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5882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고독한솔저
작성일 2010-12-07 02:01:47 KST 조회 963
제목
치즈 러시를 말하기 전에 과거를 봅시다...

치즈 러시는 베타때에도 있었습니다...

베타 당시 테란은 메카닉 유닛들의 성능이 워낙 안좋았던게

이렇다할 전략도 없던 테란이 그나마 승률이 높았던 치즈러시 유행을 만든것도 있지만...

 

당시의 테란의 치즈 러시 때문에 테란 건설로봇이 체력 60 에서 45 로 너프되었습니다...

정식발매 이후엔 쓰는 유저들이 거의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다시 유행하게 된 원인은 저그가 선 앞마당 빌드가 대새로 변하면서 입니다...

저그는 4차관,사신 약화와 바퀴 사거리가 패치된뒤에 선 앞마당 빌드가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기존 4 차관이나 사신,화염차를 선앞마당 가도 빠른 바퀴 체제로 방어가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선앞마당의 취약성은 이 다시 등장한 치즈러시에서 그 약점을 드러냈습니다...

 

우리는 여기서 생각해봐야할게 있는데...

치즈러시가 유행하게 된 배경엔 3 가지의 상황이 존재한다는 겁니다...

 

1. 러시거리 가까운 맵에선 운영으로 싸우기보단 치즈러시가 승률이 더 높다

2. 선못보다 선앞마당 빌드로 가는 저그에겐 다른 전략보다 훨씬 잘먹힌다

3. 지게로봇을 가진 테란에겐 병력 다 잃어도 저그에게 제대로 타격만 입히면 재건이 가능하다

 

당연한 말이지만 러시거리가 가까운 폭염사막이나 전쟁초원 같은 맵에서

저그의 초반 멀티를 쉽게 허용해준다면 테란이나 플토는 저그 회전력에 그냥 밀려버립니다...

이런 상황에서 저그가 그것도 선 앞마당을 가준다면 벙커링이나 치즈러시를 시도하는 것이

테란에겐 승률이 훨씬 좋을수밖에 없습니다... 운영으로 가다가 초반 멀티 먹은 저그가

나중에 회전력이 폭팔하면 감당하기 힘든데... 치즈 러시가 훨씬 속편한 방법이기도 하고요...

 

물론 치즈 러시가 무적의 전략은 아닙니다...

치즈 러시는 예초에 건설로봇까지 대동한만큼 적에게 아무런 타격도 못주고 막혀버리면

테란은 그 다음에 전혀 할게 없어지게 됩니다...

 

실제로 시즌 2 결승전 당시 이정훈 선수가 임재덕 선수로 마지막 경기에서

치즈러시 실패로 경기를 내준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그만큼의 리스크도 동반한 전략인데 이것이 최근 비난을 받는 이유가...

재미없는 경기라던지, 왠지 비겁해보인다던지, 이거 좀 사기성이 있다든지...

라는 말을 듣는데...  

 

이런식으로 따지면 과거 스1 당시 임요환의 삼언벙도 잘못이라 해야하는데다...

과거 베타때 저그들이 벌였던 일들을 생각한다면 저그 유저분들이 그런말할 자격은 없다고 생각합시다...

 

기억하십니까 ? 가시촉수로 도배해놓고 뮤탈만 뽑던 시절을 ?

당시 테란이나 플토 유저들도 당시엔

재미없는 경기라든지, 왠지 비겁해보인다던지, 이건 좀 사기성이 있다든지...

말할때... 당시의 저그 유저분들도 그게 당연한둣 뻔뻔스러웠던 기억들을 잊고 계십니까 ?

 

결국 대다수 저그들이 그 전략만 애용하자... 블리자드는 칼을 빼들었는데...

토르에게 대공 스플을 주고 불사조에게 무빙샷을 주었는데다

가시촉수의 빌드타임을 늘려버렸습니다...

 

결과적으로 정발이후 저그의 암흑기에 저그가 착한 시절을 보낼수밖에 없었는데...

블리자드가 아무리 벨런스를 못 맞춘다 하더라도 최소한으로 해주는게 있다면

블리자드는 절대로 대다수 유저가 한가지 전략만 고집하면 패치한다는 겁니다...

 

대다수 유저가 한가지 전략만 고집한다면 그 전략이 그만큼 파훼가 불가능하다는 것이고

그 전략을 파훼하기 쉽게 패치를 해준다는 것입니다...

 

치즈러시는 막는게 불가능한것이 아닙니다...

과거 16 강에서 김원기 선수는 김남규 선수의 치즈 러시를 2 번 모두 방어해내고 이겼습니다

 

아니 예초에 치즈러시가 쉽게 가능한 상황 자체가 적습니다...

전쟁 초원이나 폭염 사막 같은 러시거리가 짧고 저그가 선앞마당 가져갈 경우에나 통용되는데다

그것도 일단 시도했다면 저그에게 타격 못주면 자신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오는 리스크를 가진 전략입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8 강 경기에서 임재덕 선수의 플레이를 본다면

상대가 치즈러시 할것을 알고도 앞마당을 가져간둣한 인상이 강합니다...

 

아마 과거 시즌 2 결승전에서 이정훈 선수의 치즈러시를 막은 경험이 있으니

그것에 대한 자신감으로 그렇게 했을지도 모릅니다...

 

선앞마당을 하긴 했지만 충분한 숫자의 저글링을 뽑아놓고 가시촉수 1 기를 박아놓을것을 본다면

모르고 있단것은 아니라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그것이 자신이 아니라 오만이란 것은 곧 드러났습니다...

 

예초에 안정적인 것을 생각한다면 초반에 선앞마당 포기하고

선못으로 저글링 발업이나 바퀴 체제이후에 안전하게 앞마당을 가져가거나

선 앞마당을 하되 가시촉수를 1 기가 아닌 2 ~3 기 박는 것도 생각해볼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임재덕 선수는 그것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 정도면 상대가 시도해도 막겠지 ? 하는 방심이 임재덕 선수의 패인입니다...

상대가 보인 빈틈을 내줘야 할만큼 프로게이머들이 바보들은 아닙니다...

 

어떤 분이 말하신 말중 귀에 닿는 말이 있는데

`저그는 요즘 너무 오만해졌다...

암울하다 불린 시절엔 감염충도 써보고... 울트라도 써보고

맹덕드랍도 하고 땅굴도 파고 그랬는데...

요즘은 선 앞마당이후 땡바퀴나 뮤링링만 하더라...

 

ps. 참고로 저는 기분 내키는대로 그때그때 종족 바꿔서 하는 사람입니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갋걁겗겕 (2010-12-07 02:05:0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3연벙은 지금보다 훨씬 올인이었죠. 지게가 없을 때니. 게다가 지금은 마린 무빙샷도 더 쎄요. 스1 때 보다 한층 강력해짐. 반면 저그가 막는 방법은 여전히 비슷. 여왕은 치즈러시 때는 안 뽑는게 상책이고.
스타신 (2010-12-07 02:05:49 KST)
1↑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오만이라고 까지 몰아세울 필요는 없을거 같구요! 제가봤을땐 욕심이 과해서 그렇게된듯 싶습니다. 가촉 조금이라도 아껴서 테란보다 자원적인 측면에서 앞서가려는 욕심이 패배를 불러온듯 싶네여^^
아이콘 JJ짤 (2010-12-07 02:09: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땅굴이 20초라 그럼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요즘 땅굴은 펑 하고 파바바바박 하는 그런게 아니라서.. 땅굴이 10초만에 뚫리면 펑! 하고 파바바박 할텐데
아이콘 Zegna (2010-12-07 02:48:00 KST)
1↑ ↓1
센스 이미지
그러면 가시촉수 회수가능하게 해달라.. 왜 벙커만 회수가능하냐 가시촉수도 회수하자
cosmosfirst (2010-12-07 02:50: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벙커회수는 좀 바꿔야 할듯함 블리자드가 테란의 모토를 효율적,창의적으로 잡은듯한데 너무 과한 모습;
cosmosfirst (2010-12-07 02:52:01 KST)
2↑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오늘 기사도님이 언급한것도 있지요. 치즈러쉬가 잘못된게 아니라 치즈러쉬를 의도하는 현 맵 밸런스, 중후반의 저그강세 가 잘못되었다고 언급하셨지요.
큐지a (2010-12-07 02:57:49 KST)
0↑ ↓2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전 솔직히 후반 저그강세도 웃긴게
플토나 테란이나 죽도록 광자포깔고, 행요깔면서 저그랑 무조건 멀티만 같이먹으면 질수가 없습니다. 고철처리장 많이 어려워하시는데, 멀티만 같이 먹어줘도 저그가 정말 하기 힘든 맵이예요.
cosmosfirst (2010-12-07 03:18: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멀티 같이먹는게 상당히 힘들지요. 테란이 추가멀티 하나 더할때 저그는 2개하는식으로 해도 좋고 추가멀티시도할때 본진뮤탈살짝 들어갔다가 멀티 쓱 치러가면 밀리고...
hekler (2010-12-07 03:55:0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가촉이동되잖소 벙커는회수가되고
아이콘 낭만밀리샤 (2010-12-07 04:20:0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치즈러시는 저그보다 플토가 막기 힘든걸로 아는데. 암튼 그냥 치즈러시만 해가지고 다야찍는 이 시점에서 이건 확실히 너프해야함
Mosin (2010-12-07 07:52:5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거리 가까우면 선못이라도 그냥 해병 모으면서 기다리다가 멀티 올릴때 치즈러쉬 하면 50/50 은 나옵니다.

저그가 멀티도 안먹은 주제에 맹독까지 올리면 맹독 올인만 대비하고 벙커박으면 되구요.

15선앞을 막기위해 치즈가 개발된거면 15앞 제외하고는 박살나야 하는 전략이겠지만, 현재로서는 비슷하다 싶으면 지게믿고 그냥 다 몰고 나와서 병력상 비기기만 해도 경기는 이깁니다.

해보면 압니다. 수송업 하느라 맹독 없다 싶으면 일꾼 우르르. 땅굴 올인 막고 우르르. 어떠한 상황에서도 병력 + 일꾼 올인보다 우위의 병력을 가져야 하니 초반 자원에 목숨걸고 선햇 하죠.

말하신 김남규 선수대 김원기 선수의 16강 보셨다면 이런말 안하실 텐데요. 초반도 아니고 아니고 밤까까지 올린 상황에서도 그냥 비슷하다 싶으면 지게믿고 일꾼 총동원. 일꾼이 전장과 떨어진 곳에서 놀고 있어서 의미없는 치즈였습니다만, 마치 치즈가 15햇만을 대상으로 나오는 것처럼 얘가히지는 맙시다.
아이콘 lautlos (2010-12-07 08:57:37 KST)
0↑ ↓0
센스 이미지
글 대부분은 공감하는 바이나, 임재덕 선수의 오만은 듣기 좀 그렇네요.
선수들은 누구나 조금더 유리한 쪽으로 게임을 이끌어가길 원하고 저그의 임재덕선수는
선앞마당이 그 유리한 쪽으로 이끌어가는 방법이라고 생각한것일수도 있지요.
이까이꺼 막을수있다. 라서 앞마당을 간게 아닐수 있단말입니다. 단정짓지는 마시지요.
다만, 박서용선수가 치즈러쉬를 한게 비난받을 일은 아닙니다만, 여론의 비판이 잘못됐다고 생각지는 않는게, 원래 구경하는 입장에서는 재밌고, 운영이 있는 경기가 나오길 바라니까요
테징징 (2010-12-07 11:49:41 KST)
1↑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올인성 치즈러쉬를 가촉 하나로 방어하려고 한 게 오만 아닌가요?

솔직히 어제 경기볼때 가촉 하나인거 보면서 '아 이건 존나 긴가민가하긴 한데... 근소하게

뚫을 수 있을 것 같다.' 라고 생각했는데, 임재덕선수가 그정도도 볼 줄 몰랐을까요?

근소하게 막아내고, 가촉 값 150을 아껴서 한번 막아내고 그 후에 자원 우위를 빠르게 점하려고

판단한 것으로 '보여지는데' 아닌가여?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