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271 / 294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hellyeah
작성일 2011-11-15 01:03:26 KST 조회 1,502
제목
얼마나 할까 10만원?
게임가의 보통 2배 가격아닌가요?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Soundtrack (2011-11-15 01:23:4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내가 워3 콜렉터스 에디션 가지고 있는데

아마 당시에 65,000원이였던걸로 기억... 당시 일반판은 52,000원인가 그랬고...
암흑집정관 (2011-11-15 01:30: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단 나와봐야 알 것 같습니다.
결국 가격을 매기는 것은 블리자드 맘이기에...
아이콘 눈물사마 (2011-11-15 02:52:05 KST)
0↑ ↓0
센스 이미지
9만원정도면 살생각있음;
구루쉬 (2011-11-15 03:00:0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나도 금전적인 여유가 없어서... 10만원 넘어가면. 고민하고 살듯... 결국은 사겠지만 ㅋ
아이콘 Coldviolet (2011-11-15 06:23:13 KST)
0↑ ↓0
센스 이미지
금전적 여유가 없으시면 2개를 사시고 나중에 하나를 비싸게 파시면 됩니다... 돈이 돈 낳는 세상!
[Nod]Blackhand (2011-11-15 07:26:39 KST)
0↑ ↓0
센스 이미지
10만원...설마요
Syntha6 (2011-11-15 07:38:0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정몽준 : 디아3 그거 한 20원 하나?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08:16:01 KST)
0↑ ↓0
센스 이미지
지금 한정판 가격 물어보시는거죠??

그러면 10만원 내외일테고.. 일반 디아블로3 패키지는 한 6만원 내외일거라 보는데요.
아이콘 닭쳐언니 (2011-11-15 11:56:03 KST)
0↑ ↓0
센스 이미지
15마넌 안쪽일거임 한 13장 예상중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12:37:52 KST)
0↑ ↓0
센스 이미지
디아3일반은 아마 6만몇천원할꺼고(요근래 대작게임이란건 죄다 6만8천원대가 보통)
한정판은 아마 10만원근처일듯.(아마존에서 프리오더한게 11만원이었는데 이건 나중에 실제가가 낮으면 남는돈을 돌려주기때문에 추정치로 받는거라 높게잡음. )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12:39:15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런데 한정판은 훨씬 비싼게임도 많음. 애초에 아트북가격만 할인안하면 3만원대여서 피규어넣은 한정판은 비싼 경우 15만원가는 경우도 있음.
암흑집정관 (2011-11-15 13:36: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요즘 콘솔을 제외하곤 6.8대 게임 찾기 힘들텐데, 죄다라고 말씀하셨네요.
제가 최근에도 피시판 패키지 게임들을 자주 구입했습니다만, 6.8은 보기 힘듭니다.
스카이림도 4.2인가 했구요.
다중복이래 (2011-11-15 14:06: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사실상 온라인 게임인데 일반 패키지게임처럼 가격 책정하면 디아블로2처럼 오히려 손해볼듯
아이콘 닭쳐언니 (2011-11-15 14:10:24 KST)
0↑ ↓0
센스 이미지
일반적인 6.대 한정판은 한정판이라고 하기도 좀 그렇죠... 뭐 들어있는것도 부실하고 비교할건 아닌듯
DCBal (2011-11-15 14:55: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국내에 정발된 pc게임은 6만원대 되는 게임 찾기 힘듭니다. 스타2밖에 생각이 안 나네요(그나마도 내렸고). 콘솔은 꽤 있지요.
아이콘 Kyrie. (2011-11-15 20:09:50 KST)
0↑ ↓0
센스 이미지
한 9만 9천원 할꺼같네요
웨도우 (2011-11-15 21:09:2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후방SCV 이분은 써놓는 댓글마다 요새 나오는 대작은 죄다 6만원대라고 하시는데
정확한 게임별 가격좀 가져와 주시겠어요?
배틀필드3 문명5 마이트앤매직히어로즈6 엘더스크롤5 최근에 국내 정발된 PC패키지게임은 다 4만원대이고 EA게임은 희한할정도로 싸서 나온지 얼마 안됬는데 3만원대인것도 있습니다만...
모던워페어3는 아예 정발이 안됬으니 패스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1:28:31 KST)
0↑ ↓0
센스 이미지
웨도우 // 모던 6만 8천원, 스카이림 6만 9천원 확인이나해보세요. 위에 말하신거 할인가격이고요. 말씀하신 게임 발매 당일날 5만몇천원이었어요. 애초에 3만원대 게임 드립이 얼마나 비현실적인건데요.

메이저 게임중에 발매가가 3만원이요? 아주 과거에 나온 스타1, 디아2때도 그당시 패키지가격이 3만원이 아니었는데요. 왠 말도 안되는 거짓말을 -_-::

패키지게임자체를 사본적이 없으신거 아닌가요? 혹시 네이버에서 검색해서 쇼핑몰 할인가보고 요즘가격 다 그렇구나 하실거면 스타2는 발매때 할인가포함해서 롯데마트에서 4만원에 팔았으니 4만원인가보군요. 허참.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1:35:55 KST)
0↑ ↓0
센스 이미지
이런건 자랑스럽게 이야기할건 아닌데 제가 게임은 정품으로 구입해서 완전 뽕빨날때까지 하는데요. 애초에 요즘 대작이라고 불리는게임들 거진 6만원대가 정상이예요. 어떻게 시세조차 무시하고 말도 안되는 억지를 부리심. 콘솔게임쪽보세요. ...삼국지는 예전에 13만원했떤 적도잇었어요. 스카이림 $59.99,. 콜옵3 $59.99(+Brady Guide $69.99--7만 8천원) -_-:;

이런 당연한거까지 뭐라 할줄이야. 평소에 게임대작들 대작들이고만하지 돈주고 사본적이 있으신가요? 문명은 5만7천원이 발매가였고요. 뭘좀 알고서나 쓰시죠.
웨도우 (2011-11-15 21:41:5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후방SCV//
http://shopping.naver.com/search/all_search.nhn?query=PC+%BF%A4%B4%F5%BD%BA%C5%A9%B7%D15+%BD%BA%C4%AB%C0%CC%B8%B2
자. PC판 스카이림 평균 4만원대입니다. 제가 구입한 사람이에요-_-; 위에 암흑집정관 님도 그렇게 써놓으셨구요.
그리고 모던3는 국내에 정발이 된 게임이 아니잖습니까. 그건 패스해야죠. 모던1은 액티비전 코리아가 있었을 당시 가격 현지화가 되어서 4만원대였으나 모던2부턴 WBA라는 병신유통사가 심의도 안받고 유통을 하는 희한한 짓거리를 벌인 후 결국 7만원대에 내놓긴 했지요.
그리고 3만원대라는 건 "EA게임중 나온지 얼마 안된" 타이틀을 대상으로 말한겁니다. 전 "메이저" 게임이라는 말은 하지도 않았는데 무슨 소릴 하시는지.
http://store.origin.com/store/eara/ko_KR/home/ThemeID.1220300/ccRef.en_US
자. EA스토어의 한국 페이지입니다. 일반판은 대부분 3만원대 후반 내지 4만원대 초반인건 눈이 멀쩡하다면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타2 가격에 대해 언급하신 건 이해를 잘 못하겠네요. 지금 정가가 4만원이 아닌가요?
게다가, 6만9천원이던게 왜 갑자기 블리자드 20주년 기념이라는 핑계로 4만원대로 내려갔겠습니까. 공급은 일정한데 수요가 없으니 시장가격이 떨어지는 당연한 수순을 밟은거죠. 그리고 4만원이 정상적인 가격이고요. 6만9천원이 뭡니까 6만9천원이ㅡㅡ 와우가 국내에 처음 들어올때 무지막지한 월정액요금으로 대차게 까였던것 기억 안나십니까? 지금 약 2만원~3만원이라는 알맞은 수준으로 떨어졌죠. 이게 가격 "현지화"라는 겁니다. 님이 얼마나 부자여서 비싸야 한다 비싸야 한다고 외치시는 건지 모르지만, 한국에선 한국 형편에 맞는 가격을 매겨야 한다는 건데 그게 뭐 잘못됬습니까?
웨도우 (2011-11-15 21:45: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그래요. 와우는 4만원대로 정정하지요 ㅋㅋ 90일 결제시 말입니다.
근데 뜬금없는 콘솔얘기는 왜 하십니까? 블리자드 게임은 모두 PC독점이고, 따라서 님도 PC판을 얘기하시는 줄 알았는데요? PC로 나오는 디아블로3가 콘솔게임들과 가격대가 비슷하다면 그것도 문제있는 거 아닌가요?
웨도우 (2011-11-15 21:50:1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중학교 때부터 배운 걸 새삼스럽게 말하긴 뭐하지만...
게임이 대작이네 어쩌네 해도 최종적인 가격을 결정짓는 건 수요와 공급이죠. 공급자가 일방적으로 "우리 게임 대작이야. 열심히 만들었으니까, 니네는 사!"라고 해봤자 수요자 입장에서 지갑 안 열면 끝이라는 거죠.
게다가 한국 패키지게임 시장은 매우 작죠. 협소합니다. 거진 패키지 게임뿐만이 아니라 끊임없는 이벤트와 할인 이벤트, 프로모션 등 다양한 판촉행사를 벌이지 않으면 잘 찾아오지 않는게 한국 유저들입니다. 그런 나라 한국에서 장사를 하고자 한다면, 당연히 한국 유저들의 경제력과 성향을 등을 파악해서 그에 맞게 마케팅을 해야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근데 후방SCV님의 글을 읽어보면 완전히 블리자드라는 공급자 입장에서만 이야기를 하고 있어요. 여기 있는 사람들은 모두 소비자들인데...공감대를 형성 못하는 건 당연한 것 아니겠습니까.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1:51:47 KST)
0↑ ↓0
센스 이미지
배필3도 스팀에서 멀쩡히 팔고있고 가격은 위에 말한대로. 스카이림도 말한데료. 그리고 스타2도 할인가해서 롯데마트에서 4만원에 살수있었으니 4만원인가보네요. 허참. 지금도 스팀에서 위에 가격대로 팔고있는데 뭔 소리하시는건지.

그리고 콘솔게임은 왜 얼버무림? 콘솔게임은 제작비 무료인감? 애초에 패키지가격이 그런건데 3만원대 이야기는 뭔? 그리고 배필도 발매가 5만 7천원이었음. EA쪽게임들이 대체로 비슷한 가격대를 형성한다지만 앞서말한 그외 대작들은 하나같이 6만원대에 지금도 팔고있음.

결국 사이트 허이구. 링크한다는게 옥션 할인쇼핑몰 스팀에서 파는거 보고오세용.

이건뭐 스타2 4만원에 샀다는 기사 링크해드릴까요? 그럼 스타2도 국내판매가 4만원이었네요. 거기 댓글로도 단체로 싸게사서 감사합니다 적혀잇는데. 정발가가 뭔지 모름?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1:53:08 KST)
0↑ ↓0
센스 이미지
공감대는 댁혼자 하는 소리지요. 억지 좀 부리지마세요. 공급시기 지나고나면 할인쿠폰에 이거저거 덤팅이로 할인하는건 어느회사 제품이나 동일하고요. 애초에 정발가격이라고 나온가격들 말해드렷는데 말도안되는 어거지를 부리심? 스카이림은 뭐 우리나라 정발했나요? 스팀에서 사거나 국가제한같은 락없으니 해외물건 들여온거지
웨도우 (2011-11-15 21:54:0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http://shopping.naver.com/search/all_search.nhn?where=all&query=%B9%AE%B8%ED5&frm=nv_product

마지막으로 문명5 가격 하나 드리고 갑니다.
님이 말씀하시는 5만7천원은 정식발매되기 전 "병행수입"할 때 가격이고, 국내에 "정식"발매 된 후부턴 약 4만5천원 정도로 다운됬습니다. 제가 옥션에서 그 가격에 샀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한번 물어보시죠.
그리고 위 링크는 현재 문명5 GOTY 에디션이 발매되서 5만원 정도 선에 머물러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십시오. 특별에디션이 GOTY판이 5만원대 초반인데, 아직 일반판밖에 들어오지 않았을 초창기에 문명5가 5만7천원이었다는 건 명백한 병행수입 혹은 직수입했다는 뜻 아닙니까 ㅋㅋ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1:54:08 KST)
0↑ ↓0
센스 이미지
배필3가 국내 정발을 안했따는건 도대체 무슨 소린지 모르겠네요. -_-:: 그럼 스카이림은 정발햇음? 국가제한없는 외국게임하는건 블리자드꺼빼면 거의다 그렇지 어차피 한국어 지원자체도 안하는 판국에.
웨도우 (2011-11-15 22:04: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 SCV님 정말 모르시는 것 같아 말씀드리는데...
스카이림은 명백한 "국내 정발된" 게임입니다. <인트라링스>라는 유통사를 통해서 유통됬고요.
증거는 여깄습니다. 게임물등급위원회에.
http://www.grb.or.kr/Statistics/Popup/Pop_StatisticsDetails.aspx?app=41339&type=00
게임물등급위원회에 등록될 조건은 바로 유통사를 통해 게임위의 정식 심의를 받고 들어왔을 경우입니다. 간단한 예로 RTS게임 중 하나인 "월드 인 컨플릭트"가 있습니다. 이 게임의 오리지널은 국내에 정식유통되었으나 확장팩 "소비에트 어썰트"는 정발이 안 됬습니다. 한번 게임위에 검색해보세요. 확장팩은 안 나옵니다.
그리고 스팀 얘기 왜 안나오나 했습니다. 밸브사의 스팀은 국내 사업체등록을 하지 않은 해외 판매업체일 뿐이며, 가격도 외화의 환율의 영향을 받습니다. 스팀이 원화결제가 되던가요? 아니잖아요. 그냥 아마존닷컴 같은 사이트인데 한국어만 지원되는 것 뿐입니다. 그런 건 통상적으로 정식발매라 치지 않을 뿐더러, 해외의 가격이 국내에서의 가격 기준이 되는 것 또한 말도 안 되는 얘깁니다 ㅋㅋ
마지막으로, 제가 드린 링크는 네이버의 "지식iN 가격비교" 사이트지, 옥션이 아닙니다. 옥션 말고도 지마켓도 있고 11번가도 있고 여러군데 있을텐데요? 그 사이트들이 모두 할인된 가격이라 생각하십니까? 부분적으로 차이는 있겠지만, 모두가 정가로 판매하는 사이트입니다. 스팀하고 비교하면 물론 안되구요.
웨도우 (2011-11-15 22:05: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전 배틀필드3가 정발되지 않았다는 말은 안했습니다.
제가 쓴 덧글 눈씻고 다시 봐도 그런 내용은 없네요.
정발되지 않았다고 말한 건 모던3겠죠.
웨도우 (2011-11-15 22:06:3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쓰고나니 "ㅋㅋ"이 거슬려서 지우려고 하는데 수정이 안되네요ㅡㅡ;;;;;;;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08:02 KST)
0↑ ↓0
센스 이미지
거기 3만원대게임들은 하나같이 발매하고 1년이상 지났거나 확팩 혹은 DLC잖수. 오히려 댁이 자랑스럽게 말한게임들 DLC팩합치면 7만원도 거저나오겠는데. 블리자드 패키지가 확팩이 나왔으면 나왔지 DLC가 나온적이 있나용?

아 그리고 앞서말한 그 할인가를 자꾸 말씀하시는데 가서 직접보세요. 그냥 주는게 아니고 뭐포인트에 뭐포인트 더한거임. 그러면 스타2도 4만원에 살수있었으니 4만원으로 아주 저렴한(?)가격이었네요. 문제 없군요.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13:20 KST)
0↑ ↓0
센스 이미지
앞서말한 회사게임중에 가격은 그 패키지 볼륨등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큽니다. 님이 말한 ea패키지는 DLC를 통한 세부적인 분할을 염두해두고 출시가를 가능한 줄이는 회사이기는 합니다만 말그대로 패키지 볼륨자체를 조각낸겁니다. 후에 디력선판인가 나온게 발매 1년이 지났는데도 5만원대하는게 오히려 블리자드게임은 발매후에 지속적으로 맵등이 무료추가되니 이걸가지고 더 비싸다고 말할건 아니지 않나요?

추가로 오히려 공감대라고 말하시면서 많은걸 빼먹으시는데 앞서말한 어떤게임도 블리자드게임 수준의 현지화도 지원되지 않았습니다. 그모든 서비스부족과 볼륨분할가를 완전 1:1로만 놓고 말하시는데 오히려 1:1 비교가 되려면 해외 정발가를 두고 말해야하는거 아닌가요?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15:09 KST)
0↑ ↓0
센스 이미지
서비스불충분이 없는 미국본토에서는 오히려 볼륨이 분할되었음에도 가격이 더비싸다고 판단되고도 남을 게임들 아닌가요? 맵몇개 추가하고 DLC로 나오는데요.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16:47 KST)
0↑ ↓0
센스 이미지
저.. 저기요? 위에 문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웨도우 (2011-11-15 22:18:5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제 자고 싶다ㅠㅠ
http://www.grb.or.kr/Statistics/Popup/Pop_StatisticsDetails.aspx?app=41339&type=00
이 링크 말씀하시는 건가요?
여기에 확장팩,DLC가 있긴 있는데..."배틀필드3: Back to Karkand""배틀필드 배드컴퍼니2:베 베트남" "심즈3: 브라보 마이 라이프" "심즈3: 모두 잠든 후에" 4개뿐인데요. "하나같이"라니...
그리고 확팩이나 DLC나 다 합치면 비싸지죠. 7만원이요? 스타2 자날+군심+공유 합치면 얼마가 나올것 같으세요?ㅋㅋㅋ;; 특히나 심즈 시리즈의 확장팩은 선택적인 확장팩으로써 다 구매할 필요는 없으십니다 고갱님. 그에 반해 블리자드 게임의 확장팩은 서버를 분리함과 동시에 엄청난 업뎃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실상 반 강제적으로 구매해야 하죠.
그리고 http://shopping.naver.com/search/all_search.nhn?query=PC+%BF%A4%B4%F5%BD%BA%C5%A9%B7%D15+%BD%BA%C4%AB%C0%CC%B8%B2
이 사이트가 자꾸 할인가 할인가 하시는데...아 당연히 경쟁하는 판매자들이니 할인이야 하겠죠.
http://www.interpark.com/product/MallDisplay.do?_method=detail&sc.shopNo=0000100000&firpg=01&sc.prdNo=953227264&sc.dispNo=016001&sc.dispNo=016001&FromLogin=Y&sc.enterEntr=null&loginTgt=&GNBLogin=null&isPopup=&marketingYn=Y&type=update&unique_id=117904&chgPwd=null&sc.loginTgt=&idn2=&idn1=&siteAgree=YYYY&_style=imfs&sc.pwd=cjswo221&historyGoCntCart=2&etrust_id=2006-0401¶mMethod=POST&multiEntrYN=null&sc.isIpss=&sc.saveMemId=&historyGoCnt=-3&sc.memId=veronica¶mDbCleang=Y&idn=&sc.idn=&check=5&sc.useAppTp=02&reqSite=SHOP
그중 하나만 예로 드는데...판매가 4만2천원이고 할인가 3만8천원입니다. 약 4만원대라는 저의 말에 틀린 건 없습니다만?ㅋㅋㅋ
이제 전 자러 가겠습니다.
아, 그래도 우리나라에 보기 힘든 정품애용자이신 것 같아서 기분은 좋네요. 원래 제가 이정도 됬으면 빡쳤을 사람입니다만...그래도 정품패키지 꼬박꼬박 구매해서 즐기는 분이신 것 같아서 늦은 밤이지만 열심히 증거 찾아다니며 글 써 드렸습니다.
좋은 밤 되세요.
웨도우 (2011-11-15 22:23:0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근데 저도 블리자드 게임 모두 정품구매한 사람입니다. 제가 비싸다곤 안했어요;;
앞에선 하도 이상한 말씀하시다가 갑자기 정상인으로 돌아오신 느낌이네요.
맞아요 볼륨. 블리자드 게임은 타 회사 게임에 비해 볼륨이 풍부한 것도 사실이고 EA가 일부러 볼륨을 조각내는 것도 사실이죠. 근데 전 솔직히 그 차이를 별로 체감하지 못할 뿐더러 볼륨이 얼마나 됬든 최종적인 가격 결정엔 소비자의 수요가 작용합니다. 아까도 말씀드렸듯이요.
스타2 가격저항이 그토록 심했던 걸 보면,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그 정도 볼륨으로도 6만9천원의 가치가 있다고는 보지 않는 것 같군요.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25:37 KST)
0↑ ↓0
센스 이미지
웨도우// 옥션에는 5만원에 버젓히 팔고있고요. 그거 직접 사보세요. 혹시 일반인은 그할인 적용되지도 못합니다. 무슨 쿠폰에 m포인트에 ..-_-:; 그걸 다 포함한 예상가를 적은겁니다.
그리고 반강제요? 오히려 서버가 분할되었으니 강제가 아니죠. 왜 그런 어거지를 자꾸부리시죠?

서버가 분할 안되면 확팩안살경우 배틀넷을 못하게되니 무조건 사야되는거죠.

자꾸 어거지를 부리시는데 앞서말한 확팩들 다합친 가가격은 왜 생략하시나요? 거기도 발매하고 한참 지난 메스이펙트도 5만 몇천원있네요

오히려 스타2만 예를 들어도 몇회의 공식유즈맵이 제공되었고 레더맵도 지원되었으며 정식 로컬라이징으로 음성과 게임내 이미지까지 모두 한글화되었습니다.
즉말해 서비스부족분이 해소되는거죠.

그리고 확팩급의 추가가 아닌 단순 맵추가수준이 DLC죠. 보통같으면 당연히 들어갈 볼륨을 고작 DLC합본팩으로 세분화해놓고 할인한거 같지만 그게 무슨 할인입니까. DLC란 서비스가 퍼지기전까지는 당연히 패키지에 모두 포함되던건데.(그리고 가격도 그만큼 되었고요.)

그리고 군심가격은 아직안나와서 모르지만 자날+군심의 컨탠츠량이(공개된것만으로도) 적지도 않을뿐더러.
그와 동등한 수준의 컨탠츠 증가가를 원한다면 타회사의 DLC와 확팩을 다합치면 가격이 아무리싸도 비슷한 수준이됩니다.
웨도우 (2011-11-15 22:27:0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전 최종적인 가격만을 가지고 판단했는데, 게임 내 콘텐츠의 양까지 세세하게 따지셨군요. 그렇게 비교하면 해외가를 가지고 비교하는 게 맞을지도 모르겠네요. 이제 SCV님의 말씀이 이해가 좀 갑니다.
하지만, 5만원대를 넘어가는 패키지게임은 한국에서 그닥 가망 없습니다. 이 생각은 불변입니다. 그저 전 디아블로3가 스타2의 전철을 밟지 않길 바라는 마음뿐입니다. 일단 RPG라는 요즘의 주류 장르인데다 제 주위에도 스타2는 접속조차 안했지만 디아3는 나오면 꼭 하겠다는 사람들 많습니다. 그런데 가장 예민한 문제인 가격 가지고 논란이 있으면 곤란하지요. 그래서 좀 싸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디아3를 사서 함께 즐겼으면 좋겠다. 뭐 이런 게 저의 생각입니다.
이 부분에 있어선 SCV님과 좀 차이가 있는 듯 하네요.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28:03 KST)
0↑ ↓0
센스 이미지
언어로나 서비스 부족으로인한 가격할인이 없는 정발가는 해외 정발가끼리 비교해야 오히려 말이되죠.

블리자드게임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로컬라이징이 되는게임인데 그거 가격을 따로 띄어서 할인가랑 비교하는건 좀 아니지 않나요? 오히려 앞서 계속 말했지만 마트 할인가가 정발가라면 스타2도 롯데마트 할인가 적용받아서 라면박스랑 이것저것 다해서 5만원이었습니다. 그것들 제외하면 4만원이고요.
DCBal (2011-11-15 22:30:4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팀은 정발이 아닙니다. 정발가가 6만원 되는 게임은 드뭅니다. 끝.
DCBal (2011-11-15 22:31:5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카이림 정발가는 42000원입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32:43 KST)
0↑ ↓0
센스 이미지
어이구 이분은 이제와서 뒷북을 찬찬히 읽어보세요. 제가 굳이 달러들어서 해외 정발가를 비교한게 왜그런가. 아좀..
DCBal (2011-11-15 22:34: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로컬라이징이니 뭐니 국내 소비자가 비싸다고 인식하면 비싼겁니다. 우리나라 시장엔 안맞는거죠. 스타2도 마찬가지였고 디아3도 마찬가지일껍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36:19 KST)
0↑ ↓0
센스 이미지
2만장이 안팔려서 한글자막조차 안나오는 경우가 있는 패키지시장에서 로컬라이징 생략해서 나온가격이고 그것도 본토에서 DLC쪼개서 파는거 포함하면 결코 싼가격이 아닙니다. 어느회사는뭐 땅파먹고 게임만드나요? 다 그 가치대로 가격이 나오는겁니다.

컴터제품 사보면 느끼시겠지만 싼거 이유있고 비싼거 이유있습니다.

우리나라 시장에서도 로컬라이징하면 어느회사 게임이나 미국쪽가격하고 비슷하게 나와용. 포인트는 이거임. 애초에 게임가격을 비교할거면 똑같은 상황에서 발매된 해외가를 비교하셔야죠. 국내라고 돈을 더받은게 아님. 이유가 있어더 비싸고 이유가 있어서 싼거임.

오히려 DLC쪼개먹는게임에 분개해보지 않았다면 그건 정품유저가 아니란거임.
DCBal (2011-11-15 22:36: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다른 해외 기업에서 우리나라 정발하는거 잘 계산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우리나라 정발가가 본토 정발가보다 훨씬 쌉니다 ㅡㅡ; 현지 사정에 맞춘겁니다. 블리자드도 물론 본토보다 싸긴 했지만 다른 기업들보단 비쌌죠. 그게 다입니다.
DCBal (2011-11-15 22:36:4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자꾸 스카이림 언급하시는데 스카이림 pc판 해외 정발가가 얼마인지 아시나요?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37:34 KST)
0↑ ↓0
센스 이미지
DCBal //ㅇㅇ 위에 복사해왔어요. $59.99
DCBal (2011-11-15 22:37:4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해외 기업들 특히 ea가 dlc 쪼개기로 욕먹는 이유는 dlc로 볼륨을 쪼개는데도 불구하고 해외 정발가가 결코 싸지 않아서입니다. 님이 예로 드시고 계시는 스카이림만 예로 들어도 마찬가집니다. 정발가가 싼건 우리나라에 국한된 얘깁니다. 위에 보니까 스카이림이 정발을 했는지 안했는지도 모르시네요;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37:51 KST)
0↑ ↓0
센스 이미지
사고싶은데 pc사양이 딸려서 못사고 있는거임.
DCBal (2011-11-15 22:38: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시네요. 스타2도 해외가격 59.99달러입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38:48 KST)
0↑ ↓0
센스 이미지
제가 햇던 이갸기가 그거임 그리고 그이유가 로컬라이징이나 그외 해외 유저가 받을수있는 서비스들이 생략되어서 그런거임.
DCBal (2011-11-15 22:39:3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결국, 게임의 가치로 보자면 전 6만 9천원이 절대로 비싸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만 어쨌든 우리나라 시장에선 비싼겁니다. 다른 해외 59.99달러 게임들은 우리나라에선 싸면 4만원대 비싸봤자 5만원 중반에서 끝납니다. pc게임 정발가가 6만원대가 넘어가는건 스타2밖에 없습니다. (아시겠지만 스팀은 정발이 아닙니다)
웨도우 (2011-11-15 22:39: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http://www.interpark.com/product/MallDisplay.do?_method=detail&sc.shopNo=0000100000&firpg=01&sc.prdNo=953227264&sc.dispNo=016001&sc.dispNo=016001&FromLogin=Y&sc.enterEntr=null&loginTgt=&GNBLogin=null&isPopup=&marketingYn=Y&type=update&unique_id=117904&chgPwd=null&sc.loginTgt=&idn2=&idn1=&siteAgree=YYYY&_style=imfs&sc.pwd=cjswo221&historyGoCntCart=2&etrust_id=2006-0401¶mMethod=POST&multiEntrYN=null&sc.isIpss=&sc.saveMemId=&historyGoCnt=-3&sc.memId=veronica¶mDbCleang=Y&idn=&sc.idn=&check=5&sc.useAppTp=02&reqSite=SHOP

하나만 예로 들었던 이 게임. 판매가가 4만2천원입니다. 배송비 2500을 합해도 44500원이구요. 5만원이라는 건 어딜 보고서 하시는 말씀인지 모르겠는데 보통의 소비자라면 더 싼걸 고르겠죠? 전 보통의 소비자를 기준으로 한 거구요.
서버가 분할이 안될 경우 배틀넷이 안된다는 건 뭔 소린지 모르겠습니다. 분할이 안되면 하나로 합쳐진 거지 배틀넷이 안되는 건 또 뭔 소린가요? 실제로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는 서버가 분할되지 않고 오리+확팩 서버가 하나로 합쳐졌죠. 대신 확장팩은 스탠드얼론이고요.
하지만 블리자드 게임의 예를 들어도 서버를 분리하는 대신 대규모 업데이트를 한다. 따라서 유저들이 모두 확장팩으로 옮겨갈 것이기 때문에 선택사항이긴 하나 사실살 "반" 강제적으로 확장팩을 사야한다...라고 말씀드린 건데 이게 뭐가 잘못된 겁니까. 덧붙이자면 그게 나쁘다는 뜻은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전 패키지 하나, 단품의 가격을 말하고 있는데 왜 자꾸 확장팩과 합치세요. 게다가 배틀필드3는 합쳐도 오리+카칸드 합쳐도 6만원이 안 넘네요. 매스이펙트3 59500원짜리는 N7 디럭스 에디션, 다시 말해 일종의 특별에디션이죠. 위에 제가 쓴 글 자세히 읽어보세요. "대부분"의 "일반판" 게임이 4만원대라고 써놨습니다. 한국말은 꼼꼼하게 좀 읽읍시다.
밑에 스타2의 예를 든건 이미 말씀드렸네요. 결국 최종적인 가격은 그 시장의 수요가 영향을 미친다고...
몇회의 공식유즈맵이 어떻고 래더맵 교체가 어떻고...그걸 스타2를 계속해서 즐기던 사람들이나 알만한 정보지 그렇지 않은 이상 어떻게 그리 자세히 따지죠?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40:40 KST)
0↑ ↓0
센스 이미지
아니 그러니까요. 스타2는 EA게임들하고 다르게 유일하게 국내 정식 로컬라이징으로 게임뿐만아니라 공식홈페이지까지 해외 포럼하고 완전 동일하게 운영되잖아요.(이부분은 사실 가격에 포함된다는건 아님)
스타2 게임 로컬라이징에 국내 영화에서도 동원된적없는 규모의 성우와 인력이 이용되었다고 뉴스보셨나요? 스타2뿐만이 아니고 게임의 서비스에는 많은 인력과 자금이 소모됨 로컬라이징이 생략된 게임은 통상 이부분의 돈이 생략되어서 그럼.
DCBal (2011-11-15 22:40:4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보통 기업들이 한글화니 로컬라이징이니 했다고해서 돈을 더 받지는 않죠. (물론 포함되있기야 하겠습니다만) 이런건 판매량을 늘리는 수단이지 판매가를 늘리려고 하는게 아니니까요.
DCBal (2011-11-15 22:42: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어쨌든 로컬라이징을 감안하더라도 다른 기업들은 죄다 4만원대에서 발매하는걸 7만원에 발매하는건 분명히 비쌉니다. 로컬라이징이 암만 힘들어도 당연한 얘기입니다만 제작비의 5%도 안 듭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43:06 KST)
0↑ ↓0
센스 이미지
웨도우// 들오보세요. 서버가 분할이 안되면 확팩의 클라이언트와 일반의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공존한다는 기술상 무리가 잇는 현상이 일어나요. 즉말해 둘중한쪽만을 지원하게되죠.
확팩에만 지원되는 수많은 유닛과 새로운 엔진 맵이있고 전용 레더맵또한 있죠.
애초에 공존 자체가 불가능함.

즉말해 서버가 분할이 안되면 오히려 무조건 확팩을 사야만 게임이 되게 지원되겟죠.(배넷을 분할하는 이유자체가 이거임.)
아까부터 똑같은말만 계속하는데 명확한 이유가 있는데도 오히려 근야 심한 까감정으로만 보이네요.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44:00 KST)
0↑ ↓0
센스 이미지
DCBal// 아니 뭐가 로컬라이징을 감안해요. 로컬라이징이 안되었는데 감안이 되긴요. 그리고 그쪽이 하는말은 전부터 하나도 펙트도 없고 어거지 해석뿐이라 보기싢네요.
DCBal (2011-11-15 22:44: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 게임은 사실상 확팩을 사야하는거나 마찬가지인데요.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44:58 KST)
0↑ ↓0
센스 이미지
했던말 또하게하고 또하게하고. 위에 글이나 좀 읽어봐요.
웨도우 (2011-11-15 22:45:2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타2 국내 정식 로컬라이징 맞구요. 해외 포럼과 동일하게 운영되는 거 맞구요. 엄청난 성우와 인력이 동원됬다는 뉴스도 맞는데요. 대체 어느 소비자가 그것 때문에 몇만원씩 가격이 치솟는걸 이해하겠냐구요. 으악ㅠㅠ 제발 국내 소비자 기준으로 생각좀...
DCBal (2011-11-15 22:45:3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글 똑바로 읽으세요. 그쪽은 진짜 상대방의 글을 꼼꼼히 읽지를 않습니다. 제가 로컬라이징을 감안했다는 얘기는 블리자드 얘기 아닙니까. 본토에서 똑같은 가격의 게임을, 암만 로컬라이징을 했다고 해서 다른 기업들은 4만원대에 정발하는걸 7만원에 정발하는건 비싸다 이겁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46:17 KST)
0↑ ↓0
센스 이미지
DCBal// 아니 왜 그런 어거지 해석이나옴? 댁이야 뭐 대놓고 블까니까 그런소리하는 의도야 알지만 논리적으로 말이 안되지않음? 스타1조차 아직도 서버가 두개로 분할되서 운영되고있음.

오리지널만큼만 즐기고 싶으면 오리지널만 사세요. 뭐게임은 DLC, 확팩 다빼고 치고 뭐게임은 말도안되는 어거지로 무조건 사야만해라고 결론 도출이라니.
DCBal (2011-11-15 22:46:2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 까가 playxp에 왜 있나요? 그쪽이야말로 무작정 블리자드 무리하게 편들면서 거기에 태클걸면 다 까로 몰아가시는데 굉장히 보기 안좋습니다.
DCBal (2011-11-15 22:47: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논리적으로 말이 안된다구요? 스타1때도 디아2때도 워3때도 확장팩 나오는 순간 오리지날 서버는 존재만 하지 사실상 플레이에 무리가 있었습니다. 사람이 없는데 누구랑 게임을 하나요?
DCBal (2011-11-15 22:49: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어쨌든 블리자드는 다른 기업들보다 훨씬 비싸게 스타2를 팔았고 때문에 기대치에 못미쳤습니다. 그제서야 4만원으로 내렸죠(저번에도 말한거지만 다른 지역에선 59달러에서 49달러로 내렸다가 2주후에 다시 올렸습니다. 가격 내린건 국내가 유일합니다.) 이운재 감독의 경우도 '한국에서의 스타크래프트2 흥행 부진이 가장 컸다. 경제 상황도 좋지 못해 후원사도 수익이 나지 않는 상황이었고 메인 스폰서조차 사라질 위기였다.' 라고 한적이 있습니다.

결론 = 스타2는 비쌌습니다. 블리자드가 바보가 아니라면 디아3는 비싸도 5만원대로 나올껍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49:46 KST)
0↑ ↓0
센스 이미지
DCBal // 자꾸 4만원대 4만원대하시는데 애초에 할인가빼고서 5만원대구요. 앞쪽에서 말한 DLC분할은 왜 자꾸 빼먹으세요. 그리고 추가로 글이나 좀 읽고오세요. 남에 글 안읽고 까고싶어 안날난게 누군데요.

4만원대 정발요? 아니 애초에 정발가가 위에 적힌대로 회사마다 동일해요. 모든 조건이 동등한 시장에서 동일가에 나옴. 뭘 어쩌라는거임.

오히려 예를 들거면 완전 동등한 서비스가 되는상황에서 국내에서 할인된 가격에 파는게임을 예로 들어야지 자꾸 안맞는걸 억지로 끼워맞추는걸 어쩌라는거임?

왜 자꾸 존재하지도 않는 예를 드는지 모르겟네요.
웨도우 (2011-11-15 22:50:3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래서 제가 예를 들어놨잖아요.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오리지널+오퍼징 프론트+테일즈 오브 밸러 이 3개가 각각 독립구동하는데 따로따로 들어가도 결국 멀티플레이에선 한 서버에서 만나기 가능합니다. 블리자드 게임 기준으로 딴 게임을 보지 마시구요. 님 서버 관리 담당자인가요? 기술적이 문제니 뭐니 하는 건 어떻게 아시죠? 아니, 그 전에 컴오히라는 게임은 잘 돌아간다니깐요? 새로운 엔진을 쓰지 않으면 되잖아요 ㅋㅋ 그렇게 만든 거겠죠. 기술이 됬으니까 아직도 저녁이면 멀티에 몇천명씩 사람이 있겠죠.
배넷을 분할하는 건 블리자드가 결정하는 거고, 확장팩 사게 만들려고 하는 건지 정말 기술적 문제인지는 그쪽 직원들만 아는 건데 님은 무슨 근거로 자신감 있게 그런 말을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ㄱ-;;;
덧붙여서, 전 무턱대고 까감정으로 들이대는 사람 아닙니다.
까감정으로 들이댈 거면 지금까지 제가 힘들게 제시한 근거는 뭡니까?
DCBal (2011-11-15 22:52: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dlc분할이 왜나오는지 모르겠네요. 처음부터 다시 설명해드려야겠네요. 스카이림의 해외 정발가는 59.99달러입니다. (물론 dlc같은거 전혀 포함안되었죠) 그리고 스타2의 정발가도 59.99달러구요.

하지만 스카이림의 국내 정발가는 4만2천원입니다(할인가 아닙니다 '정발가'입니다) 스타2는 6만9천원이고요. 다른 게임들도 스카이림이랑 비슷합니다. 스타2는 비쌌습니다.

뇌가 멀쩡하시다면 이걸로도 충분히 예를 들 수 있다는거 아시겠죠?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53:48 KST)
0↑ ↓0
센스 이미지
DCBal // 아.. 진짜 답답하게 그 뻘글에 대한건 저번에도 답글을 달았는데 그럼 와우는 국내에서 유료게임최초로 동접 15만찍었을대 할인햇는데 그것도 망해서 할인한건가요?

애초에 할인 이유가 망해서라더니 20주년 기념이라니까 국내만 가격이 다시 안올랐다구요?
허이구.. 펙트는 없고 그냥 자기 보고싶은데로 해석이란 생각밖에 안드네요.
누가보면 우리나라 패키지시장이 천지가 요동하게 커서 수백만장을 유저가 꼬박꼬박 사준줄 알겠네요. 스타1도 발매 1년동안 유저가 산량이 대략 30만장됩니다. 나머지는 pc방 유통으로 폭발적으로 불어난거고요. pc방 안정기에 접어들자 cd키 돌려쓰기프로그램과 함께워크3는 110만장 정도 팔렸구요.(판매량이 확줄었죠. 그런데 웃긴건 하는 사람이 없는건 아님 워크3가 발매후 지금까지도 국내에서 가장많이 불법복제된게임 1위로 기록됨. 최근 현황에서도 여전히 워크3더군요.)

애초에 유저 판매로 수십만장은 블리자드게임 제외하곤 보기드믄(pc게임쪽에서는 아예 없는)기록이고 통상 2만장만 넘으면 대박으로 치는 시장에서는 기록적으로 큰양입니다.

pc방에 계정 관리차원에서 패키지발매 자체를 안한마당에 부진은 개뿔요.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54:52 KST)
0↑ ↓0
센스 이미지
DCBal // 뇌가 멀쩡하면 그 지겨운 반복에서 자꾸만 중요한 목록 3개가 날아간거나 좀 수습하시죠. 무슨 메멘토가 아니고 자꾸 가장아랫쪽에 초기화된 뻘글만 달고싶어서 안달나셨나.
웨도우 (2011-11-15 22:56:2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현지화. 맞아요.
앞서 제가 제시했던 EA게임들. 현지화 안 된게 대부분이죠.
그래서 "대부분"의 "일반판" EA게임들은 3~4만원대에 머무르고 있지 않습니까?
설령 그렇다 쳐도, 근 7만원이라는 가격을 "한글화 해줘서 이렇게 비싼거야"라고 말하면 그걸 이해할 소비자는 누가 있을까요? 한 만원 더 비싸지면 모를까. 게다가 스타1은 영문판인데도 450만장 팔렸습니다. RTS 같은 멀티 중심 게임에서 영어가 주는 불편함은 크지 않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여러분! 스타2는 완전 한글화 되었어요!! 음성까지도요" 외친들 무슨 반응이 돌아올까요. 오히려 왜 한글로 녹음하냐, 원작의 느낌을 망친다 등 비난만 쏟아졌지요. 다만 디아블로3는 RPG이기에, 여기엔 안 썼지만 한 5만원대 중반까지도 생각해볼수 있다고 햇구요.
DCBal (2011-11-15 22:57:3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와우때랑은 정황이 전혀 다르지않습니까 뇌가 있으면 제발 굴려보죠? 저야 와우는 오래 안해서 그때 어떻게 할인한건지는 잘 모르지만 "흥행" 했으니 "현지에 맞춰서" 다시 가격책정을 한거죠.

그리고 도대체 팩트가 왜 없습니까? 몇번을 말해야하나요? 해외에선 2주후에 다시 가격 되돌렸고 우리나라만 유지하고 있다구요. 블리자드에서 왜 이런 결정을 내렸다고 생각하십니까? 진짜 궁금하네요. 한번 대답해보죠?

다른사람도 아닌 프로의 팀 감독이 '흥행 부진' 이라고 한게 그럼 이운재 감독이 블까라서 그런가요? 스타2가 국내에서 흥행에 부진했다는건 제 의견이 아니라 그냥 사실입니다. 다른 커뮤니티가서 물어보세요 죄다 부진이라고 하죠. 저번에도 말한거같은데 블리자드는 이미 한국에서 독보적입니다. 다른 게임회사의 판매량이랑 비교할게 아니에요. 국민스포츠라고 까지 불리는 스타크래프트의 후속작이 이정도라면 당연히 흥행부진입니다.

스타1 발매 1년동안 30만장 팔렸다는 얘기는 처음듣네요. 링크 부탁드림.
DCBal (2011-11-15 22:58:0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목록 3개가 뭐죠?
웨도우 (2011-11-15 22:58:3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제 전 이 논쟁에서 관심도 못 받는군요.
아 차라리 잘 됬습니다. 이제 자야지.
입아프게 싸워봤자 뭐하나. 결국 잘 팔리나 안 팔리나가 중요한건데.
디아3는 얼마의 가격으로 나와서 알마나 팔릴지...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2:59:08 KST)
0↑ ↓0
센스 이미지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27/read?bbsId=G003&itemId=6&articleId=395258

그외 인터넷 뉴스도 몇개 잇었는데. 망한게임이 국내 패키지로는 몇년만에 매진되 되네요. 허이구참.
DCBal (2011-11-15 23:00:1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도 진짜 지겹네요. 무슨 노예마냥 무조건 빨아대고 이미 스타2 국내 흥행부진은 기정사실인데 그거까지 일일이 설명하는게 한두번도 아니고 무슨 세뇌수준이네요. 본토에서 똑같은 가격의 게임을 다른 게임사에선 한국 정발하면서 죄다 4만원대로 가격책정하는데 블리자드는 7만원입니다. 현지화를 감안해도 비싼건 비싼거죠. 이게 다 현지화와 장인정신에서 비롯된 블리자드의 이미지 덕분이죠! 저 분을 보면 볼수록 역시 현지화는 성공했다 싶습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3:01:04 KST)
0↑ ↓0
센스 이미지
팀감독이 흥행부진요? 흥행쩐다고 말한 인터뷰도 몇개나 잇었는데 스타2갤에서 한다말 목록만든 글도있었는데 네참.. 기껏 든다는게 게임팀 감독요? 판매량도 모르고 동접량도 모르고 아무것도 모르는데.

도대체 누가 그소리 했는가나 좀 봅시다.
DCBal (2011-11-15 23:02: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운재감독이라고 몇번말하죠? 진짜 제 글을 읽긴 하나요. 난독도 정도껏이죠. 팀감독이 흥행쩐다고 말한 인터뷰나 좀 보여주시죠. 말로만 하지말고. http://cafe.naver.com/star2mani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30524&
DCBal (2011-11-15 23:02:4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한국에서의 스타크래프트2 흥행 부진이 가장 컸다. 경제 상황도 좋지 못해 후원사도 수익이 나지 않는 상황이었고 메인 스폰서조차 사라질 위기였다.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3:03:22 KST)
0↑ ↓0
센스 이미지
DCBal// 쓰래기마냥 까대는 댁이나 기정사실이지. 저는 일일이 펙트만 다 말하는데 댁은 존재하지도 않는 망상으로 기정사실이라고 우기고 싶어하잖수.

단하나라도 좋으니 좀 펙트좀 봅시다. 댁 망상말고.

이건뭐 우는 아이때쓰는것도 아니고 기정사실은 누가 그럼? 애초에 처음 듣는 소리인데.
작업장이 있는것도 아니고 상점캐릭이 있는것도 아니고 레벨업하는것도아니라 동접량 자체가 높을수 없는 RTS게임이 pc방 순위에 올라있는것도 다 무시하고.
거기다가 판매물량 매진기사도 몇번이나 있었는데 기정사실은 개뿔요.
GSL은 용캐도 국내 E스포츠 최단기간 시청자 1억명 돌파햇네요.
DCBal (2011-11-15 23:03:4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자꾸 뭐 스타2가 흥했다 뭐다 하는데 롯데마트에서 매진한건 절대로 스타2에서 흥행했다는 근거가 안됩니다. 애초에 롯데마트에 재고를 몇개나 뒀는지도 모르구요. 스타2가 흥했다고 하는 기사가 하나라도 있나요? 뭐 GSL 1억 view니 뭐니 의미없는 숫자말고요. 스타2가 흥행부진을 한 이유를 분석한 기사는 많아도 스타2가 흥행했다고 한 기사는 하나도 못봤네요. 링크 부탁드립니다 하나라도 있으면
DCBal (2011-11-15 23:05:1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ㅋㅋ 국내 e스포츠 시청자 1억명 드립치시는데 애초에 국내 e스포츠에서 스타2처럼 밀어주려고 했던 게임이 있긴 있습니까? 스타1 이후로 없잖아요? 아무 의미없는 숫자입니다. 통계의 단점이죠 님같이 낚이는사람들 많은게요. 애초에 e스포츠고 뭐고 보통은 TV 채널에서 많이 보는데 안나오니까 시청자 많은건 어찌보면 당연하죠.
DCBal (2011-11-15 23:05:5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패키지 자체가 블리자드의 판단미스로 국내엔 발매되지도 않다가 이미 살 사람들은 다 샀을때 뒤늦게 나온건데 참 재고가 많기도 했겠네요. 재고 자체가 적었던겁니다.
DCBal (2011-11-15 23:07:1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네이버에 스타2 흥행이라고 쳐보죠. 흥행이라고 하는 글조차 하나도 안나오네요.
DCBal (2011-11-15 23:08:0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네이버에 스타2 흥행 쳐보시면 아시겠지만, 흥행이다 아니다를 논하는 글조차 드뭅니다. 대부분의 글이 "왜 흥행에 실패했을까?" 라는 식의 글이죠. 아마 우리나라에서 스타2가 흥행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님밖에 없을지도 모르겠네요.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3:08:16 KST)
0↑ ↓0
센스 이미지
DCBal // 어이구. 롯데마트가 스타2 국내 독점판매였습니다. 그리고요. 매진이 흥행하고 연관없다 드립까지 나왓으면 말다햇네요. 그리고 1억명 들비도 소용없다고요. 웃기고 자빠졌습니다. 밀어줘요? 초기에 게스파랑 지제권싸움으로 보이콘하면서 프로선수 한명도 지원안하고 바로 캐이블에 압력넣어서 캐이블게임 방송에서 아예 방송도 못했는데 밀어줘요? 지랄하십니다.

흥행햇따는 기사요? 위에 죽어라 써놓은거 다쌩까나요?
DCBal (2011-11-15 23:09:0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롯데마트에서 패키지를 얼마나 구비했는지 알 방법이 없는 상황에서 매진을 했뜬 안했든 그게 흥행의 근거로는 전혀 되지 않습니다. 제발 매진했다는 헛소리말고 "흥행" 했다는 기사라도 하나라도 가져와주세요. 부탁드릴게요. 하나도 ㅇ벗을겁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3:09:41 KST)
0↑ ↓0
센스 이미지
내가 댁때문에 1년 가까이 지난글 검색을 하고있으니 기다리슈.
DCBal (2011-11-15 23:10:1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케이블게임 방송에서 나오지도 않고 프로선수 한명 지원 안했어도 스타2만큼 밀어준 게임 없습니다. 스타1 워3 그다음이 스타2죠. 아닌가요? 다른 게임이 뭐있나요? 애초에 멀쩡한 대회라도 있는 게임이 저거 3개말고 더있습니까?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3:10:52 KST)
0↑ ↓0
센스 이미지
이건뭐 정신병자도아니고 물건의 독접판매처에서 매진되었다는게 흥행이랑 연관없다니. CGV에 영화 개봉했는데 전관 매진되어도 인기랑 연관없다 드립치는거 가관이네요.
DCBal (2011-11-15 23:11:0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미 대부분의 커뮤니티에서 스타2가 흥행이 저조한 이유에 대해 논했던 마당에 아직까지도 흥행했다고 굳게 믿고 있다는게 대단하십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3:11:24 KST)
0↑ ↓0
센스 이미지
DCBal //케이블게임 방송에서 나오지도 않고 프로선수 한명 지원 안했어도 스타2만큼 밀어준 게임 없습니다. ... 아니 그러니까 자꾸 펙트를 무시하고 생때를 쓰는데 저위에 꺼 다 제외했는데 뭘 밀어준거?
아이콘 HLIVON (2011-11-15 23:12: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병림픽 쩌네요... 걍 싸게 나오면 좋은거죠;; 그래야 게임 파티도 활성화되고 경매장도 활성화 되는데 싸면 쌀수록 좋죠;; 사실 외국에서 6만원 넘는 게임도 정발되면 4만~5만원대인데 7만원 가까이 되면 너무 비싼 것 맞죠
DCBal (2011-11-15 23:13:5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진짜 한심하시네요 이정도면. 뭐 구체적인 수치없이 판매량 매진이라는둥 하면서 소비자 낚는건 굉장히 고전적인 수법입니다 .홈쇼핑 생각하시면 아시겠네요.
DCBal (2011-11-15 23:14:5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타2의 흥행 여부가 아닌 흥행 부진의 이유를 분석한 수많은 기사들과 글들에 가서 리플에다가 흥행했다고 다 쓰고 오세요 ㅋㅋ
DCBal (2011-11-15 23:15:4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뭐 어쨌든 흥행여부는 맘대로 생각하시고 결론은 비싼겁니다. 끝. 전 갑니다. 피곤하네요 진짜. 다시 말하지만 님을 보면 볼수록 블리자드의 노예양산정책은 성공했다 싶습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1-15 23:21:45 KST)
0↑ ↓0
센스 이미지
님하. 매진되어서 한동안 물건을 못사서 추가물량 확보하고 팔았다고 기사에도 나와있고요 지금은 판매 종료되었지만 롯데마트 판매 댓글에도 재고 언제 다시 들어오나요?하고 글도 수십개 달렸었음.

나는 수치화되고 기사화된 펙트만 제공했는데 댁은 현실을 지멋대로 생각하고 있잖수
DCBal (2011-11-15 23:25: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마지막 리플입니다만 아까부터 자꾸 뭐 팩트가 없느니 뭐니 하는데 제가 말한게 다 팩트죠. 거기서 흥행부진이라는 사실을 추론한거구요. 도대체 뭘 원하십니까? 블리자드 코리아 지사장이 나와서 '한국에서 스타2 흥행 못했어요' 라고 해야 그제서야 흥행부진이라고 인정하시나요? 님이 좋아하는 수많은 팩트들이 흥행 부진을 말하고 있는데 참 머리 안돌아가시네요. 오히려 애초에 재고를 알수도 없는 롯데마트에서 매진했다는 구체적인 수치가 없는 그저 고전적인 홍보나 비교대상조차 없는데 인터넷시청 1억가지고 드립치는 GSL에 낚여서 그게 스타2의 흥행을 말하는듯한 허접한 논리에 지쳤습니다. 결국 여태까지 흥했다는 기사는 못찾으셨나봐요. 무작정 노예정신으로 흥했다 흥했다 자기 자신을 세뇌하지 마시고 왜 수많은 기자들과 대다수의 사람들, 심지어 스타2 프로단 감돆까지 스타2의 흥행부진을 말하는지 생각해보세요. 논란이 되는건 스타2가 흥행을 부진한 이유지 흥행여부는 이미 결론난지 오랩니다. 수고하세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