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259 / 294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KRG레이너
작성일 2011-12-29 10:53:44 KST 조회 1,466
제목
게등위에 대한 기쁜 소식
말도 많고 탈도 많더니… 게임등급위 내년말 해체
[포커스신문사 | 소성렬 기자 2011-12-26 23:04:33]
 
“내년 말 끝으로 국고지원 중단”
국회 문방위 정부에 최후 통첩
게임 심의 민간 자율로 넘겨야

한시적 기구로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게임물등급위원회(게임위)가 결국 내년 말 해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말로 예정됐던 게임위의 국고지원 중단 시한이 불과 1년 연장됨에 따라 앞으로 게임위의 운영 방향과 존치 여부에 대한 논란 또한 불가피 할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문화체육관광부와 게임업계에 따르면 국회 문화관광방송통신위원회(문방위)는 지난 23일 게임산업진흥법 개정안 2건을 대안 폐기하고 게임위에 대한 국고지원을 내년 말까지 연장하는 내용의 통합안을 통과시켰다.

당초 정부는 국고지원 중단 시한을 없앤 통합안을, 한나라당 이군현 의원 등이 3년 연장하는 법안을 발의했던 점을 고려하면, 문방위 논의 과정에서 게임위 국고지원 기한이 대폭 축소된 셈이다. 문방위의 이같은 결정은 사실상 게임위 해체와 관련 정부와 게임위에 대한 ‘최후통첩’이나 다름없다. 게임위는 문방위의 이같은 결정에 따라 남은 시간 1년 안에 국고 지원 없이 등급 심의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바꾸거나, 아니면 등급 심의 업무 전체를 민간에 넘겨야 한다.

통합안이 확정되고 내년에 추가 개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게임위는 2013년부터 등급 심의 수수료만으로 운영하거나 해체 수순을 밟아야 한다. 실제로 게임위가 국고 지원 없이 수수료만으로 조직을 운영하려면 수수료를 지금보다 최소 2∼3배 올려야 한다.

그러나 해마다 국고 지원이 줄면서 2년째 수수료가 인상된 상황에서 심의 수수료를 다시 갑절로 올리기는 쉽지 않다. 게임 업계 한 관계자는 “지금도 업체당 한 해 수수료가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에 달해 중소 개발업체가 어려움을 호소하는 실정”이라며 “수수료가 갑절로 오르면 게임개발을 포기할 곳도 많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현실을 감안, 국고 지원이 끊어지면 정부가 게임위 조직을 해체하고 심의 기능을 민간에 이양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문화부는 2005년 이후 등급 심의 업무를 장기적으로 민간에 이양한다는 방침을 밝혀왔다.

그 첫 단계로 이번 게임산업진흥법 개정안에 ‘전체이용가’ ‘12세 이용가’ ‘15세 이용가’ 등의 심의를 민간에 위탁하는 내용을 담은바 있다.

국회 문방위의 이같은 주장을 이끌어 낸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민주당 전병헌 의원은 “문화부가 게임에 관해서만 공청회도 제대로 열지 않고 수차례 일몰 시한에 임박해서야 연장 법안을 제출했다”면서 “1년 연장을 규정한 통합안을 연내에 통과시키되 남은 기간에 공청회를 열고 내년 중에는 구체적인 이양 범위와 사후 관리 감독 주체도 선정해야 한다는 취지다”고 설명했다.  국회 문방위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문화부는 이번 통합안에 규정된 연장 기간이 너무 짧아서 사실상 ‘게임위 이후’와 관련한 논의를 진행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문화부 관계자는 “개정 법안에 대해 시행령을 마련하는 등 세부 내용을 정하는 데만 수개월이 걸려 사실상 논의가 불가능하다”고 반발했다. 한편, 이해 당사자인 게임위는 국회 문방위의 이번 통합안 발표로 충격에 휩싸였다.

이수근  게임위위원장은 “법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면 문화부와 논의해 개정된 법을 따라야 할 것”이라면서도 “게임물 관리감독 관련 논의를 하기에는 1년이 너무 짧다”고 말했다. 다만 이 위원장은 “게임물등급위원회가 등급 심의 업무를 민간에 이양하더라도 사후 관리감독 권한까지 정부가 민간에 맡길 수는 없는 일”이라며 “‘게임물관리위원회’라는 이름의 관리감독 기관으로 전환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소성렬 기자 hisabisa@focus.co.kr


-출처:http://www.fnn.co.kr/content.asp?aid=7f594721b8c949c995c65fb60c551417




하지만 그전에 디아블로3가 심의받는다는 불편한진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릉아] (2011-12-29 11:02:49 KST)
0↑ ↓0
센스 이미지
이거 얼마전에 스2게에서도 한번 얘기가 나온적이 있는데

꼭 좋은일이라고만도 할 수 없는 문제라

뚜껑 열려봐야 아는 문제죠.
아이콘 초보템플러 (2011-12-29 11:12:41 KST)
0↑ ↓0
센스 이미지
1년 안에 국고 지원 없이 등급 심의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바꾸거나, 아니면 등급 심의 업무 전체를 민간에 넘겨야 한다.->게등위라면 게임업계 죽던말던 심의수수료 3배정도 올릴 양반들. 아님 디아처럼 심의 질질 끌면서 수수료 중복으로 받아쳐먹기
아이콘 개타엠퍼러 (2011-12-29 11:27:0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사람들이 많이 잘못 알고 있는데..

게등위가 없어지는 거지 심사가 없어지는게 아닙니다..
그냥 게등위가 하던일을 다른넘들이 하는 것 일 뿐.

그자리에 여가부가 들어 갈 수도 있음
아이콘 빌리와심영 (2011-12-29 11:28:19 KST)
0↑ ↓0
센스 이미지
이거 더 X될 수도 있습니다 ㅇㅇ
아이콘 꿀맛인데 (2011-12-29 12:06:29 KST)
0↑ ↓0
센스 이미지
민주당 전병헌 의원이 유난히 이스포츠와 게임계에 관심이 많은 분이라 어떻게 잘되리라 생각하고잇음
깔놈만까 (2011-12-29 12:07:1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외국에서는 민간업체에서 심사한다고 하던데...
어떤일이던 정치적 개입이 있으면 일이 복잡해지죠..
깔놈만까 (2011-12-29 12:17:4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1년 연장하는 내용을 담은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 되면 디아블로3 심사도 통과 될거같은데..
게등위가 안팎으로 신경쓰고 눈칠 볼일이 많다보니 본연의 업무에 너무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는거 같네요..
아이콘 황혼의역습 (2011-12-29 14:17:08 KST)
0↑ ↓0
센스 이미지
심사 규제 완화 좀...
아이콘 쿠오코우 (2011-12-31 01:03:23 KST)
0↑ ↓0
센스 이미지
꼴통들좀 처리만 해준다면야 고마울뿐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