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294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지니아이
작성일 2011-11-18 00:33:02 KST 조회 1,006
제목
수익을 보고 게임을 만들면...

그게 돈을 많이 벌지는 의문


디아블로3가 wow보다 수익이 낮을지 걱정을 마이클 모하임이 할까요?


디아블로3가 세계관을 정립시킨다는 투자개념을로 봐야되는거지?



NC나 넥슨이나 캐쉬질이나 돈에 눈먼다고 욕하지만 여기서 저런 이야기 하는거


자체가 위 회사와 다를바 없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게 아닐까요?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DCBal (2011-11-18 00:37:2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글이 이해가 안 가요
아이콘 신음소리죽이는데 (2011-11-18 01:18:4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게임도 하나의 창작물입니다. 이런것을 너무 수익성에 빗대면 안될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그림를 그리는데 사람들이 좋아할만한 내용과 케릭터를 그렷다고 칩시다.
그것이 어느정도의 흥행이나 돈을 벌지는 모르겠지만 그것이 작자 자신의 내면에 있는
힘을 최대한 이끌어내는지는 의문입니다.
게임이든 만화든 비슷하다봅니다. 그림도 그렇구요.
이분의 요지는 그것같습니다. 게임을 만들어 돈을 버는것은 맞지만 게임을 재미있게 만드는것을
1목표로 해야지 이렇게 이렇게 하면 돈을 벌겠다는 식으로 게임을 만든다면 몇년씩이나
사람들이 빠져들만한 깊이는 낼수없는거지요. 만화도 그렇지 않습니까. 그저 사람들이 좋아하는 이쁜케릭터와 설정만 넣는다고 재미있는 만화는 아니지요.
아이콘 신음소리죽이는데 (2011-11-18 01:22:0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그런 완성도와 세계관을 만들고 팬층이 늘어난다면 2목표인 돈을 벌 구멍이야 얼마든지 나오는거죠. 굳이 게임하나에서 본전뽑는다는 개념은 블리자드마인드라 보여지지 않네요
DCBal (2011-11-18 01:55:0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도 기업인 이상, 이윤추구를 나쁘게 볼게 아니에요. 단지 블리자드는 소비자를 착취한다고까지 말할 수 있는 국내 게임사들의 지저분한 이윤추구와는 다르게 게임성으로 승부하는거잖아요. 블리자드의 수익을 떡밥으로 논다고 해서 NC나 넥슨과 동일시하는건 아니죠.
아이콘 AyeCaramba (2011-11-18 04:31:4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기업이라면 이윤 추구가 우선이죠

근데 '높은 게임성=이윤 증가'라고 보는 회사와
'참신한 캐시질 유도 시스템 창출=이윤 증가'라고 보는 회사 사이엔
제품차이가 분명히 있지 않을까요?
아이콘 TaurenDruid (2011-11-18 05:06:27 KST)
0↑ ↓0
센스 이미지
"이윤=돈"이라고 생각하는건 동네구멍가게 수준의 생각이라니까요 ㅋㅋㅋㅋㅋㅋ
아이콘 후방SCV (2011-11-18 08:52:00 KST)
0↑ ↓0
센스 이미지
신음소리죽이는데 //님이 말씀하신게 맞습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사람들한테 무슨 소린지 아예 의미자체를 전달이 않되요.

그 말은 조그만거라도 창작물을 만들어 봐야만 알수 있을겁니다.

스티븐 스필버그나 최고의 탑오브 탑이라는 창작자들이 부자가 되는걸 떠나서 왜 그 작품이 인정받아서 자연스레 부자가 되었는지를 사람들이 모르거든요.

그냥 대부분의 사람들은 완성된거만 보고 빠는거죠. 어떻게 그렇게 잘 만들었는가는 보지도 않고 말이죠. 그냥 성공했으니까 빠는거에요.

그러고는 이러죠.

'스필버그가 영화를 잘 찍는건 돈 때문이야.'

그러니까 평생 3류로 사는거죠.

심형래가 정말 영화를 잘만들겠다고 그일에만 매진하고 평생을 걸었다면 영화가 그렇게 시궁창 처럼 찍히지도 않았을테고 영화도 일정이상의 퀄이 나왔으니 돈도 더 잘 벌렸을거란건 모르고 말이죠. ㅉㅉㅉ
아이콘 후방SCV (2011-11-18 08:55:45 KST)
0↑ ↓0
센스 이미지
기업도 마찬가지에요.

제품을 만들때 심혈을 기울이고 연기의 연기를 거듭하는 블리자드의 경우 무슨 사전에 정해지지도 않았지만 자기들이 봐서 최고다 할정도의 완성도로 내니까 매번 500만장 이상씩 찍는다는걸 생각도 않하고..

저기 엘더스크롤시리즈나 피파같이 조금만더 다듬었으면 더 최고가 될텐데 주주들이 빨리내라고 압박했다면서 버그덩어리나 심지어 인스톨화면에서도 간혹 버그가 뜨는 경우로 내는 수많은 게임들 보세요.

기업이 정말 돈만 보고 게임을 팔았으면 디아블로3도 더 일찍 판매가 됬겠죠.

에휴.. 이건 진짜 이 관념을 이해를 못하는 사람이 들으면 전혀 알아듣지를 못하죠.

계속 동네 아저씨들이 떠드는 기업은 이익 소리만 주구장창 해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이콘 후방SCV (2011-11-18 09:03:41 KST)
0↑ ↓0
센스 이미지
노력하는 사람에게 돈이 알아서 따라오고 돈보고 달리는 사람에겐 돈이 달아난다는 아주 평범한 진리를 왜 기업에는 적용시키지 못하는가 아쉽네요.
ACC (2011-11-18 10:27:5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TaurenDruid//말씀하시는 바는 알겠으나 "이윤=돈"이라고 생각하는게 동네가게만은 아닙니다ㅋㅋ
넥슨과 엔씨가 참신한 캐쉬아이템 및 현질로 근 1조원 찍는 회사에요. 이 두 회사 모두 나라 경제에도 어느정도 보탬을 하고 있고요. 다른 나라 유저는 모르겠으나 우리나라가 욕할 건 아니라고 봄
다중복이래 (2011-11-18 11:27: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ACC // 엔씨는 6천억이죠..1조의 60%인데 상당히 큰 차이입니다만
ACC (2011-11-18 11:44:3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다중복이래//넥슨을 기준으로 생각했습니다. ㅈㅅ;;
DCBal (2011-11-18 12:11: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진짜 난독증 있으신가봐요. 기업인 이상 이윤추구를 하는게 어쩔 수 없다고 한거지 돈 떄문에 게임을 만든다는거랑은 전혀 다른거죠. 지금 여기 게시판보면 블리자드가 이윤추구를 한다는것 자체를 부정하면서 거의 신격화를 하고 있는거 굉장히 보기 안좋거든요.
DCBal (2011-11-18 12:17:1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기업이 정말 돈만 보고 게임을 팔았으면 디아블로3도 더 일찍 판매가 됬겠죠.' 라구요? EA같은 게임을 찍어내는 게임사들과는 다르게 블리자드는 게임 하나하나 정성들여서 만들고 그 게임성으로 승부를 보는겁니다. 굉장히 모순되는 말을 하시네요. 블리자드가 그렇게 게임 대충 만들면 게임마다 몇백만장씩 팔리겠나요? 게임을 만드는 이유가 돈을 벌기 위해서라는게 아니라 기업인 이상 매출, 수익에 민감할수밖에 없고 블리자드가 이윤추구를 한다는 분명한 사실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지 말라는겁니다.
DCBal (2011-11-18 12:31: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의 개발의 원동력이 장인정신이든 이윤추구든 사실상 말장난이죠. 블리자드는 뭐가 더 올바른 길인지 잘 알고 있는거구요. 애초에, 잘 만든 게임이랑 잘 팔리는 게임을 따로 볼 수 있나요? 잘 만들면 잘 팔립니다. 많은 기업들이 대충 만들고 더러운 수작으로 이윤추구를 하는것과는 달리 블리자드는 잘 만드는 길을 걷고 있는거죠. (또 다시 강조하지만 블리자드가 돈을 벌려고 게임을 만든다는 소리가 절대 아닙니다) 그걸로 호감을 가지는건 좋습니다만 무슨 블리자드는 이윤추구와는 전혀 상관없는 집단인양 생각하는거 꼴보기싫어죽겠네요. 기업이 이윤추구를 한다는 너무나도 당연한 사실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면서 블리자드를 깎아내리는건 그쪽이죠.
아이콘 신음소리죽이는데 (2011-11-18 13:37:2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맞는길을 가고 있다가 정답인것같습니다. 블리자드도 이윤추구를 하는것은 당연하겟지요. 저는 디자인과를 다니는데 주변학우들이 잘팔릴 물건만 생각하는것을 보고 평소에 울컥해서. 위에 글을 싼거같습니다. 위엣분들 말씀은 다 맞는말같아요. 제품을 만들어도 잘만들면 잘팔리겠지요. 그리고
이야기가 빙빙도는것 같은데 저는블리자드가 이윤을 추구하지 않는다고는 안했습니다. 그저 완성도와 깊이가 딸리면 수많는 사람들이 빠져드는 문화를 만들기 어렵다는것을 아는것 같습니다. 결론은.
이윤창출을 기업이 추구하는건 당연하다. 하지만 눈앞의 작은이윤에 완성도나 ㅅ계관을 포기하는것은 불량품을 내놓는것과 다르지않다고 봅니다. 불량품이나. 미완이라도 이윤을 얻긴하겠지만 사람들이 깊ㅇ빠질 것은 없겟죠
아이콘 신음소리죽이는데 (2011-11-18 13:39: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밤ㄹ 새서 조금 횡설수설하니 글이 두서가 없어도 이해좀 부탁드립니다 :;
DCBal (2011-11-18 13:45:4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제가 쓴 글은 후방scv님한테 한 말이에요. 저번부터 항상 이윤추구 자체를 부정하시더라구요. 아니면 제가 '블리자드가 돈보고 게임을 만드는건 아니다' 라고 수없이 말해도 그걸 못알아듣는거든지.
막타 (2011-11-18 14:05:4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회사는 이윤추구가 목적입니다.
캐쉬질에 눈이멀건 세계관을 멋지게 꾸며서 유저들이 사게하건..

결국엔 같은 목적이지.. 무슨 게임회사가 자선단체인것 마냥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음.
ACC (2011-11-18 14:35:4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가 물론 "눈앞의 작은 이윤"만을 보고서 게임을 만드는 건 아니죠.
블리자드도 이윤을 추구하나, "눈앞의 단기적인" 이윤보다는 "미래지향적이고 장기적인" 이윤을 추구한다고 보는게 맞겠지요. 그래서 블자가 개발기간을 오래 잡고 만드는 거구요.
돈을 중요시하지 않아서가 아니라요.
아이콘 후방SCV (2011-11-18 14:55:50 KST)
0↑ ↓0
센스 이미지
블리자드가 돈벌려고 게임을 만드는건 맞아요. 그게 아니라는게 아님.

역시 제가 말한데로 전혀 이해를 못하네요.

그냥 DCBal님이 알아 들을 수 있게 유명한 이야기 하나 해드리죠.

오래전에 짚을 이용해서 신발을 만들어 팔던 2장인이 있었습니다. 그둘은 부자지간인데 이상하게 아버지와 똑같이 만들어 파는데도 자식은 잘 팔리지가 않고 아버지는 만드는 족족 모두 팔려 나갔죠. 오랜 시간이 지나고 아들이 아버지에게 왜 자기 짚신이 팔리지 않는건가 물어보았더니 아버지가 한 말이 짚신에 있는 삐져나온 지푸라기들을 다 다듬으라고 했답니다.

이 이야기가 아주 단순하지만 좋은걸 말해주죠.

퀄리티를 높이는건 단순히 돈때문에 일어나는게 아닙니다. 자기스스로 엄격하게 작품을 만드려고 하니까 나오는거죠.

원피스 같은 만화도 작가가 이제는 습관이 되었다며 배경이나 인물들 하나하나 디테일하게 따는 것도 단순히 돈이 아니라 퀄리티를 최고로 높이려고 하는겁니다.

덕분에 팬들도 더 인정하고 좋아하죠.

정말 돈 하나 때문에 그니까 돈을 가장 최상위의 가치로 놓고 일을 하는 것과 우선순위를 다르게 두는게 얼마나 큰 차이를 내는지 모르시나요?

이건 단순히 기분탓이나 미세한 차이가 아닙니다. 이 의식의 차이가 엄청난 차이를 만든다구요. 아.. 이해를 전혀 못하면 이말도 의미가 없을겁니다.

이건 단순히 게임이나 영화등의 분야가 아니라 모든 일에서도 마찬가지죠. 똑같은 일을 맡겨도 그냥 월급 받으려고 하는 사람과 퀄리티를 높이려는 사람은 나오는 완성품이 하늘과 땅차이입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1-18 14:57:51 KST)
0↑ ↓0
센스 이미지
이렇게 제가 이런 말 않해도 너무나 당연한 이치고 다들 아는거 아닌가요?

왜 이걸 기업이나 특정 제품이 나올때는 망각하는거죠??

기업도 많다 뿐이지 사람들이 모여서 일하는 곳입니다. 오히려 기업은 이윤만 보고 일해. 라고 딱 정해버리는게 얼마나 생각이 모자란건지 아실런지.. =ㅅ=;;
ACC (2011-11-18 15:46: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후방SCV//"블리자드는 이윤을 보고 일하는 회사가 아니다"라는 님의 후빨성 글에 반론한 건데
기업은 이윤"만"보고 일하는 게 아니다...라고 교묘하게 바꿔버리시네요ㅋㅋ
거기다가 짚신장사 이야기로 커다란 교훈까지!! 캬~
후방SCV님의 지식 덕분에 오늘도 PlayXP가 풍요로워집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1-18 18:19:25 KST)
0↑ ↓0
센스 이미지
ACC //전 이윤만 보고 일하는 회사가 아니라고 했겠죠. 한글 읽지를 못하니 대화가 힘드네요. 애초에 이윤보다 완성도나 퀄리티에 엄격한 회사라고 엄청나게 수도 없이 말해도 아예 다른 말은 까먹고 이윤을 보고 일하는게 아니라고 말을 해버리니 이건 뭐..

한번 제가 그렇게 말한걸 긁어와 보세요. 제가 이윤보고 일하지 않는다고 말했는가.

그리고 결과적으로 퀄리티에 관한 이야기는 오히려 댁보다 초등학생이 더 잘이해할겁니다.

돈보고 일하는 사람보다 먼저 퀄리티를 높이면 돈이 굴러 들어온다는 단순한 상식요 ㅋㅋㅋ

어떻게 꼬마애도 아는걸 모르면서 어디서 주워들은 개똥철학을 ㅉㅉ
아이콘 후방SCV (2011-11-18 18:20:14 KST)
0↑ ↓0
센스 이미지
ACC// ㅋㅋㅋㅋㅋㅋㅋㅋ 자! 어서 긁어와 주세요!!
아이콘 후방SCV (2011-11-18 18:22:16 KST)
0↑ ↓0
센스 이미지
ACC //아 하나더 더 웃긴게요. 사실 퀄리티 높이는거야 계속 일정 연기하면서까지 지들 입으로 다듬고 완성도를 자기들 기준에 맞추기전에는 출시 하지 않는다고 인터뷰까지 했으니 아실텐데.. 블리자드보고 돈 밖에 모른다. 모든 행동이 돈 더 벌기 위해서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블쟈드가 지들 입으로 우린 돈벌려고 겜 퀄리티 올리는거입니다. 한것도 아닌데 왜 님 맘대로 블쟈드가 하는 모든 행동이 그저 돈 때문이라고 못 밖나요?? ㅋㅋㅋㅋㅋㅋㅋ

이게 얼마나 웃기는 경운지 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님이 무슨 블리자드 싱크로 했습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ociety (2011-11-19 10:09:5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가 소규모 회사도 아니고, 주주들도 있는 커다란 회사인데

이윤은 도외시하고 그저 게임 퀼리티에만 매달린다고 보는건 조금 낭만적인 견해가 아닐까요 ㅋㅋ;

물론 블리자드도 어느정도 자존심이 있으니 소위 '뽕을 뽑기 위한' 게임을 양산하진 않겠지만 말이죠 ;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