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11-12-09 08:26:52 KST | 조회 | 171 |
제목 |
빌리야 이거 한번봐라
|
탑 미드 봇
위 중간 아래 라인을 말합니다.
딜탱 - 공격력과 맷집이 균형잡힌 근접전에 능한 챔프를 말합니다.
전투지속력이 가장뛰어나며 추격전에서 선두를 담당하며 팀단위 교전시 상대팀에 상태이상 기술이 탱커에게 집중된 틈을 타 상대에 공격수를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누커 - 생존능력이나 전투지속력은 떨어지지만 강력한 광역스킬 공격으로 팀에 화력을 담당하는 챔프입니다.
팀 단위 교전시 자신이 가장강력한 공격력을 발휘할 수 있는 상황을 아군과 협조해 만들어 내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원거리 딜러 - 누커와 같이 생존력을 떨어지지만 강력한 원거리 공격을 하는 챔프입니다.
기술이 아닌 일반공격으로 피해를 주기때문에 기술 사용 대기시간을 고려해야하는 누커와 다른 운용이 필요합니다.
생존시간이 적에게 줄수 있는 피해량에 영향을 주기때문에 교전지를 이탈하지 않고 생존 할수 있는 범위내에서 공격을 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른 공격대상 변경이 요구됩니다.
서포터 - 팀에 허리를 담당하는 챔프입니다
모든 챔프들에 부족한 점을 채워주며 교전만이 아닌 게임 전체를 관할할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아군 챔프에게 필요한 능력치를 더해줄수 있는 챔프이기에 조합능력은 뛰어나나 그만큼 챔프 자체에 능력은 타 챔프에 비해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탱커 - 서포터가 게임의 흐름을 담당한다면 교전에 흐름은 탱커가 담당합니다.
모든 교전은 탱커로부터 시작해 탱커로부터 끝납니다.
아군에게 가장 적합한 전투상황을 만들어주고 적군에게 불리한 상황을 강제합니다.
상대 누커와 서포터는 스킬을 소모한채 싸워야 할것이며 상대 원거리 딜러는 아군 딜탱을 피해 달아날것입니다.
정글러 - 사냥꾼 입니다 이들은 소규모 교전에서 진가가 들어납니다 이 들은 항상 상대편에 뒤에서 급습하며 적들은 언제나 숫적열세에서 싸우게 될것 입니다.
리쉬 - 정글러에 원활한 시작을 위해 라이너가 정글몬스터에 어그로를 대신 끌어주는 행위를 말합니다.
아군 정글러에 경험치를 뺏지 않게 주의해야 하며 가능한 원거리 공격으로 라이너 자신이 데미지를 입지 않아야 합니다.
미아(MIA) - 라이너가 시야에서 사라졌다는 뜻입니다. 사라진 라인에서 협공을 하기 위해 사라졌다는 뜻이므로 정글러와 라이너는 약간에 손해를 감수하고 방어적으로 행동할 필요가 있습니다.
AD - 물리 공격력을 뜻합니다
AP - 기술 점수(공격력)을 뜻합니다 AP가 AD 보다 높을 경우 건물공격시 AP에 일정 수치가 추가로 피해를 줍니다.
AM - 물리 저항력을 뜻합니다.
MR - 기술 저항력을 뜻합니다.
MS - 이동속도를 뜻합니다.
트루데미지 - 고정공격력, 방어력에 상관없이 피해를 줍니다.
CC - 군중제어기, 상태이상 기술을 뜻합니다.
근성 - 상태이상 공격에 대한 저항력을 뜻합니다.
라인 - 아군 미니온과 적군 미니온이 이동하는 길을 뜻합니다.
라이너 - 라인에서 전투하는 챔프들을 말합니다 정글러와 구별됩니다.
CS(막타) - Creep Slain, 미니언 처치 횟수 즉 미니언에 마지막으로 타격을 가해 처치하고 골드를 먹었느냐를 나타내는 수치 입니다.
아군이 처치하더라도 근처에 있다면 경험치는 받을수 있지만 돈은 마지막 타격을 가한 사람에게만 지급 됩니다 즉 CS 수치는 라이너의 강함과 성공을 판가름 하는 일반적인 기준이며 솔라인을 서거나 CS 몰아주기를 하는 이유가 됩니다.
( 탑 랭커 HotshotGG에 경우 18:31 에 CS181 보여주는 기염을 토하기도 합니다. )
푸쉬(push) - 라인에 상대 미니온을 빠르게 제거해 상대 진영을 압박하는 전략적 행동을 뜻합니다.
상대라이너가 밀린 미니온을 정리하느라 묶인 동안 타워를 공격하거나 다른 라인으로 협공을 갈수 있습니다.
풀 (pull) - 라인에 상대 미니온을 공격하지 않거나 가능한 체력이 적게 남아있을때 마지막 타격을 가해 상대 크립을 아군 타워 근처로 끌어디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는 적의 갱킹에 위협을 줄이고 오히려 상대를 끌어들여 아군이 갱킹을 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전략입니다.
디나이 - 라인전에서 상대가 경험치나 돈을 먹지 못하게 방해하는 행위를 뜻합니다.
이는 아군 크립이 상대 타워에 진입하게 되면 불가능 하기 때문에 가능한 라인을 밀지 않는게 중요합니다.
갱킹 - 상대 챔프를 제거하기 위한 행동을 뜻합니다.
드래곤 - 봇과 미드 사이에 있는 강력한 중립괴물입니다.
잡으면 다량의 경험치와 아군 챔프 전원에게 190 골드를 지급합니다.
바론 - 탑과 미드 사이에 있는 매우 강력한 중립괴물입니다.
잡게되면 아군 챔프전원에게 골드, 경험치, 버프 를 지급합니다.
버프효과는 AD 와 AP 40 체력 마력 회복력을 올려줍니다.
굳히기와 역전에 발판이 되기에 충분합니다.
와드 - 상점 소모품 분야에서 판매하며 설치시 일정시간후 은신이 되며 시야를 제공합니다 마법 공격에는 데미지를 받지 않지만 일반 공격을 3번 받으면 제거됩니다.
제거한 영웅에게 25 골드를 지급합니다.
와딩 - 맵 주요지점이나 아군 후방에 와드를 설치해 감시하는 것을 뜻합니다.
부쉬 - 수풀을 말하며 숲안에 있는 챔프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볼수 없습니다.
수풀안에 있는 영웅이 타겟팅 기술이나 일반공격을 사용하거나 수풀안에 와드, 유닛, 천리안 등으로 시야확보를 해야 볼수 있습니다.
물약 - 소모품 분류에서 판매하며 회복물약과 특별한 능력치를 부여하는 영약(엘릭서, 오라클) 두가지 가 있습니다.
은신 - 은신 상태 일 경우 탐지 효과를 받지 않는한 상대 챔프에게 보이지 않게 되지만 무적이 아니기에 논 타겟팅 기술에 의한 효과는 받습니다.
유닛이 은신상태일 경우에는 어떠한 마법적 효과도 받지 않습니다.
( 은신상태인 샤코의 박스나 버섯등을 마법으로 제거하려면 탑지로 은신효과를 해제해야 합니다. )
탐지 - 은신 효과를 일시적으로 해제합니다.
핑크와드 오라클 타워에 항시 적용 되면 몇몇 챔프 기술로도 가능합니다.
단 탐지효과를 지닌 대상의 기본 시야에 영향을 받기에 부쉬 밖에서 부쉬 안에 시야가 확보되었더라도 부쉬안까지 탐지 효과를 발휘 할수는 없으며 직접 부쉬안에 들어가야 효과가 발동됩니다.
( 부쉬 밖에 와드를 박아도 부쉬안에 은신 효과를 해제 할수는 없으며 오라클을 효과를 받는 챔프가 천리안을 사용하는것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
핑크 와드 - 일반와드에 탑지 능력이 부여된 와드이며 125원 입니다.
오라클 - 소모품 분류에서 판매하며 400원으로 은신 상태인 챔프나 유닛을 볼수 있게 해주지만 오라클을 복용중인 챔프가 죽게되면 오라클 효과가 사라지게 됩니다.
오라클을 먹게 될경우 상대팀으로부터 타겟팅을 당할 확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쿨(타임) - 기술 (재)사용 대기시간을 말하며 아이템 버프 영약 기술 등으로 감소시킬수 있으며 최대 감소치는 40% 입니다.
● 전략 전술
EU 스타일
요즘 대세로 인정받는 전략 입니다.
탑 딜탱 / 미드 누커 / 봇 원거리 공격수 + 서포터 조합, 을 기본으로
각 역할에 특징을 극대화 시키는것과 원거리 공격수에 성장으로 중 후반을 안정적으로 도모할수 있다는게 특징입니다.
단점으로는 역할이 극대화 되기 때문에 한명이라도 전투불능일 경우 위력이 급감하기에 전략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안하느니만 못합니다.
( 특히 원딜과 서포터가 중요합니다. )
- 라인 분류
탑 라인은 혼자서도 강력한 라인전을 펼칠 수 있는 딜탱이 가게 됩니다.
정글러가 포함된 적의 공세를 버티며 라인 유지력이 뛰어나야 하고 이를 위해 정글러의 협공까지 고려 해야 합니다.
생존이 중요시 되며 적을 압도하지 못할지언정 압도 당해서는 안됩니다 라인전과 전투 지속 능력이 가장 중요시 됩니다.
또한 초반 전투는 탑라인과 멀리 떨어진 드래곤 지역위주로 이루어지기에 맵리딩 과 이를 바탕으로 빠른 상황판단이 요구됩니다.
즉 탑 라이너에게는 캐리 성향을 띄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드 라인은 적재적소에 최고의 타이밍에 최고의 데미지를 낼수 있는 누커가 가게 됩니다.
라인이 짧아 라인 유지력이나 전투지속력 생존력등 라인전 자체능력은 좀 떨어지더라도 강력한 기술로 미니언을 안전하게 원거리에서 순식간에 제거할 수 있는 챔프들이 가게 됩니다.
맵 중앙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로밍에 필요성이 있습니다 라인은 그저 돈과 경험치이고 내가 언제나 준비된 폭탄이라는 인식이 필요합니다 이는 상대도 마찬가지란걸 명심하며 상대 미드라이너의 위치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요구됩니다.
내가 할수 있는건 상대편도 할수 있고 내가 하고싶은건 상대편도 하고 싶어합니다.
밧 라인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건 무엇보다도 아군 라이너와의 호흡입니다.
원거리 공격수는 팀에 중후반은 내가 책임져야 한다는 각오로 CS 챙기기에 임해야 하며 서포터는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원거리 공격수를 무사히 중반까지 끌고가야 합니다.
정글러는 정글을 아군라이너에 원활한 게임진행을 돕는게 목표입니다
정글러는 게임을 지배할수는 없지만 라인은 지배할수 있습니다.
단순한 갱킹보다 언제 어떤 라인을 어떻게 공략하느냐가 중요시 됩니다.
잘하는 정글러는 갱킹을 성공하는곳을 찾고 좋은 정글러는 갱킹이 필요한 곳을 찾습니다.
하지만 갱킹이 정글러의 전부는 아닙니다. 사실 정글 또한 라인이라 볼수 있습니다 오히려 탑 미드 봇 보다 더 치열하고 더 위험합니다.
정글에서 급습받는 때 는 단 한가지입니다 바로 대상을 죽일수 있는 때입니다.
- 팀 단위 전투
딜탱은 탱커와 함께 전방에서 전투 상황에 따라 두가지 선택을 하게 됩니다.
첫째 아군 탱커를 뚫고 상대 딜탱이 진입할 경우 > 상대 딜탱을 저지합니다.
둘째 적군 탱커가 아군탱커에게 가로막힌 경우 > 상대 누커를 물고 늘어집니다.
누커는 한타에서 가장 빛날수 있는 존재입니다 단 한순간 최고의 공격력을 발휘할수 있는 그 한순간까지 기다리는 인내와 그 순간을 놓치지 않을수 있는 순발력이 요구됩니다.
이미 기술이 빠진 누커는 적군도 신경쓰지 않습니다 물론 아군도 신경쓰지 않으며 심지어 플레이어 자신조차 신경쓰지 않습니다.
탱커는 한타의 시작과 끝입니다.
제일 먼저들어가 제일 나중에 살아나와야 합니다.
아군이 유리한 상황에서 탱커에게 잡힌 적군은 한타를 강제당하며 아군이 불리한 상황에서는 적군 누커를 봉쇄해 한타를 강제로 종료 시켜 버립니다.
원거리 딜러는 숫자로 말합니다 죽은숫자와 먹은 CS 그 어떠한 경우라도 넥서스가 날아가는게 아니라면야 원거리 딜러는 죽어서는 안됩니다.
한타시 공격대상은 가장 가까운적이며 주의 해야 할 대상또한 가장 가까운적입니다 잘큰 원거리 공격수에는 탱커조차 우습지만정신 놓으면 서포터에게도 죽을수 있습니다.
서포터는 위에 나열된 모든 상황 자체를 총괄합니다.
와딩을 통해 위험요소를 줄이고 유리한 상황을 만들며 아군을 뚫고 들어온 상대편을 저지하고 누커에게 틈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 이는 EU 스타일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항상 맞는것은 아닙니다. )
자주가는사이트에잇길래 퍼옴 봐두면 좋은듯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