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708 / 1266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최지룡
작성일 2007-11-15 11:19:58 KST 조회 380
제목
[개념글]점검중에 써보는 그래플러 개념글?!
그래플러

내 손에 잡히면 무사하지 못할 거에요. 나에게 다가올 땐 각오하셔야 할 걸요.

잡기 기술의 달인. 근접전에 있어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강한 허리힘과 여성 특유의 유연함으로 잡는 순간 적에게 치명상을 입힐 수 있다.
강한 근력을 바탕으로 공중에서 적을 내리꽂는 스파이어는 그 강력함만큼이나 화려하다. 투박한 격투가의 길을 걷는데 있어 여성 본연의 모습으로 아름다움을 좇는 것에 큰 매력을 느낀다. 하지만 그 아름다움에 넋을 놓고 있다가 어느 순간 눈 앞에서 자신의 몸을 잡고있는 그녀를 알아차린다면 이미 때는 늦었다. 멍하니 하늘이 거꾸로 돌아가는 것을 보고만 있어야 할 것이다. 어떤 누구와도 견줄 수 없는 강력함과 화려함을 지닌 그래플러는 끊임없는 연마를 통해 더 강력하고 화려한 기술을 선보인다.

-----------------------------------------------------------------------------------------------

그러플러란 스트라이커와 함깨 근접을 주로 하는 격투가 군에서도 초 근접에서 사냥을 하게 되는 직업입니다. 스트라이커의 경우는 평타 위주의 액티브한 사냥이 중심이라면 그래플러는 잡기 위주의 조금 안정적인 유형의 사냥을 주로 하는 편이죠. 그만큼 피격 횟수가 적고 안정적인 딜링을 할수 있지만 반대로 물리공격력을 반영하는 스킬이 없어 대미지의 한계를 느끼게 되는 직업입니다.
하지만 적들 사이에 공격을 회피하며 잡기 기술로 사냥을 하는 모습은 보는 사람의로 하여금 감탄을 지어 내게 하기도 합니다. 그럼 이제 그래플러에 대한 가벼운 설명에 들어가볼까요.

-----------------------------------------------------------------------------------------------

스킬

격투가의 스킬은 '체술','넨','더티','마셜아츠','일반'(그리고 인술... 은 아니구나!)이렇게 5가지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각각을 살펴 보면 우선 '체술'은 그래플러의 대다수 스킬이 몰려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닌 그래플러 특화 스킬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넨'. 이쪽은 넨마스터에게 특화된 스킬들로서 그래플러가 배워야 되는 스킬은 거의 없는 편입니다. 그냥 무시해도 되는 경우도 있죠. '더티'쪽의 스킬은 스트리트파이터의 스킬이 모여있는 곳으로서 헬터스켈터,크라우치 가 있지만 않배워도 무난 합니다.(랄까 않배우는 편이 좋다고 느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마셜아츠의 경우 격투가 모두가 두루 이용하는 뮤즈어퍼나 질풍각이 있는 스킬로서 일부 결장 견재용 스킬이 있고 스트라이커의 스킬들이 모여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일반 스킬은 모든 직업군이 배울수 있는 스킬들이 모여 있는 것으로서 이것 저것 쓰면 유용한 스킬들이 있기는 합니다...만. 직업 특화라고 보는 스킬은 없습니다.(간단히 말해서 찍어도 무난... 않찍어도 무난...)

그럼 우선 체술 쪽부터 살펴 볼까요.

헤머킥 - 5(c)or0 헤머킥의 경우는 의견이 다양 합니다. 이걸 올려서 캔슬을 익혀서 바닦에도 콤보를 연결할수 있다는 쪽과 없어도 무난하다는 쪽으로 많이 나뉘는 편입니다. 전 개인적으로 뮤즈어퍼(판정이 조루지만요)를 올리는 편인대다가 사실 헤머킥 써갈려면 상당히 신경을 많이 써야 되는 편이죠. 없어도 무방하다고 봅니다. 결장 위주는 5 찍어 주면 좋지만 사냥 위주라면 않찍는 편이 좋습니다.

수플렉스 - 20(C) 이건 선택이고 그런거 모름비다! 그래플러에게 가장 중요한 스킬이다 싶은 우리의 수틀렷수! 적을 잡아 뒤로 내리 꼿아 주는 스킬 입니다. 중요한건 쿨이 굉장히 짧은 편인대다가(수플렉스 사용하고 다른 잡기 한번 사용하면 다시 수플렉스 사용이 가능한 정도 입니다.) 앰 소모도 그다지 심하지 않고 대미지 역시 섭섭치 않은 수준 입니다. 마스터와 켄슬을 찍어주는 것은 결장이든 사냥이든 모두 필수 과재라고 봐도 무방 합니다.

백브래이커 - 0or1or10 적의 뒤에서 수플렉스를 사용시 발동하는 패시브 스킬입니다. 쿨도 없고 앰 소모도 없는 나름 유용한 스킬이기도 합니다. 적의 뒤에서 잡을시 발동이라는 애매한 조건이 있지만 익숙해 지면 쉽게 발동 시키기도 하는 스킬이기도 합니다. 단! 적용이 수플렉스에 한해서 이기 때문에 조금 스포를 많이 희생하는 느낌이 들기도 하고 수플랙스를 뒤에서 노려야 되기 때문에 견재용으로 쓰는걸 꺼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0을 찍어도 무난(대채로 결장에선 0) 1정도는 견제용으로 유용 합니다.(백브래이커 발동시 평소보다 잡기 지속시간이 늘어나서 사냥시 팀원들의 화력 집중에 도움이 됩니다) 10스킬인 경우 잘만 쓰면 수플랙스 댐지가 살인적인 수준이다 라고 느껴 지시게 되실 겁니다. 결장은 0 또는1. 사냥은 0또는 10을 추천 합니다.(전 0으로 가지만요)

강력한 테이크 다운 - 10 잡기의(로플리은 재외) 대미지와 충격파의 대미지와 범위를 증가 시켜주는 아주 소중한 스킬 입니다. 닥 마스터 입니다. 마스터 하면 화면의 1/4 정도 수준의 충격파를 볼수 있습니다(채감상... 그보다 작을지도)

반드시 잡는다 - 5~10 잡기가 가지는 최대의 문재점을 해결해 주는 스킬 1호! 잡기는 본래 잡고 나면 무적이지만 잡기 전에 적의 반격에 너무 취약해 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잡는다 라는 스킬은 그런 단점을 사라지게 해주죠. 잡기 시전시 슈퍼아머 상태로 만들어 줍니다. 이름그대로 대미지를 입던 머가 됬건 잡기를 한다 그거죠. 5정도 찍어도 사냥에선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단지 10 스킬에 가까워 질수록 쿨로 사용하지 못하는 시간이 감소하고 여러가지로 편하기는 합니다. 이건 사냥 결장 따질거 없이 취향 차이. 그냥 5~10 을 SP 남는 수준에서 적절하게 분배하는게 샌스 입니다.(스킬을 올릴시 지속시간과 쿨이 함깨 증가 합니다. 하지만 지속시간과 쿨의 갭이 점점 줄어들어서 올리면 확실히 유용하기도 합니다.)

슬라이딩 그랩 - 3~10 잡기의 문제점을 해결해 주는 스킬 2호! 잡기의 또다른 문제점은 바로 이동이 불가능 하다는 것이죠. 발동 범위가 좁다면 적이 쉽게 슈슉~ 하고 회피해 버리니 의미가 없게 되죠. 그런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바로 이 스킬! 달려가다 잡기를 시도 하면 스르륵 미끄러 지면서 잡기를 유지 하게 됩니다.(이때 반드시 잡는다를 시전 중이라면 슈퍼아머가 유지 됩니다!) 스킬을 올릴수록 이동 시간이 증가 합니다.(속도는 이속에 영향을 받습니다) 3스킬을 찍은 경우는 결장이든 사냥이든 그냥 쓸만 합니다. 5스킬은 적절한 상황(좀 결장에서 유용. 사냥에서도 무시 못하지만요)10스킬인 경우는... 그플이 슈아 덩어리로 바뀌게 됩니다. 이건머... 공포죠. 사냥 주력이시라면 3스킬도 무난.. 하지만 5~10 스킬 사이를 추천 하는 편입니다. 결장은 못해도 5는 넘기는 편이 유용 합니다.
ps.슬라이딩 그랩의 경우는 너무 많이 올리는 것도 단점이 되기도 합니다. 물론 자신의 이속이 충분하다면 상대방의 반격을 효과적으로 피하면서 시전이 가능하지만 이속이 충분치 않다면 반대로 슬라이딩 그랩을 회피했을때 오는 반격이 너무 커지게 되죠. 따라서 1씩 1씩 올려 가면서 자신이 느끼기엔 이게 최적이다 싶은 선을 찼아 내는 것이 최선의 답이기도 합니다. 이 스킬에 한해서는...

로플링 - 5(c)or20(c) 로플링은 일단.... 기간틱 타이픈의 선행일 겁니다(확실치는 않내요) 적 하나를 잡아서 획 하고 던지는 스킬입니다. 던지는 방향은 좌,우 방향키를 이용해서 조정이 가능하죠. 하지만 날라가는 궤도가 조금 부적절 해서 대량의 대미지 딜링은 기대하기 힘들은 것이 사실 입니다.(충격파도 없습니다) 벽쪽으로 던진다면 단일 딜링에선 무시 못하는 수준이지만... 역시 그다지 쓸만한 스킬은 아님니다. 사냥위주라면 5를... 결장이라도 그다지 20은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직접 채험해본 바로는요) 결론은.. 이건 일단 5만 찍고 나중에 조금씩 올려 보는것도 방법 입니다. 그러니... 5를 추천!

숄더태클 - 1or마스터 숄더태클... 크라우치의 업그래이드 버전이라고 보시면 무난 합니다. 잠시 몸을 수그리고 (이때는 하단 판정만 공격을 당합니다. 좀 이게 사기죠.) 0.5~1초 가량 충전을 하게 됩니다.(물론 스킬을 유지하고 있다면 계속 그 상태로 있을수도 있습니다)충전을 마치고 스킬을 발동시키게 되면 앞으로 돌격하면서 대미지를 입히게 됩니다. 이때 입히는 대미지는 충돌시 주는 대미지 + 충돌후 튕겨나가면서 다른 적에게 충돌할때 주는 대미지 식으로 2단으로 주게 됩니다. 이게 무슨 소리고 하면... 적이 여러명이 있을시 충돌 대미지 + 충돌되서 날라가는 적이 다시 주는 대미지 식으로 해서 엄청난 수준의 댐지를 주는 경우를 볼수 있습니다. 사냥에서 정말 유용합니다. 또한 몇 않되는 그래플러의 물리 공격력 반영 스킬이기도 합니다.완전히 충전을 했을시 이동거리, 대미지가 증가하고 슈퍼아머 상태로 돌격을 하게 됩니다. 사냥 위주는 마스터 추천. 결장위주라면 1스킬 혹은 마스터(콤보 연결이 까다롭기도 한게 사실 입니다)

에어슈타이너 - 마스터 그래플러의 무시무시한 공중 견제 기술인 에어슈타이너 입니다. 공중에서 적을 무릅사이로 끼워서 땅에 내리 찍는 스킬입니다. 하지만 공중 전용 스킬이 아닌 공중에서 지상으로 사용이 가능한 스킬입니다. 한마디로 좀... 유용하다는 거죠. 대미지가 상당히 괜찬은 편인 대다가 멋지구리 한게 마스터 해도 전혀 손해본다는 느낌이 없습니다. 반드시 잡는다를 시전시 공중에서 발동후 적을잡을때 까지 무적 상태를 유지 합니다(이건 어디까지나 제 사견 입니다만 슬라이딩 그랩의 유지 시간만큼 슈아가 유지 되는듯 합니다. 물론 잡기 시도 시간도요.) 사냥이든 결장이든 닥치고 마스터 입니다.

스파이어 - 마스터(C) 그래플러의 몇 않되는 무큐기.(각성기 빼곤 이거 뿐이죠 후우) 적 한명을 잡고 회전을 하면서 공중의로 올라 갔다가 땅으로 다시 내려와 찍어 버리는 무시 무시한 스킬(절대 따라 하지 마세요!) 대미지 역시 괜찬은 편이기는 합니다. 적을 잡고 올라가는 사이에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절한 위치에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 사냥이나 결장에서 유용함을 보여 주기도 합니다. 단지 적을 잡고 올라가기 때문에 파티 사냥시 ' 혼자 살고 싶어서 저러는거 아니냐?! ' 라는 소리를 듣게 되는 슬픈 스킬입니다.(후우) 그리고 삑사리 나면 티가 않나기 때문에 다른직업에게 '무큐기좀 써요' 라는 소리를 듣게 만드는 스킬이기도 합니다.(더구나 쿨은 40초. 후우) 하지만 스킬이 워낙 없다보니... 이거라도 마스터 않하면 정말 쓸만한 스킬이 없구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기에 마스터 가야 되는 스킬 입니다. 사냥 결장 가리지 않고 마스터 입니다.

각성기

옷깃 잡기 - 1or 마스터 정말 유용한 스킬입니다. 잡기 범위가 아주 샤방할만큼 조금 오르기는 합니다. 그럼왜 이런게 필요하냐고요? 이게 Y축 판정도 살짝 늘려 주게 됩니다. 않찍고 찍고는 결장에서 확인이 가능 합니다.(하지만 않찍어도 아쉬울건 없습니다 후우) 사냥은 1~마스터 추천이고. 결장은 그냥 마스터 추천 입니다.

기간틱 타이픈 - 마스터 이 스킬 보고 토네이도 라고 부르는 분들이 많습니다.(사실 하우젠이나 세탁기라고 부르는 분을 더 많이 뵈었습니다) 토네이도는 명백하게 그래플러의 각성명일뿐 이 스킬 이름은 아니죠. 하지만 스킬의 형태가 참.. 토네이도가 떠오르기도 하죠. 적 하나를 잡고 회오리를 형성 합니다. 그러고 나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대 이때 적과 만나면 적을 그 회오리 속에 잡아둘수 있습니다. 회오리가 끝나고 마지막에 어퍼컷을 날려 모든 적을 공중으로 올려 주는 스킬 입니다. 이팩트도 멋지고 적을 잡아둔다는 면에서 의미가 큰 스킬입니다.(이 스킬 하나 때문에 그플은 천민 토네는 귀족 이라는 소리를 듣기도 하죠.) 마스터 입니다. 단 결장에선 쓰기 힘들기 때문에 사냥은 닥 마스터 결장은 1~마스터 처천 입니다.

다음은 넨

분신 - 버림니다

넨탄 - 우걱 우걱. 먹는것도 아니고... 버림니다.

철금강 - 0or5or10 물리 방어력과 체력을 증가 시켜 줍니다만... 실상은 숄더 태클의 선행인 5만큼 찍는게 일반적이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숄더 태클이 1만 있어도 충분히 견재용으로 적절해서 철금강은 5를 추천 합니다.하지만 방어력 증가 옵이 끌리신다면 10 찍어도 무난은 합니다.(증가 수치가 그리 높지는 않습니다)

그다음 더티

헬터스켈터 - 버립시다.

크라우치 - 이 스킬이 미묘하게 숄더태클보다 판정이 더 낮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숄더는 하단이라면 크라우치는 누워있는 수준(바닦이죠) 이라고 하더군요. 1 찍으면 결장에서 순간 유용함을 보여 줍니다. 않찍어도 숄더태클로도 충분합니다. 버리셔도 무난 합니다.(랄까 대다수는 버림니다)

그다음은 마셜아츠

무즈어퍼 - 5(c),7(c),10(c) 어퍼라는 이름과 어울리게 적을 공중으로 올려주는 스킬이죠. 5스킬은 사냥에선 적절한 수준. 하지만 좀 아쉬운 수준으로 적을 올려 줍니다. 7스킬은 사냥과 결장의 타협선 정도 라고 봐도 될 정도 입니다. 올리는 높이도 적당하고 SP도 적당하게 들어가죠. 10스킬은 결장용. 하지만 사냥에서도 이리 사용하는 분들이 많습니다.(백브래이커 사용하시는 분은 뮤즈로 올리고 수플 쓰기도 합니다)개인적으로는 사냥은 7 결장은 10 추천

로킥 - 0or1 결장용 견제 스킬 정도 입니다. 버리셔도 무난.. 하지만 1 찍어두시면 알게 모르게 결장에서 바닦 댐지를 입힐수 있지만... 없어도 무난 합니다.

공중밟기 - 5 질풍각과 에어슈타이너의 선행입니다. 5는 찍어야 됩니다.

질풍각 - 1 격가 공통의 견제 스킬 입니다. Y축 판정이 굉장히 좋은 편이라서 추천입니다. 하지만 사냥에선 자주 애용하지는 않습니다. 사냥 결장 모두 1스킬을 추천.

일반

백스탭 - 0or1(c) 백스탭의 경우는 그플에게 그다지 필요한 부분은 아님니다. 잡기로 적을 잡아버리면 그만 회피할 필요는 없다! 라는 식이 일반적이니까요. 않찍으셔도 무난 합니다. 개인적으로 0을 추천 합니다.

도약 - 0or1 이건... 좀 결장에서도 그플에게는 가다지... 어차피 그플은 적이 뛴 높이만큼만 뛰면 됩니다. 아니 그보다 낮아도 됩니다. 점프력 따윈 거들 뿐이죠. 0을 추천 합니다.

물리 크리티컬 - 0or1or10 물크는 않찍어도 되기는 합니다만 되도록이면 1스킬 추천! 물크가 없으면 충격파가 크리티컬이 절대 터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1이라도 찍어두면 터지긴 하죠. 10 찍어두면 사냥에선 적절하지만 결장에서까지는...(하지만 결장에서 크리티컬은 보정 받지 않으니 찍어 두셔도 좋습니다) 전 1또는 10 추천 입니다.

물리 백 크리티컬 - 0or10 수플랙스(백브래이크X)는 백어택 판정으로 갑니다. 찍어두면 좋기는 합니다만.. 글세요. 충격파는 항상 백어택이 터지는 것도 아니고... 않찍는 편을 추천 합니다.(저거 찍을꺼면 차라리 백브래이크를 찍습니다. 백브래이크 자채도 크리 증가가 있습니다.)

스킬 흠쳐 배우기

이쪽은 버려도 무난 합니다. 별로 차이도 없고 SP소모도 심하니까요.

단 수플랙스 선더의 경우는 조금 다르기도 합니다. 이 스킬은 수플랙스 사용시 일정 확률로 감전을 일의 킵니다. 하지만 공격 횟수가 적은 그플에겐 그다지 매력적이지 못하죠.

이상으로 스킬에 대한 설명은 끝 입니다! 다음에는 장비와 사냥법 등을 써보겟 습니다.
-----------------------------------------------------------------------------------------------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닉네임: 암호: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