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파랑화랑 (128.134.xxx.89)
작성일 2010-02-25 22:05:25 KST 조회 586
제목
밸런스 맞추기 한참 해야겠습니다.

요세 가장 화두가 되는 것은

초반유닛이 다 쓰레기 라는 겁니다.
저글링은 뽑을 이유가 없으며, 마린은 벙커에나 넣습니다.

 

왜일까요?

단순 합니다.

기존 스타에서는 소중대의 크기가 있고 이에 따라서 폭발형, 진동형, 노말형의 공격형태가 있어서

같은 공격력이어도 들어가는 데미지가 달랐기 때문이죠.

초반 유닛들은 전부 '소형' 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강력한 공격들은 '폭발형' 이었죠

따라서 소형들은 이러한 공격들에 50%의 데미지만 먹었기 때문에

체력이 적더라도 은근히 버텼던 것입니다.

 

근데 스타2에서는 기존의 스탯은 거의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경장갑, 중장갑의 2개로 나뉘고

데미지도 +알파의 형태로만 바뀌었습니다.

기존 폭발형이었던 데미지들은 데미지는 약간 하양 혹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중장갑에게만 +알파의 형태가 되었습니다.

 

따라서...소형이던 기존 유닛들은 경장갑으로 변하면서

스타1에서 폭발형 데미지의 100%에 가까운 피해를 입게 됩니다.

 

공성전차 공격 맞고 가까스로 살아남던 마린(해병)들이

이제는 얄짤 없이 죽는다는거죠

 

이러한 상황이니 후반의 기존 폭발형 유닛들이 나오면 초반 유닛들은 순식간에 썰려나가니

뽑을 이유가 사라진 것입니다.

 

그나마 질럿이 그러한 영향을 덜 받은 것은

보호막 덕분인데...보호막은 기존 1에서도 어떠한 공격형이던 100%의 데미지를 입었기 때문에

위에 설명한 형태의 소형 유닛들에게만 불리한 데미지 형태가 50%만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종족간의 밸런스는 크게 위협받고 있지 않은듯 합니다만...

블리자드가 이전처럼 소형 뉴닛들의 쓰임세를 올리고 싶다면

기존 폭발형이었던 유닛들의 데미지를 낮추거나

초반 유닛들의 체력을 올려줘야 합니다.

 

어느쪽이던 한참....고쳐야 하겠죠.

그게 아니고 지금 상태로 쭉~~ 간다면 종족간 밸런스는 맞아도

초반 유닛들은 다 버려지게 될 것 입니다.

 

과연 어떻게 처리해주려나요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   달까마귀   |   상의탈의
아이콘 파더쉽 (2010-02-25 22:15:09 KST)
0↑ ↓0
센스 이미지
아직은 클로즈 베타니까 점점 고쳐지겟죠
스타1때는 더해서 낫 임플레티드라는 스타관계자들의 귀차니즘에
공군이 올 가스생산이고 그랫는데 지금처럼 나아진것처럼요
W.Miracle (2010-02-25 22:24:0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글링은 쓰기 나름 아닌가요?
비교하는 다른 유닛들 처럼 그런 수준은 아닌 것 같았습니다.
ㅁㄴㅇㄻㄴㅇㄹ (2010-02-25 22:32:09 KST) - 220.76.xxx.101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제가 이런 글 보면 항상 드는 생각은 일단은 창의적인 의견이 많아서 긍정적이라는 것. 그리고 블리자드가 여러분만큼 혹은 그 이상 더 생각하고 똑똑하다는걸 알아주었으면 하는것입니다.
celestyne (2010-02-25 22:39: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초반유닛 체올렸다간 캐논이 남아나질 못할거같음..
공성전차도 불멸자땜에 안쓰인다해도 다른유닛처럼 보너스데미지
방식으로 바꿔야될듯.. 중장갑이면 전작보다 살만하다해도 경장갑 슉슉터짐
endrmffo (2010-02-25 23:43:15 KST) - 124.60.xxx.27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마린도 쓰기 나름임..
ㅁㄴㅇ (2010-02-26 00:46:05 KST) - 59.16.xxx.135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맨 윗분 의견에 동의합니다.

혼란스러워도 베타테스트이고
출시 후에도 나아가 지속적으로 꾸준한 밸런스 패치가 되겠죠.

그와 더불어 글쓴분 의견에도 크게 공감되는 부분이 많네요.

특히 전작에서 대부분의 큰 데미지를 자랑하던 유닛들은 폭팔형인 경우가 많았고,
(밸런스에 있어 정말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합니다.
초중반 유닛은 대다수가 소,중형이니까요.)
마린 저글링같은 기초적이고 낮은 HP에 비례하여 공격력이 막강한 특성을 살릴수 있는
유닛 자체 특성이 (실제 물리적인 크기와 함께) '소형' 이라는 점.

그 점 덕택에
(유닛 크기도 커서 화력이 한꺼번에 발휘되기 힘든) 폭팔형 중,고급 유닛들에게
싼 유닛이지만 상대적으로 주고받는 화력상으로도 효율적인 전투를 벌일수 있다는점
(소형 유닛은 폭발형 데미지를 50%만 받고 자신의 일반형 데미지는 100%를 입히는..)
그렇기에 게임 전반적으로 두루두루 쓰였다는 부분이 크게 공감이 됩니다.

덧붙여 사견을 붙이면 프로토스의 다크 템플러를 제외한 유닛에게서 나올수 있는
최대 '일반형' 데미지가 1탄에선 테란의 최종 테크 유닛이었던 베틀크루저의 25였죠.

5분안에 나오는 초반 유닛에 속하는 드라군 데미지가 '폭팔형' 20인것을 생각하면
데미지 차이가 크진 않더라도
공격 타입에 따른 큰 활용성에 의한 밸런스 조절의 묘미가 상당했습니다.

큰 데미지 딜링 능력을 지닌 유닛은 그에따른 패널티가 확실한 전작이었기에
기본 데미지가 스타2에 비한다면 훨씬 낮은 편이고 유닛간 데미지 편차가 낮기에,
오히려 플레이어 '컨트롤 수준에 따른 위력'과
'자원의 여유에 따른 업그레이드의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것이 스타1이었죠.

지나친 기본 스펙상의 데미지 상승과, 전작에 없던 상성에 따른 추가데미지의 적용.
물리적 상성을(1편에서의 좁은 길목의 마린과 드라군의 대결등..) 무시할 정도의 데미지, 특성 부여 등..

언젠간 밸런스야 맞춰지겠지만, 글쓴분의 말처럼 '한참' 걸릴듯 싶네요.
Natural-Mint (2010-02-26 01:03:1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의 의도는..마린은 벙커에 넣고 저글링은 베인링으로 변신시켜라 인듯..
레이븐 스킬 터렛 대신에 디펜시브 매트릭스 넣어주고 엠뷸런스 성능 쫌만 업시켜주면 마린도 쓸만할텐데..
아이콘 제로봉 (2010-02-26 07:30:3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레이븐 터렛 스킬 좋은데 왜그러나영.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