 외로운 싸움에 지쳤을지도..

스타2가 스타1만큼 인기가 있을진 아직 알 수 없지만... 이미 판정(?) 나버린 워3를 버리고 스타2를 준비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도박(?)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콘 CoLLapSar (2010-03-11 09:45:3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실패한 게임 인식은 일부 한국인이나 갖고 있겠죠...
아이콘 Phoenix_Gerrard (2010-03-11 10:52:11 KST)
0↑ ↓0
센스 이미지
중국 워크 인구가 5천만이랍니다
물론 중국 인구 자체가 많긴 합니다만
그래도 어마어마한 인기를 세계적으로 누린건 사실이죠
우리나라에서만 스타>워크 구도지
다른 나라에서는 스타는 프로게이머도 거의 없을 정도로 워크에 비해 인기가 없다죠
아이콘 EteR)XellOs (2010-03-11 11:52:56 KST)
0↑ ↓0
센스 이미지
솔직히 스타 게이머가 우리나라만 있지만.. 대충 준프로까지 합치면.
워크 전세계프로게이머 보다 많을꺼 같은데요.. ~~
그리고 세계적으로 워크리그가 많이 열리지만..
한국처럼 계속이어지는 리그는 없는거 아닌가요? 방송사도 존재하고..
워크리그는 몇번 세계대회만 일년에 한번씩 이어지고..
나머지는 자그마한 상금대회거나 단발성이자나요....
그러니 블자에선 스타1이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겠죠
아이콘 CoLLapSar (2010-03-11 12:21: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준프로도 말이 준프로지 자칭 준프로급이 많은 수준이고 팀활동 안하는 그저 클랜고수들 까지 빼버려서 골라내면 그리 많지 않습니다. 프로 준프로 인증따위는 케스파 있는 우리나라나 하기 때문에 단순 수치상으로 보면 스타 게이머들 많아보일수밖에 없죠.
팀 숫자도 적어서 활동하는 선수들 세어보면 그리 많지 않은 수준이죠.
케스파 인증식이 아닌 실력대로 고수나 프로 준프로 숫자를 따져보면 워3 선수들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아이콘 CoLLapSar (2010-03-11 12:23: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솔찍히, 스타리그가 많습니까? 맨날 재방송이나 해주고 임팩트 스팟 해주고...
솔찍히 하나하나의 리그 자체가 스케일이 크고 상금이 큰거지 솔찍히 팀 숫자도 적고 리그 숫자도 매우 적은건 아닌지....이번에 wcb에서도 빠지게 됬으니 큰 리그에서 한발짝 더 멀어진 셈이네요.
그렇게 따지면 오히려 아마추어리그와 해외 유수 프로/아마추어 리그 숫자를 가지고 비교를 해봐야 될텐데 해외 리그는 물론이고 지금까지 있어온 국내 아마추어리그나 소규모 리그, 스타1 리그판으로써 워3 리그판 절대 무시못합니다.
아이콘 CoLLapSar (2010-03-11 12:28:0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위에도 말했듯이 그런 생각은 일부 한국인들만 가지고 있는거죠...
스타1이 흥했고 워3가 망했다던지....리그 규모가 작다 = 흥행에 실패했다 라는 단순 접근법이나 빵빵한 팀이 드물다거나 해서 게임 자체나 리그판을 논하기는 확실히 힘들죠. 우리나라가 이상한겁니다. 스타1만 하나만 죽어라 파는점 제쳐두고라도 일단 게임 전문 케이블이 있다는것부터 이상한겁니다 여기선 당연할지 몰라두요. 해외의 경우엔 게임 관람을 ucc로 많이 즐기거나 gg클라이언트 같은 방식도 많이 이용하구요.
오히려 이런 방식때문에 국지적인 한국 스타1 방송보다 워3의 온라인이 주로 이루는 게임방송/매채 방식이 더 파급효과도 크고 발전가능성도 큽니다 촉망받는다는 말이죠.
아이콘 CoLLapSar (2010-03-11 12:33:1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솔찍히 얘기해서....개인적인 느낌이긴 하지만 스타 리그판으로 시작한 한국 e스포츠판과 e스포츠 종주국을 노린 한국 게임계 60%는 망했다고 보시면 되겠네요.
처음에 케스파를 통한 프로/준프로 등록제도를 보고 수많은 스타 플레이어들이
스타는 물론이고 타 게임 수많은 국내/해외 선수들이 e스포츠 종주국 넘버1인 한국의 프로/준프로 자격을 따기 위해서 피를 토할것이다 라는 전망까지 나왔지만....
현실은 한국에서도 거들떠 안보는 수준이죠. 워크판이나 다른 비 스타 게임판에서 누가 그런거 따집니까? 인증 안해줘도 각종 게임 프로선수들 네이버에 검색하면 직업 프로게이머로 잘나옵니다. 최상위 플레이어들이 아닌 왠만한 아마추어 고수급에서 목숨걸고 할 생각 없는 상당수 분들도 그런거 신경 안쓰는편으로 압니다. 준프로 자격을 주는 온라인 리그같은 곳에 상당수 전망있는 분들도 참가 안한다는게 보여주죠.
아이콘 CoLLapSar (2010-03-11 12:37: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물론 제가 스타 아마추어리그까지 꼬박 보는편은 아니라서 잘 모르고 하는 말일수도 있습니다만 워3 정도면 스타판에서 무시할정도로 망하진 않았다는 생각.
아이콘 Redmush (2010-03-11 16:55:25 KST)
0↑ ↓0
센스 이미지
CoLLapSar// 개스파의 프로게이머 자격증 개도 거들떠 보지않을 것같지만 나라님은 거들떠 봅니다. 프로랑 안프로로랑 세금 떼는게 다르거든요.
그러니깐 우리 다 같이 개스파를 욕합시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