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294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블랙제이
작성일 2011-10-24 23:22:45 KST 조회 2,448
제목
디아3 국내 일반판 가격은

한 4만원대 할것 같은데요?
요 근래 우리나라에 정발된 게임도 대부분 4만원대 선이고

스타2도 가격논란에 시달리다 결국 20주년 기념할인이라는 명목으로 4만원으로 조정한거 보면

디아3 일반판도 결국 4만원대 할듯...

비싸기는 한정판이 비싸야지 일반판이 비싸면 사겠나요ㅡㅡ 한국시장의 현실도 생각해서 말이죠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펄리 (2011-10-24 23:30:51 KST)
0↑ ↓0
센스 이미지
저는 조심스럽게 5만9천원 예상해봅니다.
블랙제이 (2011-10-24 23:35:0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뭐 근데 RPG라서 조금 더 비쌀 수는 있겠네요. 5만원대까지는 허용할만 하다고 봄.
그 이상은 좀...-_- 가격을 다소 낮추더라도 유저수 늘리는 게 훨씬 현명함
아이콘 JBC (2011-10-24 23:51:05 KST)
0↑ ↓0
센스 이미지
ㅇㅇ 초반 5만원대 예상~
아이콘 후방SCV (2011-10-24 23:59:20 KST)
0↑ ↓0
센스 이미지
요즘 마이너한곳 게임아니면 앵간해서는 정품가 아주 싼게 5만원이 넘는데요.

대작게임들은 보통 출시가격은 6만원도 넘어요. 예로 콜옵만해도 6만8천원쯤하고요. 저렴한게 통상 5만 7천원이 넘어감.

디아블로3도 거의 제생각에는 6만원대로 예상합니다. 롳데마트등에서 쿠폰이용해서 실구매가 5만원대로 예상하고요.
아이콘 부드러운불곰 (2011-10-25 00:06:57 KST)
0↑ ↓0
센스 이미지
배틀필드3가 4만원인데 디아3가 5만원 넘으면 양심이 없는거임..
아이콘 후방SCV (2011-10-25 00:07:06 KST)
0↑ ↓0
센스 이미지
근데 이걸 비싸다고도 못하는게 진짜 정성들여서 수년간 수억투자한게임이고 그만한 값어치는 한다고 생각해요.

오히려 멀티도 안되고 볼륨 개뿔도없는데 13만원 넘는게임도 있음.

더 골때리는건 블리자드게임만 해본 유저라면 익숙하지 않을수 있지만 요즘 많은 회사들이 게임 좀 되다말게 만들어놓고 DLC랍시고 무지막지한 가격에 무슨 복권긁듯이 팔고있음.(1만7천원이나 주고 샀떠니 플레이타임 꼴랑 20분나옴. ..미친. 애초에 게임에 당연히 포함되었어야할 볼륨을 돈벌어먹겠다고 짤라서 따로파는게 요즘 대다수 게임회사들. (아주 드물게 개념있는 회사가 무료 DLC배포도 하지만 드믈죠.)
뭐회사 게임한번 제대로하려면 패키지 산거로 모잘라서 DLC랍시고 시덥잖은거다 돈내고 하라하니 다합치면 10만원가까이되는 경우도 자주있음.

한국시장의 현실이아니라 지금 커피한잔도 6~7천원하는 시대에 살고있다는걸 잊으시면 안되요. 과거 스타1이 나왔던 10년전과 물가가 같을리 만무하고 그때랑 게임자체의 볼륨이나 제작비도 차원이 다름.

오히려 개탄스러울게 하나있다면 정부가 제대로된 규제와 교육으로 일관하지 않은탓에 사람들이 불법복제같은 도둑질에 길들여져있따는거. 이게 한국시장에 문제지 사실 패키지 값으로 뭐라할 시기는 아닌듯하네요.
아이콘 후방SCV (2011-10-25 00:08:22 KST)
0↑ ↓0
센스 이미지
부드러운불곰 // 왜요? 메타평점도 시작평점이 가장높은걸 감안하면 평이 기대만큼은 안되던데.(물론 못만든건 아니지만 떨어지는 볼륨과 싱글미션에 실망으로 80점을 받은곳도 있던데.)
After_sakura (2011-10-25 00:19: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요즘 나오는 패키지게임에 가격 앞자리수가 4나오는건 없다고 볼 수 있어요... 워3 처음 나왔을때도 4만원이였고요. 게임물가를 너무 모르시는 듯 하네요.
아이콘 님의침묵 (2011-10-25 00:31: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미 스타2와 같은 가격으로 선주문 받던데요. 한정판도요.
스타2도 그랬으니 미국가격에 X1000 하시면 맞을겁니다. 환율에 비해 싼편이죠.
EverAfter13 (2011-10-25 00:59:1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마이트 앤 매직 히어로즈 6도 4만원 대 하더군요
히어로즈가 아니라 버그로즈지만
블랙제이 (2011-10-25 01:13:0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After_sakura//게임물가를 너무 모르는건 제가 아니라 그쪽인듯 싶군요.
M&M 히어로즈6 4만원대 문명5 일반판 4만원대 배틀필드3 일반판 4만원대
모던워페어2가 초창기 국내에서 7만원대에 팔리긴 했습니다만 그건 액티비전 놈들이 가격 현지화를 씹어먹었기 때문이구요ㅡㅡ
국내에서 발매되는 패키지게임은 거진 4~5만원대 한다고 보심 됩니다.
아이콘 [Concept] (2011-10-25 01:22:28 KST)
0↑ ↓0
센스 이미지
블리자드 소속 게임들은 일단 처음은 비싸게 내주고 그담 서서히 깍는식이던데...
6만원대 불고나서 스2 처럼 이벤트 어쩌구 하면서 후에 4~5만원선 잡을것같음
블랙제이 (2011-10-25 01:26:0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타2의 가격하락도 본문에서 말했다시피 국내 가격논쟁과 판매량 부진에 못 이겨 타 패키지게임과 비슷한 수준인 4만원으로 맞춘듯 보이고요. 4만원이라는 가격이 괜히 나왔겠습니까. 6만원으로 내려도 되고 5만원대로 내려도 되는데...
과거에 출시된 블리자드 게임과 비교하면 안됨다-_- 지금 국내 패키지겜 시장은 멸먕했어요
가격을 낮춰서 유저수를 늘리는 것 외에 할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나요?
정품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라고 묶어놓고 훈계할 게 아닌 이상, 현실적인 방책을 쓰자는 거죠.
게다가 한정판도 아닌 일반판이 6만원 7만원 하는게 정상적인 가격인지 모르겠군요. 미국에선 그정도 한다는데 그건 미국사람들 물가, 미국사람들 GDP 기준이고요.
핫스윙트 (2011-10-25 01:29:3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여러분 우리가 주목해야할것은 한정판입니다.
예예 한정판말입니다. <
DCBal (2011-10-25 01:41: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가 국내에서 다른 게임들 수준의 판매량만 노린다면 스타2처럼 6만9천원으로 팔고 스타2만큼만 팔고 만족하면 되겠네요. 국내 시장에선 이미 대다수의 패키지게임은 팬층, 매니아층만 찾죠. 그렇기 때문에 6만원대의 가격으로 파는거구요. 하지만 블리자드는 다릅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블리자드의 인지도는 그 정도가 아니고, 당연히 국내 목표도 그정도가 아닙니다. 이미 6만 9천원에 팔던 게임을 그렇게 빨리 4만원으로 내린것만 봐도 가격정책이 실패했다는걸 인정한거나 마찬가지죠. 4만원대는 아니더라도 스타2때보단 싸게 팔거에요.

그리고 이런말 꼭 하면 가격이 얼마든지 어짜피 살 사람은 산다고 하시는데 말도 안되는 소리에요. 제 주위만 봐도 스타2 4만원으로 내리자마자 산 사람이 수두룩합니다. 여러분도 마찬가지일꺼구요.
DCBal (2011-10-25 01:42:1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사실 저도 요즘 물가를 봐서는 게임 하나에 6만9천원 하는게 뭐가 그리 비싸다고 생각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그게 우리나라 게임시장 현실이에요. 좀 더 싸게 팔면 훨씬 많이 팔릴게 뻔한데 또 6만 9천원에 출시할리가 없죠;
아이콘 쥬다스 (2011-10-25 01:43:30 KST)
0↑ ↓0
센스 이미지
이제와서 이야기하는 것은 무의미하지만 스타2의 가격은 물가를 감안했을때
6만9천원은 적절하다고 판단됨
하지만 실제로 그렇지는 않았죠
이건 대한민국의 실질 소득이 안습이라는 거...
아이콘 [릉아] (2011-10-25 02:20:08 KST)
0↑ ↓0
센스 이미지
걍 난 내가 생각해서 안아깝다 싶으면 걍 사는데;
DCBal (2011-10-25 02:56:2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다 마찬가지죠. 살만하다싶으면 사는거고.. 문제는 많은 우리나라 게이머들이 돈주고 게임을 산다는거 자체를 아깝게 생각한다는거.
아이콘 Coldviolet (2011-10-25 05:23:40 KST)
0↑ ↓0
센스 이미지
패키지 게임시장이 망했다고 가격을 낮추나요? 제 값에 디지털 파는게 먼저죠. 스타2도 그랬구요. 다만 물질소장 항의가 너무 심하니까 결국 패키지 나온뒤에 시간이 지나고 가격이 떨어졌지만 처음부터 싸게 던져줄것 같진 않습니다
빵집깡패 (2011-10-25 05:33:0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69000짜리 스타2가 꽤 많이 팔렸는데 상식적으로 내릴것 같나요. -_-;

안 내릴겁니다.
빵집깡패 (2011-10-25 05:38: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스타2 할인은 국내 할인폭이 커서 그렇지, 딱히 국내 가격정책이 실패했기 때문에 한것 같지는 않은데 말이죠.

할 때 즈음 되서 했다는 느낌입니다만.
아이콘 후방SCV (2011-10-25 07:21:06 KST)
0↑ ↓0
센스 이미지
도대체 그놈의 판매량 부진이란 망상은 어느 근거로 나오는건가 모르겟네요. 애초에 pc방 패키지판매가 주된 판매량이었는데 그걸 계정관리차원에서 온라인게임 공급형으로 바꾸면서 과거같은 수량은 나올수없는데 개인이용자에게는 상당수 팔린걸로 알고있습니다.

국내시장 규모생각하면 여전히 굉장한 양이 팔렸고요.(롯데마트 매장물량은 몇번이나 매진되어서 추가공급이 있었다고 기사도 나와있네요.)
애초에 위에 거론한 게임하고 비교해서 디아3의 지원되는 볼륨이나 수명을 생각할때는 6만원대를 예상합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0-25 07:33:08 KST)
0↑ ↓0
센스 이미지
애초에 무려 7개월이나 있다가 황금기다끝나고 할인판매된느걸보고 온갖 소설다나오죠. 창립 20주년기념으로 전세계 동시 할인이었는데도요.
구루쉬 (2011-10-25 07:51:0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타2 발매 전 10만원대 예상하던 무리에서 7만원정도 예상했었는데 이번엔 4-5만원이 떙긴다 ㅋ
아이콘 VlCTORIA (2011-10-25 10:40:20 KST)
0↑ ↓0
센스 이미지
스타2처럼 ₩ 69,000원 예상해봅니다 ~ ㅇㅇ;
아이콘 광란한곰먹은나오 (2011-10-25 10:55:01 KST)
0↑ ↓0
센스 이미지
예상을 깨고 7만원대로 나와도 살사람 넘침
아이콘 AlexanderMcQueen (2011-10-25 12:00:1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4만원대면 '이거 한번 해볼까' 하는 라이트유저들도 살만한 가격
6.9 이상은 헤비유저들만 살듯.
수요층을 어디까지 잡느냐에 따라 가격이 결정날텐데
한국시장성격상 4만원이 적당함
아이콘 눈물사마 (2011-10-25 13:32:29 KST)
0↑ ↓0
센스 이미지
5만원 중반대 정도 나오면 서로 윈윈 하지 않을까 싶음
아이콘 닭쳐언니 (2011-10-25 14:20:44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냥 정리함 똑같이 6.9임 그 이하로 팔리가 없음!
아이콘 EnvyJung (2011-10-25 14:46:32 KST)
0↑ ↓0
센스 이미지
스2와달리 디3라면 비싸도 살사람많을듯
아이콘 EnvyJung (2011-10-25 14:46:47 KST)
0↑ ↓0
센스 이미지
아마 욕엄청하면서 사겟죠
브통령이될꺼랑께 (2011-10-25 14:47:4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2때처럼 배짱좋게 6만9천원에 내놓거나 그 이상으로 내놔도 살사람은 많고
실드쳐줄 블빠들도 많긴하죠.
다만 국민겜으로 자리잡느냐, 스2처럼 매니악한 테크를 타느냐의 문제가
이미 가격측정에서 어느정도 결정된다는게 뽀인트임.
브통령이될꺼랑께 (2011-10-25 14:48:4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근데 디아3는 경매장으로 돈버는게 가능해서 앵간히 비싸게 내놔도 본전 뽑으면 된다는 마인드로 많이 사긴 할듯 ㅋㅋ
아이콘 ElpZombi (2011-10-25 15:25:0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한정판 한국발매하니까 한정판에서 뽑는만큼 일반판 싸게 팔아주지않을까요
아이콘 ElpZombi (2011-10-25 15:31:0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는 그냥 6.9에 팔듯
빵집깡패 (2011-10-25 15:57:4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한글판 내준다니 고맙지만 솔직히 몇장이나 팔린다고 일반판을 싸게 팔까요. -_-;

블빠들이 전부 다 디아 한정판 사줄것도 아니고, 한 만장 팔리면 잘팔린거 같은데.
DCBal (2011-10-25 17:16:4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잘 알고 좀 말합시다 ㅋㅋ 스타2 해외에선 원래 60달러인데 20주년 이벤트로 잠깐 50달러로 내렸다가 다시 60달러로 올렸습니다. 7만원에 팔다가 4만원으로 내리고 고정시킨거랑은 전혀 다릅니다. 이것만 봐도 우리나라에서 기대만큼 판매량이 안나왔다는건 너무 당연하죠. 다른 게임이랑 비교하면 모르겠습니다만 블리자드의 스타크래프트 후속작이라고 생각하면 당연히 기대에 못미치는 흥행입니다. 요즘들어서 온겜넷이랑 얘기도 잘풀리고 해서 다시 기사회생 할 가능성은 높다고 보지만요.
DCBal (2011-10-25 17:17:5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http://us.blizzard.com/store/details.xml?id=1100001122 참고하세요.

위에 누가 말했듯이 그 블리자드가 한국에서 스타2 판매량에 만족할꺼면 6만9천원에 팔고 대중화를 노린다면 더 싸게 팔겠죠.
DCBal (2011-10-25 17:19: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대다수의 유저들은 여러분들의 생각과는 다르게 생각합니다. 어짜피 살껀 산다구요? 전혀 아닙니다. 비싸게 나오면 안사요. 설령 그게 물가와 상품의 질을 봐서 타당한 가격이라고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돈주고 게임사는건 아깝다"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인거 다들 아실텐데요. 5만원대랑 6만9천원이랑은 당연히 다릅니다.
DCBal (2011-10-25 17:21:5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타2가 한국에서 기대치에 못미친 이유를 분석한 기사들은 수두룩하고 대다수가 비싼 가격을 지적했습니다. 쉴드칠껄 치세요.
빵집깡패 (2011-10-25 17:33: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런데 국내 스타 2 판매량이 정확하게 몇장 팔렸나요?

RTS 자체가 판이 좁아져서 그렇지 국내에서 그렇게 적게 팔린거 아닐텐데.
DCBal (2011-10-25 18:01: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정확한 수치는 공개를 안했으니 모르지만 해외에 비해 저조한건 다들 인정하죠. 발표 그리고 발매했을때의 언론과 팬사이트들의 반응을 생각하면 아무래도 지금의 스타2 인지도는 기대치에 못미친다는건 어쩔 수 없어요. 그 한국에서만 700만장이 팔린 '스타크래프트' 의 후속작이니까요.
아이콘 꿈꾸는소녀 (2011-10-25 19:29:12 KST)
0↑ ↓0
센스 이미지
일반판은 6만내외일거 같고 한정판은 10만내외일거 같고
빵집깡패 (2011-10-25 20:15: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단 스타2는 패키지 판매의 꽤 많은 부분을 차지하던 피시방이 전용 과금제로 인해 패키지 판매량에 전혀 포함이 되어 있지 않고, 지금 추세는 스타 같은 RTS보다는 AOS나 FPS가 대세이죠.

4만원으로 내리고 난 이후로도 반응이 없는걸 보면 온전히 가격 문제만은 아닌데요.

반대로 디아블로도 그런 부분에서 우려스럽기는 합니다.

쿼터뷰 핵 앤 슬래시형 RPG도 RTS처럼 비주류 장르라서...
아이콘 후방SCV (2011-10-25 20:49:50 KST)
0↑ ↓0
센스 이미지
DCBal// 그 스타1은 pc방에서 다사준겁니다. 발매1년간은 30만장 팔렸습니다. 한국시장 기준으로는 굉장한 판매량이긴하지만. 수백만장의 빅히트는 pc방보급과 함께 가능한겁니다.

뭐하나 제대로 아는것도 없이 상상으로 글을 쓰셨네요. 그 분석글좀 봅시다. 저도 몇번봣는데 얼토당토않는 소설이라 까였던건 몇개 기억나네요. 딱한 근거랍시고 pc방 드립을 치던데 국내 동접 1위의 넥슨게임조차 pc방순위 10권안에 게임이 하나도 없더군요. 애초에 그시절과 개인pc보급률도 천지차이일뿐더러 24시간 동접유지하며 작업장달리는 게임장르와 pc방 이용시간순위를 견준다는것 부터가 코메디고요. pc방에 패키지 보급조차 하지 않은 시점에서 과거랑 패키지 구매량을 겨루는건 막말로 멍청한거 아닌가요? 판매량의 대다수가 pc방이었다는데.

결과적으로 펙트보다는 보고싶은거 보고 망상하는거죠.
오히려 롯데마트 오프물량의 연속적인 매진관련 기사는 별로 보고싶지 않으시죠? GSL 최단기간 시청자 1억명돌파해도 뭐 보기 싫은 사람은 보지도 않고 게스파에서 프로선수들 끌고와서 e스포츠월드컵이랍시고 열었던대회 관람객 10명와도 스타1이 아주크고 잘되는줄 알고살더군요.
아이콘 후방SCV (2011-10-25 20:51:29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리고 비싸면 안사시면 정답입니다. 콜옵시리즈도 이번에 6만9천원에 나옵니다. 디지털다운버젼이요. 콘솔게임들은 개뿔도 없는데 판매가가 싼게 6만원을 넘어간지 오래구요.
DCBal (2011-10-25 21:41:5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제가 대부분 위에 썼던 내용으로 반박되네요. 저번에 블리자드 현지화 해주는것만으로도 감사하다고 할때도 그러시더니 ㅋㅋ. 뭐 창립20주년기념 전세계 동시 할인이라는둥 없는 사실 지어내지 마시구요. 게임관련 웹진에서 스타2 부진만 쳐도 잔뜩 나오는걸 제가 굳이 찾아드려야하는지 의문이구요. GSL '최단기간' 이 도대체 뭐랑 비교해서 최단기간이라는 소린지도 모르겠고 스타1은 저도 관심없어서 생략. 콜옵얘기는 이미 제가 첫번째로 쓴 리플에서 지적한 부분이네요. 이미 콜옵은 국내에선 팬층 매니아층만 사는 상품이라서 대중화를 노리는 블리자드랑은 비교하면 안된다구요. 발매1년간이라는건 PC방에서 다샀다는 근거가 안되죠. 발매후 서서히 흥하다가 확장팩나오고 빵 터진거니까요. 뭐 PC방에서 상당부분 샀다는건 인정하지만 어쨌든 단순히 판매량이 아니라 스타2의 인지도를 보면 당연히 스타1때를 생각하면 훨씬 기대치에 못미치죠. (스타1때만큼 흥해야한다는 소리가 아닙니다. 그건 불가능하죠.) 도대체 누가 스타2가 스타1에 비해 판매량이 떨어지니까 부진한거라고 합니까? 다만 스타1은 이례적으로 세계 어딜 가도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한국에서 흥한거치고는 부진하다 이말입니다. 당연히 그냥 패키지구매량 비교하는건 멍청한거죠 환경이 완전히 다른데.


스타2가 해외에 비해 국내에서 기대치에 못미치게 부진하다는건 어느 커뮤니티를 가도 태클 안들어옵니다. 유독 PLAYXP만 그걸 인정을 못하는게 정말 신기하네요.

마지막으로, 다른 나라에선 20주년 60달라->50달라 수준으로 할인했다가 잠시후에 다시 가격 되돌렸는데 국내에선 7만원이던거 4만원으로 깎고 가격 고정시킨것만 보면 누구든지 알 수 있습니다. 아까 뭐 다른 나라에서도 다 똑같이 할인했다고 하셨는데 헛소리구요. 이걸 뭐라고 반박할수있나요?
DCBal (2011-10-25 21:43: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참고로 TSL의 이운재 감독이 저번에 인터뷰에서 '한국에서의 스타크래프트2 흥행 부진이 가장 컸다. 경제 상황도 좋지 못해 후원사도 수익이 나지 않는 상황이었고 메인 스폰서조차 사라질 위기였다.' 라고 한적이 있습니다. 인정할껀 좀 인정해주세요. 그래야 말이 통하죠. 자기 듣기 싫은 말은 죽어라 안듣고 앵무새마냥 똑같은 말만 반복하는건 저번 논쟁에서 이미 충분히 경험했습니다. 그만 좀 하죠.
DCBal (2011-10-25 21:47: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그리고 왜 콜옵이랑 비교하면 안되냐고 물어보실거같아서 다시 한번 제대로 말씀드릴게요. 스타크래프트나 디아블로라는 타이틀과는 다르게 콜옵은 국내에선 '게이머' 들이 찾는 타이틀이죠. 당연히 게임을 돈 주고 산다는것에 부담이 없고 또 6만 9천원이라는 가격이 타당하다는것도 잘 알고 있는 유저들입니다. 하지만 디아블로3는 타겟이 '게이머' 가 아닙니다. 콜옵과는 다르게 대중성을 노리는 게임이에요. 당연히 게이머가 아닌 사람들도 부담없이 구매할 수 있는 가격을 책정해야하는겁니다. 이런 당연한걸 굳이 설명해야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물론 디아3도 6만 9천원에 팔아도 아무래도 팬층이 많은 만큼 졸라게 잘 팔리기야 하겠죠. 하지만 스타2의 대중화 실패에서 배워야한다 이겁니다.
아이콘 Tearmain[275] (2011-10-25 22:26:19 KST)
0↑ ↓0
센스 이미지
58000
SalazarSlytherin (2011-10-25 22:28:4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2도 망삘인데 디3는과연?

솔직히 흥했으면 좋겠는데 6~7에 나오면 일반인들 안사서 흥하지 못할것같음. 여기와서 글보는사람들은 그래도 꽤나 관심있는 사람들이고 당연히 산다고 생각들 하는거고.
빵야빵야 (2011-10-25 22:32: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는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만원이든 십만원이든 딱히 상관이없음...
SalazarSlytherin (2011-10-25 22:32:5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전작들이 흥한건 cd키만 구하면 즐길수 있었고. 신기하게 cd키 구하는게 구매하는 방법 말고 다른방법으로도 굉장히 쉬웠던것...
블랙제이 (2011-10-25 23:22:1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후방SCV//저기 죄송하지만 이제 콜옵PC판은 국내에 정발이 안 됩니다.
정발 안된 패키지와 정발이 되는 패키지 가격을 비교하면 뭣하죠.
배틀필드3 한글판이 4만원대인건 위에서 말씀드렸죠? 디아3는 그것보다 분량이 좀 더 많은 RPG게임이니까 많이 잡아서 5만원대 예상한다는 말도 위에 써놓았습니다.
그리고 롯데마트 연속 매진. 정말 축하할 만한 일이나 평균 재고가 얼마나 쌓여 있는지도 알고 계신가요? 한 100장 올려놓고 연속매진 연속매진 해봤자죠.
그리고 블리자드 20주년 할인행사를 통해 40%가량 가격다운 및 고정은 전세계에서 한국이 유일합니다. 자기네 본국인 미국에서도 안한 할인을 뜬금없이 저렇게 깎았다는 건 공급에 비해 수요가 부족했기 때문에 시장가격이 내려가는 아주 자연스런 현상입니다. 게다가 블리자드 게임 가격방어가 대단한건 모르시나요? 스타1은 사실 몇천원에 팔려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근데 아직도 배틀체스트가 몇만원씩 하죠. 그 어느 블자 게임도 확장팩이 나오기 몇 개월 전부터 가격을 40%나 깎인 사례는 없었습니다.
다만 디아블로3는 현재 게임계 인기장르 양대산맥 중 하나인 RPG장르이고, 기존 국내 팬층도 두터운지라 좀더 판매량이 많이 나올 것 같다, 라는 예상은 할 수 있겠네요. 실제로 제 주위에도 스2는 관심없지만 디아3는 나오면 한다는 사람 널렸습니다. RTS게임의 인기는 북미와 유럽 몇 개 국가 말고는 이제 끝났습니다.
아이콘 Vasteel (2011-10-25 23:36:0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보통 해외게임 44불에서 55불 정도 책정되지 않나요? 콜옵이랑 스2가 60불대 찍었고.
ABCmart (2011-10-26 00:07:44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딴거 필요 없고 그냥 한정판 ㄱㄱ
한정판은 13만원 하겠지 뭐ㅋㅋ
아이콘 스마라그도스 (2011-10-30 00:01:48 KST)
0↑ ↓0
센스 이미지
머이리 말이 많지??? 사기 싫으면 안사면 그만 아닌가? 웃기겠지만 내 주위엔 가격논쟁 한 사람 치곤 산 사람이 없다는 거.... (가격이 내려도) 따지고 보면 가격이 높든 낮든.. 까면서 안살인간은 줄창 까기만 하고..(그러면서 이유는 가격탓으로 돌리는 그런 인간들;;). 아닌 사람은 사는 거고 ...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