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11-04-06 18:23:04 KST | 조회 | 460 |
제목 |
거신은 정말 과감히 삭제하고 플토 특성부터 다시 손봐야 합니다.
|
전에도 비슷한 글을 남긴적이 있습니다.
http://www.playxp.com/sc2/balance/view.php?article_id=2665928&search=3&search_pos=&q=
저는 현재 방송경기는 꾸준히 보고 있지만 시즌2 되면서 플레이는 접었습니다.
스타1때부터 10년넘게 즐겨왔던 유저로서(방송경기도 빠짐없이) 스타2에 큰 기대를 걸었지만
허탈한 승부가 자주 나오는 모습에 실망하게 되더군요.
이대로라면 근 2~3년동안은 GSL리그 및 세계대회가 활성화 된다 해도 그다지 오래 못 버틸겁니다.
선수들 기량이 성장하면 성장할수록 순삭은 더욱 극심화 되고 조합후 한타 교전후 쭉 밀려버리는
양상은 더욱 많아질듯 합니다.
특히 저에겐 주종이기도 한 플토의 차관특성과 거신유닛의 존재는 스타크래프트2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듯 합니다.
이번패치의 부적업의 삭제는 큰 실수라고 보여집니다.
좀더 정확히 얘기하자면 부적업 삭제는 필요했지만 이를 대안할 다른 패치가 있어어야 했습니다.
(ex:마나업or스피드업)
데이비드킴은 플토의 거신을 손보고 템플러의 활용을 높였어야 했는데 방향을 잘못잡아버렸습니다.
어떠한 교전이 재미있는지 알았다면 그리 패치하지 않았을 겁니다.
중요한건 벨런스 이전에 게임자체의 재미라는걸 잊었던거죠.
예로 스타1에선 템플러의 스톰은 매우 강력합니다. 한번에 다수의 저그유닛을 녹이고 테란에게
마린은 꿈도 못 꾸게 만듭니다. 스타2에서 존재한다면 벨런스 파괴의 종결자인 셈이죠.
하지만 재미있습니다.
플토가 나오는 경기에서는 스톰 한방에 관중들의 탄성이 여러번 나옵니다.
어렵게 나오는 천지스톰은 90년대 말 2D그래픽임에도 불구하고 장관을 연출하죠.
그러면서 스타1의 벨런스는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강한유닛이 있는데도 불구하구요.
상대는 지형과 전술을 통해 대처하기도 하고 실수로 유닛을 다수 잃더라도 즉각 수비형 운영을
통해 다시 기회를 넘보면서 밀고당기는 경기가 지속됩니다.
바로 이것이 스타2에서도 있어야 할 점이고 현재 부족한 점인듯 합니다.
거신 10기가 모여 상대를 밀때 관중들에게서 환호성이 나오고
해병불곰 200이 모여 상대의 조합을 무너트리며 돌진할때 관중들의 입에서 짜증섞인
징징거림보다 환호성이 먼저 나올수 있다면 스타2의 벨런스는 완벽해 지는 순간이 아닐까 싶습니다.
지금은 해병불곰 한부대에 밀려도 경기가 끝나버리고
거신 2~3기에 패배해도 극복해낼 방법이 없으니
환호성을 외치는 사람보다 사기를 외치는 사람이 더 많을 수 밖에 없는 현실이라 보여집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