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08-07-24 17:47:48 KST | 조회 | 383 |
제목 |
52 데페 개편 후기글
|
<★☆★☆승리의 윈드밀★☆★☆>
- 현재 제 스킬트리
잭스파이크 5
라이징 샷 20
캔슬 라이징 샷
마하킥 19
캔슬 마하킥
윈드밀 20
라이징 윈드밀
에어 레이드 12
헤드샷 14
캔슬 헤드샷
멀티 헤드샷 1
난사 1
리볼버 패닝 10
데스 바이 리볼버 9
개틀링 건 1
바베큐 1
퍼니셔 1
슈타이어 대전차포 1
트리플 클러치
퀵 스탠딩
우선 기본적으로 레인저/데스페라도의 경우에는 거너 기본 공통 스타일리쉬 스킬들이 전부 이번 개편으로 '승리' 라고 말할 수 있을정도로 데미지가 전 보다 상승하였기에, 기본 스타일리쉬 계열 스킬들을 주로 사용하는 레인저/데스페라도들에게는 그야말로 안성맞춤이다. 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이젠 퍼니셔가 1레벨 기준으로 물리 퍼센트 데미지 방당 80% 입니다.]
라이징 샷의 경우 캔슬기가 추가 됨과 더불어 기본 데미지가 엄청나게 뻥튀기 되서 마스터 시 무려 물리 퍼센트 데미지 600% 를 주게 됩니다. 캔슬기가 추가 된만큼 평타에 헤드샷 쓰는 것 처럼 사용하여 괜찮은 데미지와 공중으로 띄워 후속콤보를 노릴 수도 있고, 특히 트리플 클러치 연계 공격으로 들어갈 때는 진짜 상상을 초월하는 타격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현재 제 데스페라도가 결투장에서 물방이 10,000 에 다다르는 한 만렙 블래스터 분을 상대로 하였을 때 노크리 라이징 샷 마스터 데미지 2000 ~ 3000 사이 뽑았습니다. [이건 좀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예전 라이징 샷을 마스터 할 시 띄우는 힘이 어떻게 됬는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라이징 샷 마스터 할 시 띄우는 힘은 약 210% 정도로 리볼버로도 서있는 케릭터를 상대로 라이징 샷이 적중하면 화면 맨 위 까지 날아갑니다. 결투장에서 트리플 클러치로 윈드밀 중 마하킥 사용으로 멀리 밀어낸 후 라이징 샷으로 띄우면 달려가서 난사 자세 준비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은 나옵니다. 트리플 클러치를 습득하면 라이징 샷과 마하킥의 공격력을 상승시켜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이점으로 인해 더욱 더 강해지는 느낌도 있구요.
또한 윈드밀도 예전처럼 마스터해도 그다지 좋지않은 데미지를 주는 것이 아니라 쭉 마스터 레벨인 20 까지 찍으면 200% 의 물리 퍼센트 데미지에 추가로 1090 의 물리 고정 데미지 까지 주게 됩니다. 기본 2회 타격인데 크리 터지고 에어 레이드로 올리던가 트리플 클러치로 마하킥 후 라이징 샷 콤보로 들어가던가, 둘 중 하나만 해도 왠만한 케릭터의 체력을 5 분의 1 에서 4 분의 1 정도 순식간에 증발시킬 수 있습니다.
문제점은 윈드밀 중 이동이 삭제 되고 그 기능이 에어 레이드로 갔지만 윈드밀 중 이동과 에어 레이드의 이동 비율이 2:1 이고 그에 따른 스킬포인트의 투자가 더욱 더 커졌다는 것 입니다. 현재 에어 레이드 12 레벨이 개편 전의 윈드밀 중 이동 스킬 레벨 5 ~ 6 정도인 느낌입니다. 하지만 윈드밀을 쓰고 적을 공중으로 띄워버리는 기능과 대폭 상승 된 윈드밀 자체의 데미지로 인해 그 공백은 메워지는듯 합니다. 이젠 딱히 고각이나 바베큐도 필요없는 느낌인 것도 같고 -ㅈ-...
마하킥의 경우에는 쿨타임이 늘어났다는 말이 있으나 오늘 결투장 약 4시간 정도 뛰어본 바로는 그다지 큰 차이를 느끼지를 못하겠습니다. 참고로 마하킥의 경우에는 19 레벨 기준으로 물리 퍼센트 데미지가 210%, 물리 고정 데미지가 1800 ~ 1900 맞먹습니다만은, 정확한 수치는 아니니 던파 공홈의 스킬플랜에 가셔서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기억이 잘 나지 않아서 죄송합니다.]
헤드샷은 더욱 더 강해져서 큰 불만도 없습니다. 리볼버 패닝의 경우에는 달라진 점이 없습니다. 데스 바이 리볼버는 쿨타임이 30초로 하락하고 지속시간이 30초로 증가하여 사냥터에서 데스 바이 리볼버 버프를 무한으로 키고 다닐 수 있습니다만, 리볼버 공격으로 크리티컬 공격을 터트릴 시 얻는 데미지 보너스가 70% 에서 50% 로 하향하였습니다.
하지만 데스 바이 리볼버 시전 후 20초의 공백이 사라지고 오히려 평균적인 공격력이 상승하였으므로 그다지 하향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단, 결투장에서는 개편 전과 마찬가지로 지속시간 20초 / 쿨타임 40 초 입니다. 되려 결투장을 즐기시는 분들에게는 안타까운 소식일 수도 있겠으나, 기본 스킬들이 강해졌으므로 그다지 징징댈 것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멀티 헤드샷의 경우 견제기로 탁월한 것 같습니다. 난사 모션을 사용하여 1 레벨 기준 방당 400% 의 물리 퍼센트 데미지를 가진 탄환을 '방향키를 연타하여' 해당 방향으로 한 발씩 끊어 발사하고, 총 5발을 발사하는 스킬입니다. 생각보다 범위도 넓고 연사속도도 빠른 편이며, 적의 경직도 괜찮은 편이기에 쓰러진 적도 맞추기에 에어 레이드 후 마하킥으로 한번 차주시고 멀티 헤드샷을 시전하시던가 짤잘이를 하시던가, 어느 것을 하셔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메카닉이나 소환사 상대할 떄 좋았습니다.] 하지만 찍을 스킬들이 늘어난 탓에 더블 건호크의 선행용이 아니라면 1 정도만 찍는게 무난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동 사격과 더블 건호크는 스킬 포인트 문제로 사용해보지는 못했으나, 결투장에서 어느 데페 분의 이동 사격을 보고 경악하였습니다. 아크메이지가 이동 사격만 맞고 죽었습니다. [총알이 아래로 휩니다!] 더블 건호크는 결장에서 사용하는 것을 총 5번 보았는데, 권총 제 2 사출 떄 부터 띄우기 판정이 들어가고 던진 후에 다른 추가 행동[ex) 헤드샷, 라이징 샷, 마하킥] 도 할 수 있기에 괜찮은 편인 것 같습니다. 더군다나 돌아오는 특징 때문에 한 번 더블 건호크를 던진 레인저/데스페라도에게 무작정 달려들면 진짜 피봅니다.
패시브에서 액티브가 되어버린 리벤져랑 건가드는 할 말 없습니다. 그냥 쓰레기[?!].
그리고 난사...
범위 진짜 상승하였습니다. 옙. 개편 전이랑 비교가 될 정도입니다.
[이미지:884950]
하지만 안심하긴 이릅니다. 데미지가 하향하였습니다.
[이미지:884949]
진짜 데미지가 시궁창입니다. 풀히트 시 데미지를 육안으로 비교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아니, 애초에 어떤 짓을 했는지는 몰라도 범위가 상승하였다면서 풀히트가 불가능합니다. 미쳤다고 벨라트릭스에게 초근접 한 뒤 겹치고 난사 써서 최고 16 히트까지만 띄워봤습니다. 제 손이 느려서 그렇다고 하시는 분도 있으시겠습니다만은, 제 데페는 패스트팬도 꼈으며 손으로 안 되서 오토키보드도 사용한게 16 히트입니다.
[이미지:884954]
이제 난사는 1 레벨 때 물리 퍼센트 데미지가 방당 100% 이고, 1 레벨 씩 상승할 때 마다 5% 씩 상승합니다. 결국 10 레벨 까지 찍어야 방당 물리 퍼센트 데미지가 150% 가 된다는 소리입니다!
[이미지:884953]
뭐, 그래도 다른 스킬들이 다 평균 이상이 되서 징징거리면 안되겠지요.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이번 거너 개편에서 레인저/데스페라도는 '승리' 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스킬포인트를 조심하셔서 찍으셔야합니다. 현재 제가 맨 위의 스킬 대로 해서 남은 스킬포인트가 20 안팎입니다. 부디 레인저/데스페라도 유져 분들께서는 한 번 정도는 던파 공홈의 스킬 플랜을 이용하여 먼저 스킬을 찍어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이만 여기서 두서 없이 막 써버린 후기글을 마칩니다. -ㅈ-.
[이미지:884961]
P.S.
메카닉 45 렙제 찍지 마세요.
-> 데미지도 병설에 마스터가 아닌 이상 1:1 에서도 그다지 효율 뽑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선행에 드는 스포만 90+150+150 으로 390 입니다. 진짜 그 스킬포인트를 다른 스킬에 투자하세요.
메카닉 G 시리즈 찍지 마세요.
->퍼뎀 병크입니다. 결투장에서 G시리즈 스패로우 팩토리 선행만 찍고 발동시키면 랩터 소환 시 바로 지속시간이 끝나버립니다. 지속시간을 늘리려면 전체적으로 G시리즈 전체를 투자해줘야하는데, 스킬들이 전부 다 30SP 씩 잡아먹습니다. 과감하게 버립시다.
메카닉 게이볼그 마스터 하세요.
-> 제 53 마이스터가 지능 500 마공 1100 게볼 레벨 3 으로 언더풋 보스 피 4줄 깎았습니다. 킹왕짱.
스핏 약화 안 됬습니다.
-> 노강 트라이 끼신 서민 스핏파이어 분에게[방어구 상점템. 악세서리도 제대로 맞추시지 못하신 분. 상압 풀셋] 섬광류탄 한 대 맞고 작열탄 짤짤이 맞고 또 작열탄 짤짤이 맞더니 바로 죽었습니다. 에어 레이드로 스턱나서 혼자서 공중을 날고 있었는데 바로 섬광류탄에 한 대 맞으니 피의 4분의 1이 증발하였습니다.
..........?
[이미지:884970]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