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5881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Lenka
작성일 2011-05-13 02:16:43 KST 조회 328
첨부
제목
[스크랩] about 모선
파일포켓 이미지

 

 

 

자기전 막 포스트

 

 

스2에선 솔직히 그냥 유져들 몰래 삭제시켜도 유져들이 눈치나 챌까 싶은

 

잉여유닛이 있다.. 바로 모선 -_-

 

본인은 전략시뮬 게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점이 쓰임새가 없는 유닛은

 

없어야 한다는게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명작만을 만들어내는 블리자드의 스타2도 사람이 만드는것인지라 실수란 있을수 있는법

 

바로 모선이 그러하다 .

 

 

스타2 공식홈페이지가 생기고 클베도 하기전에 전투보고서 라는 동영상에서

 

국내 스2 시연영상을 고화질로 받아볼수 있었는데 거기서 처음 공개된 모선의 위용은

 

어마어마 했다. 단 한마리밖에 생산 못한다는 에픽 유닛 답게

 

수십마리의 해병떼를 그냥 한번에 녹여버렸던 행성 분열기 스킬이나..

 

미사일 포탑 밭으로 들어가서 모든 미사일을 무력화 시키던 시간 균열.. (시간 균열 스킬은

 

특히 미사일이 날라오다가 멈춰서 시간균열 스킬이 끝나니 바닥으로 미사일들이 굴러떨어지는

 

이펙트가 무척 놀라웠다)

 

 

그리고 전투 순양함들을 전장에서 그냥 그대로 없애버리는 블랙홀 스킬까지

 

하나하나 보는맛이 있고 왠지 기대되는 유닛 1순위 였다.

 

 

하지만 스타2가 점점 완성되가면서 모선뿐만 아니라 이런 살상력이 좋거나 오버파워스러운

 

스킬은 죄다 삭제되거나 변경되었다. 이것은 블리자드가 e-sports 에 역점을 두다 보니

 

생긴 일인데 그건 현재 스타2의 자원 개념만 봐도 알수가 있다.

 

유닛 가격도 25/50/100단위로 딱딱 끊어 계산하기 쉽도록 만들어놨고

 

워크래프트3에서만 해도 난무하던 % 확률의 스킬들은 모조리 삭제했다는 점 또한 그렇다.

 

이것은 경기가 운이 아닌 확실한 실력만으로 결정지어지길 바란다는 눈보라사의 의지를 엿볼수 있는

 

부분인데.. 그 덕분에 약간 과장스러운 스킬들은 대폭 삭제가 되어 스2의 스킬들은 다소

 

밋밋한 감이 없지 않다.. 이야기가 잠시 딴데로 샜지만 정리하자면 모선은 이 블리자드

 

e-sports 중점 정책의 희생양이라는 것이다.

 

 

 

 

 

2010-02-27(토): 베타 패치 2 - v0.4.0.14133
2010-02-27(토): 모선의 생산 시간이 120에서 160으로 증가했습니다.
2010-02-27(토): 모선이 차지하는 보급품 사용량이 6에서 8로 증가했습니다.
2010-02-27(토): 모선이 한 번에 발사하는 정화 광선의 수가 8에서 6으로 감소했습니다.
2010-02-27(토): 모선의 보호막이 400에서 350으로 감소했습니다.
2010-02-27(토): 모선의 체력이 400에서 350으로 감소했습니다.
2010-02-27(토): 모선의 이동 가속도가 1.3125에서 0.3125로 감소했습니다.
2010-02-27(토): 모선의 이동 감속도가 0에서 1로 증가했습니다.

2010-02-26(금): 베타 패치 1 - v0.3.0.14093
2010-02-26(금): 소용돌이에 소모되는 에너지가 75에서 100으로 증가했습니다.
2010-02-26(금): 소용돌이의 목표 반경이 3.0에서 2.5로 감소했습니다.
2010-02-26(금): 시간 균열 능력이 삭제되었습니다.
2010-02-26(금): 웜홀 이동 능력이 삭제되었습니다.
2010-02-26(금): 대량 소환(새로운 능력) - 선택 영역에 있는 모든 아군 유닛을 모선으로 순간이동시킵니다.

2010-02-18(목): 스타크래프트2 베타테스트가 시작되었습니다. 버전: 0.2.0.13891
2010-02-18(목): 갑옷 유형이 없습니다.
2010-02-18(목): 시야 정보가 추가되었습니다.
2010-02-18(목): 공격력이 8에서 6으로 감소하였습니다.



 

 

베타가 시작되고 여태까지 모선에 적용된 패치노트.. 척 봐도 너프된것밖에 없다.

 

그리고 최근에 된 소용돌이에서 나올때 무적시간이 생기는등 저기에 나와있지 않은

 

너프 목록 역시 허다하다.. 결국 모선은 간지짱 최종병기 종결자에서 현재는 그냥

 

아비터 마이너버젼 쓰레기틱한 유닛이 되어 버렸다.. 그냥 설정상? 혹은 스토리상..

 

최종 병기라는 구색을 갖추기위해 모양만 그럴싸하고 가격이나 비쌀뿐..

 

단순 전투력으로만 놓고봐도 우주모함과 1:1로 싸워도 진다는건 이미 다 아는 사실..

 

 

스킬도 이제 소용돌이는 집정관 스플로 대박을 노리는 그럭저럭 쓸만한 스킬에서

 

다시 잉여화될 가능성이 높고... 대규모 소환은.. 스킬 자체는 좋다만

 

스1에서 리콜이 좋은점은 아비터 이속이 나쁘지가 않고 여러마리 뽑는게 가능해서

 

이곳저곳 리콜 신공으로 게릴라를 할수 있다는 건데.. 느릿한 모선으로 어느세월에

 

소환한번 하자고 가겠는가... 은폐장 역시 아비터와 다른건 건물까지 은폐시켜준다는 점

 

하나인데.. 후반중의 극후반 테크인 모선이 나올때 상대방이 탐지기 하나 없을리가...

 

렉이나 유발시키는 쓰레기 스킬일 뿐이다..

 

 

물론 극초반의 공개영상처럼 엄청난 유닛으로 만들어달라는건 아니다.

 

다만  승리의 대미를 장식하는 퍼포먼스용이 아닌 적어도 밥값은 할수 있는

 

쓰임새가 있는 유닛이었으면 하는거다. 굳이 그것마저 어렵다면 차라리 래더에서 삭제해버리고

 

캠페인에서라도 그럴듯하게 나오면 좋을텐데.. 캠페인 제라툴 유물 임무에서

 

알타니스가 타고 나오는 모선 역시 그냥 어이가 없다.. 헤이븐 캠페인에서 나온 정화모선이

 

제법 그럴싸했을뿐..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하버마스 (2011-05-13 02:45:0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음 근데 공감할 수가 없는게,, 테란 하다가 200 싸움에서 모선에 당해본게 한두번이 아니라서,, 특히 화토해밤 유행 할 때 토르 잔뜩 썼다가 블랙홀 한방에 토르들이 슈웅~~~

그래서 다 밀어넣어버릴려고 했는데 말처럼 쉽게 되는것도 아니고,, 일부 병력 소실되고 블랙홀에 들어갔다 나온 병력도 진형이 무너져서 추적자 광전사 따위한테 둘러쌓여서 싸우다가 다 디지고 지지 친게 한두판이 아님 ㅠㅜ

모선 좋아보여요. 솔직히 함대신호소가 조금만 가격이 저렴하던지, 우주모함이 성능이 조금만 좋았어도 함대신호소만 올리면 바로 뽑아버릴 수 있어서 좋긴 좋음..;;

모선 하나 뽑을라고 함대신호소 짓는게 아까워서 그렇지.. 그니까 우주모함빌드도 생기게 상향 좀 하면 망하려나;;
아이콘 JJ짤 (2011-05-13 03:24:5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그전 모선+점멸자 하면 감시군주 20기쯤 날아가서 안보면 못막음.
아이콘 역장의마술사 (2011-05-13 03:25:3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근데 모선도 잘쓰면 좋지안을까요???
대규모 이동하기엔 모선의 이동속도가 솔칙히 너무 느리긴하구요.. 저도 이건 쫌 아니다했죠 ㅎㅎ

그래도 소용도리는 쓸만하던데 잘만쓰면 좋을듯해요
지속시간은 15초 소요돌이 안에 상대병력을 묶어놓고
안묶인 유닛을잡고 내 유닛도 같이 소용돌이 안을 넣는거죠

예전처럼 집정관 넣으면 나올때 다죽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나올때 유닛들을 둘러쌀수도있고요,,,

물론 모선을 뽑겠다고 거기까지 가는 테크이 자원이 조금 아깝긴하죠,,
아이콘 칼라의품으로 (2011-05-13 08:13: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소용돌이에 병력 반정도 빨려들어가면 그냥 나머지 병력도 다 넣어버림 되죠...
집정관 순삭 이런 게 불가능한데
아이콘 [소울헌터] (2011-05-13 16:44:28 KST)
0↑ ↓0
센스 이미지
나온뒤 1초정도 무적 버프 받으시면 됩니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