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294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DCBal
작성일 2011-10-15 18:42:44 KST 조회 1,220
제목
노예근성이 정말 대단하네요. 기업은 이익이 안나는 짓은 안합니다.

현지화가 좋고 말고를 떠나서 해주는것만해도 감사한거라는 개소리는 하지맙시다.

 

우리나라 게임시장에서 이익이 안났으면 당연히 예전에 철수했습니다.

 

스타1 이후로 디아2때도, 워3때도 우리나라 판매량은 비중이 굉장히 컸어요.

 

스타2는 잘은 모르지만 어쨌든 손해는 절대 아니겠죠.

 

우리나라 게임시장 자체가 얼마나 병신이냐를 떠나서 블리자드한테는 꾸준히 좋은 시장이였습니다.

 

진짜 블리자드가 뭐 우리나라에서 손해보고 있는데 꾸준히 현지화를 해주는거라면 모를까요.

 

도대체 소비자가 기업이 제공하는 상품에 감사해야한다는 논리는 어디서 나오는겁니까?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올리아 (2011-10-15 18:45:4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소수의 멍청이들이 하는말임
아이콘 빌리와심영 (2011-10-15 18:46:37 KST)
0↑ ↓0
센스 이미지
난 블코 자체는 별로 안좋아해서 별로 쉴드 치고 싶지는 않은데,

외국 기업이 RPG게임에서 정체불명의 외래어 이름이 난무하던

와우 이전의 판국을 뒤엎어버리고,

성우도 50명 넘게 캐스팅 해서까지 더빙해주고 이러는 건

감사할 필요는 없어도 기특하지 않나요
DCBal (2011-10-15 18:46:4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http://www.playxp.com/dia3/bbs/view.php?article_id=3493066

소수의 멍청이인줄 알았는데 밑부분에 달린 리플보면 안그런거 같아서 글 하나 썼습니다.
아이콘 빌리와심영 (2011-10-15 18:47:09 KST)
0↑ ↓0
센스 이미지
물론 이익 노리고 "사상 최강의 현지화" 를 해준건 맞긴 맞죠
DCBal (2011-10-15 18:47:3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것도 결국은 다 게임의 퀼리티를 높여서 잘 팔려고 하는거니까요. 어쩄든 블리자드 게임이 완성도도 높고 현지화같은게 기특한것도 맞지만 "감사" 는 도대체 무슨 소린지 모르겠어요.
DCBal (2011-10-15 18:48: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뭐 안해줘도 되는데 해주는거니까 감사하는 마음으로 받아들여라 이런 식으로 말씀들 하시는데 참.. 블리자드가 미쳤습니까
아이콘 쥬다스 (2011-10-15 18:52:26 KST)
0↑ ↓0
센스 이미지
블리자드에서 한국의 비중은 5%임.
아이콘 wood37 (2011-10-15 18:59:24 KST)
0↑ ↓0
센스 이미지
5%면 생각보다 높네 ㄷㄷㄷ
만약 기업이 5% 작다고 무시하는 식으로 경영하면 아마 3년을 못 갈듯
환량밍 (2011-10-15 19:11:1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팔아먹기위해서라는건 알지만 현지화 잘해주고 그러면 기특하지
아이콘 TaurenDruid (2011-10-15 19:21:01 KST)
0↑ ↓0
센스 이미지
수익계산시에 1% 차이도 엄청난 차이입니다
잘나간다는 삼성전자가 매출액 순이익율이 현재 10~11%정도니까요
으이구 (2011-10-15 19:25:46 KST) - 117.123.xxx.25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노예 근성좋아하시네. 현지화를 했다말았다를 떠나서 저정도로 현지화를 개쩔게 해준 사례하나라도 들어보던가.

우리나라 게임계 뿐만아니라 어느곳에서도 저정도의 현지활르 본적이 없는데.

거기다가 그동안 외국인들조차 알아들을수없게되어버린 정체불명의 콩글리쉬난무하느라 한국게임시장이 잘못된 문화사대주의에 찌들어있던때에 우리나라말도 쩔어주게 멋지다는것과 외국인들이 자국게임할때 느끼는 감동을 동일하게 느끼게 해준것도 처음인데.

이걸로 끝이아니라 우리나라사람들도 잊고 지내거나 잘못알던 단어들 교정까지 해주는판국.


이걸 칭찬안하면 솔까말 그게 미친거지.
으이쿠 (2011-10-15 19:29:10 KST) - 117.123.xxx.25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지금도 블리자드말고도 한글화하는 회사가 있기는 있음. 다만 그 퀄리티가 완전히 하늘땅차이인데. 이걸 보면 대단하다는 생각안드남?

우리나라에서 번역이나 더빙에관해서는 초일류들만 모아서 존나 정성들여 고심해가며 전부 완역해준건데. 그것도 엉성한 단어들도 아니고 뉘앙스까지 거의 완벽하게 살려서해준건 블리자드 기업마인드를 잘보여주는 단면이구만.

이너파이어..이렇게 쓰고 읽으면 한국사람들도 대다수는 뭔소리야 이러고 영어를 모국어로쓰는 미국애들조차 아예 못알아듣는 국적불명의 글이됨. 이런걸 내면의 열정같이 쩔어주게 바꿔주는게 번역 내공을 보우는구만.
ㅁㄱ (2011-10-15 19:38:14 KST) - 203.170.xxx.11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노예근성인진 모르겠고 단순히 소비자 입장에서 볼때 현지화는 고마운일 아닌가?
콘솔판엔 있는 한글버전을 pc판으로 출시할땐 삭제하거나 잠궈놓고 출시하는 게임도 많은데.
억울해서저그 (2011-10-15 19:42:4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안해줘도 되는건데 해준다면 욕해야 하나요? 아님 감사해야 하나요?
그것도 아니면 아무 느낌이 없어야 하나요? 노예근성이라는건 아무것도 없는데 감사하는것이 아닌가요?

한글화 없으면 판매량이 얼마나 차이날까요? 그냥 놔두는것 보다 얼마나 클까요?

복사가 만연한 한국에서 한글화 한다고 판매량이 크게 뛰나요?

여기와서 글을 쓴다면 디아에 관심이 많다는건데 한글화 안해주면 안살껀가요?
그럴 사람이 여기서 글을 쓸까요?
다운받아 할꺼라면 비판,비난등을 할 자격이 있을까요?

받는것을 감사하는 법을 기억합시다. 안해도 될것을 해주면 기쁘게 김시하는 것이 옳다고 배웠습니다

그것이 노예근성은 아니니까요
DCBal (2011-10-15 19:43:3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기특하게 여기는것과 감사하게 여기는건 다르죠. 제가 까는건, "안해줘도 되는거 해주니까 감사하게 생각해라" 따위의 노예근성에 찌든 말도 안되는 헛소리입니다.
DCBal (2011-10-15 19:45:0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현지화고 뭐고 당연히 기업정신에 입각해서 이익을 위해 진행하는 정책입니다. 님들이 말한 모든걸 포함해서 결국 기업이미지와 매출 상승으로 오는건 너무나 자명합니다. 어쨌든 칭찬할만한 정책은 맞지만 감사하게 여기는것과는 굉장히 다릅니다. 안해도 될것이라구요? 해야될만하다고 판단하니까 한겁니다. 그게 이익이 된다고 판단하니까 하는거구요.
DCBal (2011-10-15 19:45:4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우린 그 상품을 돈을 지불하고 구매하는거구요. 블리자드는 우리에게 무보수로 재밌는 게임을 제공하는 봉사단체가 아닙니다.
아이콘 옷걸이 (2011-10-15 19:49:1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자랑 관계는 없지만 엘더스크롤5 한글화 해주면 전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윗분들 감사의 마음과 기특한 마음 여러 말씀 해주는데 그건 개인의 몫이지 뭐 이래라저래라 하나요? 2분법 논리는 안좋습니다.
억울해서저그 (2011-10-15 19:59: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단순하게 자막 한글화만 하는거라면 DCBal님의 얘기에 어느정도는 동의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막 음성 모두 하는거라면 기업논리를 넘어가는 것이라 생각 합니다.

자막 만 하는 것과 게임상의 이미지등을 머두 고쳐서 한국만을 위한 현지화라면
그것도 복사가 만연한 나라라면? 그것이 단순기업논리 만으로 이익을 얻기 위함일까요?
자막 한글화와 음성과 프로그램까지 고처가며 할만큼의 가치가 한국게임시장에 있다고 말할수 있는지요?

느끼는 바는 각자 다를수 있어도 한장 더 팔려고 난리 친다로 폄하할 정도는 절대로 아니라 생각합니다.

한글화 안해주는게 대세로 기울고 있는 한국시장에서 말이죠
DCBal (2011-10-15 20:04:1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폄하라니요. 결국 완성도 높은 게임을 만드는거 자체도 기업의 이익에 직결되는겁니다. 궁금하네요. 블리자드가 왜 현지화 정책을 시행하는거같나요? 아름다운 한글 되찾기를 위해서 인가요? 결국 완성도 높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고 그게 결국은 기업이익에 직결되는거고 거기에 소비자가 좋게 보더라도 '감사'할 필요는 전혀 없다는겁니다. 자꾸 한국게임시장에 가치가 있냐고 하시는데 블리자드 입장에선 당연히 있습니다. 우리나라 패키지 시장이 언제 괜찮았던적 있습니까? 항상 병신이였습니다. 하지만 항상 블리자드 작품은 졸라게 잘팔렸죠. 스타1은 말할것도 없고 워3때도 우리나라에서 80만장 팔렸습니다. 세계판매량과 비교해도 굉장히 높죠. 디아2도 비슷하구요. 괜히 블리자드에서 우리나라에 신경을 많이 쓰는줄 아십니까? 다른 기업들은 몰라도 블리자드에겐 한국은 중요한 시장 중 하나입니다.

당연히 할만한 가치가 있으니까 하는겁니다. 그럼 왜하나요? 진짜 블리자드가 플레이어를 위한 봉사정신으로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DCBal (2011-10-15 20:05: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다른 게임들이 한글화 안하는건 이 상황이랑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블리자드 작품들과는 다르게 다른 게임들은 99.9%가 5만장도 안팔리고, 이익아 안나니까 한국시장에서 철수하는것일뿐입니다.
DCBal (2011-10-15 20:07:1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다시 말하지만 칭찬하고 기특하게 생각하는것과, "해주는것만도 감사하니까 조용히해라" 는 차원이 다릅니다. 노예근성일뿐입니다.
아이콘 smileseeker (2011-10-15 20:09:2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감정적인 문제와 논리적인 문제는 서로 분리하여 생각하셔야 하는데 그걸 합치니 문제가 생기는군요.
블리자드의 현지화가 (우리나라 게임 유저에게) 바람직한 일이냐, 아니냐. 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생각 하셔서 토론하실 문제가 맞습니다.

하지만 블리자드에게 감사해야 하느냐 아니냐 하는건 감정의 문제니까요.
감사해야 한다고 하는 것도 잘못된 말이고, 감사하면 노예근성이라는 말도 잘못된 말입니다.
감정은 강요할수도 강요되어서도 안됩니다.
DCBal (2011-10-15 20:09:4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한장 더 팔려고 난리 친다로 폄하' 하는게 절대 아닙니다. 기업이 이익을 추구하는건 너무나 당연하고 그거가지고 뭐라하는게 이상한거죠. 기업이 이익을 추구한다고 하는게 폄하라구요? 무슨 소리신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몇분이 자꾸 현지화한다고 얼마나 판매량이 느냐고 하시는데.. 그건 님들이 잘 알텐데요. 와우에서 성공적인 현지화로 인한 게이머들이 생각하는 블리자드의 이미지를 생각하시면 당연히 큰 성공입니다.
DCBal (2011-10-15 20:10:5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smileseeker//본문 첫줄에도 써있네요. 본문, 리플 잘 읽으시면 아시겠지만 "안해줘도 해주는거 감사하니까 그냥 있어라" 라는 식의 태도를 까는거죠. 감사한다는 말 자체도 웃기구요.
아이콘 우직우직 (2011-10-15 20:12:3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익을위한거지만 지금까지 이정도의 퀄리티로 해준사례가 없죠
그래 어차피 게임할거 현지화 잘해줘서 고맙네 이정도로 전부 이야기한거지 어이구 블리자드님 현지화 해주신거만으로도 감사감사 이런사람이 어딨나요 시선 엄청 삐딱하시네 ㅋㅋ
아이콘 smileseeker (2011-10-15 20:13:5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DCBal//DCBal님께만 적은게 아니라 보실 분들께 적은 거라서요.^^ 당연히 내가 감사하니까 너도 감사해야 한다. 라는 건 틀렸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 사람이 감사하는게 틀렸다고도 생각은 안하고요.
DCBal (2011-10-15 20:14:4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우직우직//그런 사람이 없으면 이런 글을 썼겠나요? 밑에 글 리플보면 많네요. 이글에도 한분 계시는데.
dd (2011-10-15 20:17:11 KST) - 114.108.xxx.46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정도의 퀄리티로 해준사례를 찾기전에
우리나라에서 블리자드만큼 게임팔린게 없어요
스1 디2 워3 셋다 우리나라에서 많이팔린게 먼저죠
블랙제이 (2011-10-15 20:18:1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5%가 정말 큰 비중인가? 북미와 유럽을 가지고 비교하면 한국은 결코 큰 시장은 아닙니다.
전 단지 타 회사의 패키지게임들이 비한글화 발매 혹은 정품 비발매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렇게 수준높은 현지화를 해 준다는게 고마울 따름이죠.
스타2도 한국에서 그정도면 잘팔린겁니다 그거..;; 물론 우리나라에 쏟아부은 마케팅을 생각하면 큰 손해를 봤을 거라고 보지만요. 문명5는 마케팅 한번 안 하고 순수 입소문으로 이정도까지 왔는데 말입니다.
DCBal (2011-10-15 20:22:1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5%가 무슨 자료를 기준으로 5%라는지 모르겠는데 어쨌든 그건 생략하더라도 다국적 기업에서 5%가 진짜 작은거같나요? 5%는 졸라 큰겁니다.

그리고 당연히 스타2는 손해 아닙니다. 전작들에 비해서 기대치에 크게 못미치는거 같기는 합니다만 손익분기점은 당연히 넘겼다고 보네요.

그리고 위에서 몇번을 말한건지 모르겠는데 다른 기업들 작품은 한국에서 안팔리고, 블리자드껀 잘팔립니다. 그게 다른거지 블리자드가 다른 기업들보다 착해서 한글화해준게 아니라구요.

그리고 문명5요? 90% 이상이 복돌이고 애초에 그렇게 난리난거 치고는 정작 플레이어는 별로 없다는건 님도 아실텐데요.
억울해서저그 (2011-10-15 20:22:4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기업이 돈을 벌기 위한 것은 맞습니다. 손해가 날 짓을 오래 하면 회사가 망하니까요.
이미지가 좋아지면 장사하기 편해지는 것도 맞습니다. 이미지가 나쁜 물건을 사고 싶은 사람은 진짜 급한 사람 빼고는 별로 없으니까요

그렇다면 블자 수준의 현지화가 아닌 회사를 찾아보자면, 어디가 있을까요? 단순 게임 회사를 떠나서요.

어떠한 회사도 그 분야에 맞추어 이정도의 현지화를 해 주는 곳은 없습니다. 질적인 수준이 다르다는 것이죠.

블자가 한국에서 버는 것 그 이상을 버는 다른 직종의 회사들도 많습니다. 그중에 한국을 위하는 회사가 있는지, 저는 알고 있는 곳이 없네요.

돈을 버는 것은 잘못된것이 절대로 아닙니다. 누구나 돈은 벌고 싶죠. 하지만 정성을 담아 일을 하는 회사가 단지 기특한건가요? 그들이 우리가 필요한 것을 누가 시키지도 안는데요. 하다못해 이렇게까지 한다고 돈을 더 벌것도 없는데 말이죠 ^^

기업이 이익을 추구한다고 하는 것을 폄하한다고 하지 안습니다. 이익을 이 아닌 이익만 추구 하는 것을 폄하하는 것이죠. 그리고 DCBal 님께 폄하 했다고 한말의 의미는 이익추구란 부분이
아닌 노력하고 있는 것을 무시하시는 투로 글을 쓰셨기에 그것이 폄하였다고 한 것이랍니다.




감사하는 것과 그 대가로 물품을 구입해 주는 것은 다른 것이죠. 예전 어르신들이 돈 받고 투표해 줬던 것과 지금의 세대는 다르니까요

한가지 부탁이 있다면 이 토론의 마지막에 그럼 평생 노예근성으로 사시죠? 나 비슷한 투의 말은 자제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 말은 전 병x 입니다 라는 뜻이니까요 ^^
혹시나 해서 사족으로 붙여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억울해서저그 (2011-10-15 20:23:5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참 "안해줘도 해주는거 감사하니까 그냥 있어라" 라는 글은 제가 봤을때 없었던 것 같네요
"안해줘도 해주는거 감사하니까" 였죠 ^^
아이콘 쥬다스 (2011-10-15 20:27:09 KST)
0↑ ↓0
센스 이미지
5% 발언은 마이크 모하임이 직접 함.
DCBal (2011-10-15 20:28:2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어떠한 기업도 이만한 현지화를 해주는걸 따지기전에 일단 현지화 자체가 블리자드에서 첫시도한겁니다. 질이 좋은건 인정하네요. 그럼 왜 다른 기업에서는 한글화를 안해주냐구요? 몇번 말합니까. 다른 회사에선 안팔리니까 손땐거고, 블리자드는 잘팔립니다. 그게 전부입니다.

자꾸 똑같은말만 반복하게 하시는데요. 노력한거 맞습니다. 이익추구를 위한 노력입니다. 장인정신으로 완성도 높은 게임을 만드는거 참 좋습니다. 그리고 그런걸 하는 이유는 이익추구를 위해서죠.

이렇게까지 한다고 돈을 더 벌게 없다구요? 위에도 썼는데요. 현지화는 성공했습니다. 이익에 큰 도움이 됐다구요. 기업 이미지라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아시죠? 블리자드가 와우 현지화 대박터트리고 기업 이미지가 얼마나 좋아졌습니까? 하두 좋으니까 노예들도 잔뜩 생겼네요. 하여튼, 이런게 다 이익으로 연결되는겁니다. 당연히 소비자는 해주는것만도 감사해야한다는 마인드를 가지면 절대로 안됩니다

'그럼 평생 노예근성으로 사시죠?' 라는 식으로 말한건 없다고 생각하지만.. 그렇게 말 못할것도 없는데요? 소비자가 기업에 불만을 가지면 당연히 까야하는겁니다. 거따대고 "해주는것만도 고마운건데 참 말많네 ㅉㅉ" 라는 식으로 대답하는건 븅신 노예새끼밖에 더 됩니까?
블랙제이 (2011-10-15 20:28: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5%라는 자료는 블리자드 측에서 국정감사 때 직접 말한 거라 정확한 수치라고 생각되고요,
손익분기점을 넘겼는지 어땠는지는 님이 어떻게 아십니까? 솔직히 스타2의 한글화는 스타1만큼의 판매량을 기대하고서 해준거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긴 하지만...이건 타국에도 적용되는 한글화 정책이니 딱 집어서 말하긴 힘드네요.
그리고 블리자드 게임이 타 회사 게임보다 잘 팔려서 한글화 해준거, 저도 동의합니다. 전 단지 패키지게임이 멸망에 수준에 이른 지금 상황에서 이정도 수준의 한글화를 해주는 것에 고마움을 느낀다는 개인적 의견을 피력한 것인데 "블리자드가 다른 기업들보다 착해서..." 따위의 제가 하지도 않은 말을 운운하며 흥분하시는 겁니까?
문명5도 블리자드가 우리나라에 쏟아부은 마케팅 비용을 생각했을때 이득을 봤다는 겁니다. 처음에 문명5는 한국에 정발도 안되었습니다. 반면 스타2는 인터넷 메인 광고에 버스 광고에 건물 한 면을 뒤덮어서 벌금까지 물어가며 마케팅을 했습니다. 그런데 그에 비하면 한국에서 그다지 열광적인 인기는 못 얻었습니다. 정품이 들어오지 않아 해외 직수입판을 들여오는 것부터 시작해서 공식 한글화에 한국문명 추가까지 된 문명5의 상황은, 분명 마케팅 대비 큰 이득이었다. 이런 말씀을 드리고자 한 것인데 왜이리 흥분하셨는지 모르겠네요.
DCBal (2011-10-15 20:29:0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안해줘도 해준다고 생각하는거 자체가 굉장히 큰 착각입니다. 진짜 블리자드가 무슨 자선단체인줄 아시는지
DCBal (2011-10-15 20:30:3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어쨌든 5%는 절대 작은게 아니라는거 잘 생각해보시면 아시겠네요.

괜히 흥분한건 죄송합니다. 여태까지 계속 그런식으로 말하던 분이랑 대화하던 참이라 님도 그런식으로 말씀하신걸로 착각했네요.
빵야빵야 (2011-10-15 20:32: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황당하네 ㅋㅋ

블리자드가 돈을 노리고 했던지 말던지

한국 최고 성우진들 고용해서 동영상에 입모양까지 맞춰주는 블리자드의 한글화에 저는 고맙고 기특하네요 ^^

그리고 고맙거나 말거나 DC님이 무슨 상관이고 그게 어떻습니까?

이런건 개인적 차이인거지, DC님이 노예근성이니 뭐니 할 자격이 있나요?
블랙제이 (2011-10-15 20:32:5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DCBal//괜찮습니다. 솔직히 딴 게임사이트 가보면 블리자드 빠돌이들이 좀 많긴 하죠.
한국에서 답이 없는 3종류의 빠돌이를 고르라면 앱빠 햄빠 블빠인데 블빠는 그래도 양호한 수준...
DCBal (2011-10-15 20:33: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니 혼자 고맙게 생각하는건 관심없는데 그거가지고 "안해줘도 되는거 해주는데 말많네" 라는 식으로 헛소리하지말라는겁니다. 본문 첫쨰줄에도 그소리가 있는데 도대체 글을 제대로 읽으시나요
DCBal (2011-10-15 20:34:4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억울해서저그님은 굉장한 착각을 하고 계십니다.

'그런상황에 한글화를 해주는건 예전 일 때문에 호의로 해주는거지' 라든가,
'반대로 제발 돈 드릴테니 팔아주세요 ㅜㅡㅜ ' 라든가,

님이 하는말보면 노예근성 그 자체입니다. 아직도 못알아들으신거같아서 다시 말하지만 블리자드에서 돈이 되니까 한국에 투자하는겁니다.
DCBal (2011-10-15 20:36:5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다른 기업들은 안팔려서 한글화를 안하는거고 한국 시장에서 손을 땐거구요, 블리자드는 한국에서 이득이 충분히 나오니까 투자하는거라는게 그렇게 이해하기 힘든 논리인가요?
빵야빵야 (2011-10-15 20:40:5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러니깐 개인적 차이라구요 ^^; 노예근성이라는 말부터가 고맙다고 하는사람을 아예 인간이하라고 낙인을 찍어버리시네요. 제가 화나는건 DC님의 태도때문입니다. 기억나실런지 모르겠지만, 옛날에도 한번 얘기했엇조, 어차피 이해를 아예 안하시려고 하니깐 어쩔수가 없네요. 그냥 그렇게 꽉막혀서 사세요.
억울해서저그 (2011-10-15 20:41:5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익 추구 라는 부분은 너무나 당연한 얘기니 더이상은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말씀해 주신 부분 중에 "해주는것만도 고마운건데 참 말많네 ㅉㅉ" 라고 생각하시는 분은
별로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부분이 DCBal 님께서 하시는 가장 큰 오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생각하시는 분들은 조금 오버하면 현재 4~50대 아버님 세대 들이죠.(실제로 그 나이분들도 상당수는 그런 생각은 하지 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감사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누구도 하지 않은, 또한 하지 안아도 될일에 대해서 칭찬하고 감사하는 것 입니다.

실제 가장 가까운 예가 애플 이 있습니다. 어찌보면 상품성만 놓고 보자면 가장 가까운 예라고 생각합니다.

가만 놔둬도 잘 팔리는 물건, 안팔리기 때문에 어떻게 하던 더 잘팔리도록 노력하는 물건 중에 블자의 게임들은 후자 입니다.
한국의 게임 시장에 대해서 그들이 모르지는 안을 것 입니다. 우리보다 더 잘알겠지요.

디아,스타,워3 가 나온 것은 10년 됬습니다. 10년전 상황과 지금의 상황을 혼동해서 더 많은 돈을 들여 노력할 이유가 있다고 보시나요? 그것은 감사때 국회의원이 했던 뻘소리와 같습니다.
(와우는 제외합니다. MMORPG 는 커뮤니티가 중요하기에 언어가 통하지 안으면 게임을 할수 가 없습니다.)

감사하다고 하는 것은 그러한 것들을 알고 있지만 한국을 위해 노력하는 부분에 대한 감사 입니다.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해주는 것만도 감사하니까 조용해라 가 아니라는 것 입니다.
DCBal (2011-10-15 20:42:4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기억안나요. 그리고 제가 단순히 그냥 고맙다고 생각하는걸 노예근성이라고 하고 있나요? 걍 단순히 "해줘서 기특하다" 랑 "안해줘도 되는거 해주는데 말많네" 랑은 완전히 다른 의미죠.
억울해서저그 (2011-10-15 20:44: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애플에 대한 예는 하지 안아도 될 일을 하지 안는 부분을 말합니다. 중간에 빠졌네요...
DCBal (2011-10-15 20:45:0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애초에 그런분을 대상으로 쓴 글이고.. 그런분이 지금 게시판에 있죠. 리플로 썼지만 정작 억울해서저그님 조차

'그런상황에 한글화를 해주는건 예전 일 때문에 호의로 해주는거지' 라든가,
'반대로 제발 돈 드릴테니 팔아주세요 ㅜㅡㅜ '

라고 말씀하셨으면서 그런말을 하시나요?

그리고 너무 뻔한 얘기지만 가만 놔둬도 잘팔리면 더 노력해서 더 잘파는게 기업이죠.
DCBal (2011-10-15 20:47: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10년전이든 5년전이든 존나 잘팔렸다는 얘기는 블리자드라는 기업에 대한 이미지가 굉장히 좋다는 말입니다. (와우의 성공적인 현지화로 더 좋아졌죠) 그 상황에서 더 잘팔기 위해서 더 투자한건 굉장히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억울해서저그 (2011-10-15 20:47:3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제가 쓴 내용은
"글고 블자 먹여살린다는 뻘소리는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한국에서 먹여살린적 없으니까요 반대로 제발 돈 드릴테니 팔아주세요 ㅜㅡㅜ 라고 하는 몆안되는 회사중 하나가 블자 입니다"

이것입니다. 실제로 블자는 돈드릴테니까 팔아주세요 라고 할수 있는 회사 중 하나니까요? 아니라고 반박 하실수 있는지요?
DCBal (2011-10-15 20:48: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 게임이니까 믿자" 많은 분들이 하시는 말씀 아닙니까? 저도 이렇게 생각하구요. 이게 전부 블리자드의 현지화를 포함한 장인정신에서 형성된 이미지입니다. 실제로도 그렇구요. 당연히 이런 이미지는 판매량에 엄청난 도움이 됩니다.
DCBal (2011-10-15 20:50:0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돈주고 살게요 가 정상적인 사고방식이라고 생각하네요.

그 전에, '그런상황에 한글화를 해주는건 예전 일 때문에 호의로 해주는거지' 라고 하신거부터 지금 블리자드에 대해 큰 착각을 하고 게씬다는건 알수있네요.
허참 (2011-10-15 20:52:57 KST) - 117.123.xxx.25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앞뒤가 하나도 안맞는게 현지화는 막대한 돈과 수준급의 인력, 그리고 시간이 필요합니다.

과거 패키지시장이 그나마 멀쩡하던 시절에도 한글패치나 나오면 감지덕지였고 그정도선에서 머무르는게 일종의 상식이었습니다.(그이상의 현지화는 꿈에서도 생각못했고요. 누가 그런 수고를 합니까.)

기업이라 돈만 생각하면 한글패치 하나 던져놓는게 제작비도 덜들어가고 기존의 사대주의적 상식과 마찰조차 없었을겁니다.
그런 낙후된 관념과 정면을 맞서면서(국산게임조차도 알수없는 콩글리쉬로 도배되어있는시장인데.,) 완벽현지화라는 회사 철학을 고수한게 돈이 되니까 하는 기업특유의 퍼포먼스라고요?

앞뒤가 하나도 안맞잖아요. 오히려 현지화하면 마찰과 추가적인 투자만 있다는게 오히려 위축되고 있는 한국게임시장의 현실에 맞는 해석일텐데요.

이런건 오히려 블리자드 기업 마인드에 배워야 할점이죠.

오히려 돈만 좋아하는 기업이면 과거처럼 한글패치 하나 던져놓고 끝났어야 오히려 남는 장사죠. 소모적인 마찰도 없고요.

세종대왕님의 한글창시라는 위업과 비교할 만큼은 아니지만.. 당시에도 한글을 만들다고 할때 얼마나 엄청난 반대와 분쟁에 휘말렸는가는 잘 아실겁니다. 한문만큼 깊이가 없다느니 말도 안되는 헛소리들로 무장한 기존의 관념과 싸워야했죠.
와우를 시작으로 관철된 블리자드의 현지화 노력 또한 이런 투자와 마찰을 모두 예상하며 시작된건데 이게 어찌 그렇게 폄하되나요. 말도 안되는 소리입니다.

어느 회사를가도 이런 완역을 뭐하려 하냐고 합니다. 한글패치만 해줘도 충분하다고 여기니까요.(무엇보다 그렇게 여겨왔다는게 기존의 상식이란겁니다.)
아이콘 말리고스 (2011-10-15 20:53:11 KST)
0↑ ↓0
센스 이미지
내가 아무리 블빠지만 감사해야 된다는 좀 오버

순순히 호의로 한글화 해준건 절대 아니죠. 마케팅 전략이지.

물론 그 전략이 개인적으로 상당히 마음에 들어서 내 블빠의 가슴에 불을 붙임.
아이콘 말리고스 (2011-10-15 20:54:29 KST)
0↑ ↓0
센스 이미지
감사는 좀 오버지만 일단 블빠로서 개인적으로 호의는 상당히 느끼게 되네요

블쟈에 대한 이미지 역시 더더욱 좋아진 것도 마찬가지고요
DCBal (2011-10-15 20:56:4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기존의 상식을 탈피하고 다소 위험한 도전을 했고 그게 성공해서 엄청나게 이득봤습니다. 그게 전부입니다. 완벽현지화라는 회사 철학 자체가 블리자드의 장인정신에서 비롯된거고, 결국은 기업 이미지 형성 및 수익 상승에 직결되는겁니다. 뭐가 모순인지 전혀 이해가 안갑니다. 누누히 말하지만 블리자드의 현지화는 대단하고, 칭찬할만하고, 기특합니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유저들이 "해주는것만도 감사하다" 라고 생각할 이유는 전혀 없단는겁니다.
억울해서저그 (2011-10-15 20:57:1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내가 이 물건을 얻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대가를 치뤄야 한다가 정상적인 사고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돈주고 살게요는 단순히 돈만 내면 다 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요즘 너무 늘어서 개념 자체가 달라졌다고 느껴지니까요.

판매자가 왕은 아닙니다. 하지만 소비자도 왕은 아니니까요.(물론 손님이 왕이다. 라는 판매기법에 많이 속아 왕이라고 착각하시는 분들이 많지만요....)

네 시작은 우리나라에서 많은 제품들이 판매된 것이 맞습니다. 잘해주는 사람한데 더 잘해주고 싶은 것은 어쩔수 없지요.

하지만 그 행위가 단순히 돈을 더 벌기 위함이다 로 고정시킨다면 그것이 오해라고 생각합니다.

계속 강조하는 것은 기업의 돈을 벌기 위한 행위는 기본이다. 에 대한 부분은 모두 동의합니다.

다만 그 이상에 대해서 감사한다는 것이지요.
DCBal (2011-10-15 20:59:3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의 정책이 칭찬할만하다, 훌륭하다는거랑 "해주는것만도 감사하다"는 너무나도 의미가 다릅니다.
DCBal (2011-10-15 20:59: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그 이상이란 없습니다.
허참 (2011-10-15 21:00:27 KST) - 117.123.xxx.25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또한 어느 회사에서 갈수록 수익이 줄고 위축되는 시장에 더 좋은 서비스를 해줍니까. 정말 억지스러운 이야기로 폄하한다고 밖에 볼수가 없네요.

스타1 600만장 - > 디아2 340만장 -> 워크3 110만장...앞선 게임들까지는 모두 한글패치로 끝냈습니다. 그러다가 블리자드가 자사게임의 세계관을 좀더 입체적으로 그리면서 방대한 층이 형성되자 J.R.R돌킨의 철학과 같은 완전 현지화를 기획했습니다.

애초에 기업적으로나 사업적으로나 현지화는 돈이될 구실은 절대 아니죠.
억울해서저그 (2011-10-15 21:00:4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슬프게도 한국의 게임시장은 해주는 것만도 감사하다 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나올 정도로 나빠졌습니다.

10년전이었다면 기특하네 정도로 끝났겠죠..
억울해서저그 (2011-10-15 21:02: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또한 어느 회사에서 갈수록 수익이 줄고 위축되는 시장에 더 좋은 서비스를 해줍니까. 정말 억지스러운 이야기로 폄하한다고 밖에 볼수가 없네요. <- 요걸 해줘서 감사하다는 말이 나오는 것입니다.

한국 패키지 시장은 망했습니다. 그것도 처참하게... 스타2가 기사가 나지 못할정도로 팔렸으니까요. (몆십만장씩 팔렸다면 분명 기사가 났을 것 입니다. 그것도 크게..)
DCBal (2011-10-15 21:03:2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현지화 대박나고 블리자드라는 기업에 대한 이미지 상승을 생각해보세요. 그게 폄하인지 아닌지. 그 기획 자체가 더욱 더 완성도 높은 작품을 위해섭니다. 이게 이윤추구라는 동기에서 비롯됐다는건 절대로 폄하가 아닙니다. 오히려 기업이 이윤추구를 한다고해서 그걸 폄하라고 하는게 폄하죠.

그리고 다시 말하지만 한국의 게임시장은 굉장히 후져도 블리자드에게는 아닙니다. 나빠졌다구요? 좋은적이 없습니다. 항상 이랬죠. 이건 잘 아실거 같은데요.
DCBal (2011-10-15 21:04:3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갈수록 수익이 줄고 위축되도 여전히 중요하고 큰 시장입니다. 한국에서 블리자드의 이미지를 생각하면 당연히 투자할만합니다.
ㅇㅇ (2011-10-15 21:04:53 KST) - 117.123.xxx.25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억울해서저그 // 그 판매량은 좀 이야기가 다릅니다. 블리자드가 다운로드판매와 함께 직접 판매를 주도하면서 집계량을 알수가 없게되었습니다. 다만 오프라인 판매중계를 했던 롳데마트는 오프라인 판매량 매진으로 추가물량을 몇번확보햇따는 기사는 떳습니다.
DCBal (2011-10-15 21:05: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EA는 몰라도 블리자드는 압니다. 한국에서 블리자드라는 기업의 이미지를 아시면서 어떻게 그런 말을 하시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DCBal (2011-10-15 21:07:11 KST) - 117.123.xxx.25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현지화해서 대박이라고 자꾸 말도안되는 소리를 하시는데 세상천지에 어느 기업이 그런 사고로 움직이나요. 하기전에 대박이 날껄 누가알고요. 거기다가 이건 컨탠츠개발이 아니라 현지화입니다. 아무도 안하던 소모적인 투자고요.

그전에도 충분히 잘팔려먹던걸 더 많이 팔려고 현지화 했따는건 하나도 앞뒤가 안맞는 현실무시아닌가요? 그리고 누가 이정도의 퀄리티로 한글표현법을 찾아가면서 번역합니까.
단하나라도 예를 좀 들어주세요. 누가 석궁이 쇠뇌인지 알려고나 했습니까?
억울해서저그 (2011-10-15 21:07:3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미지가 상승하고 있는데 수익은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런데 더 좋은 서비스를 추가 하고 있습니다.

DCBal 님께서 말씀해 주신 기업의 이윤추구에 반대가 되는 행동입니다.

정에 약한 한국인이 아닌 외국인이, 그것도 글로벌 기업이 나중을 위해서 그러한 행동을 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보시나요?
그것도 10년전 시장을 생각하면서요?

블리자드에게 좋았던 것은 10년전 뿐입니다. 그리고 10년전에는 게임 시장이 나빠져 가고는 있었지만 PC 방 이 생기면서 많은 패키지들이 일정 수준 판매가 되고 있었으며 한글화 도 꽤 많았습니다.

지금과는 비교도 안될정도로 시장이 좋았습니다.
DCBal (2011-10-15 21:09:0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피곤하네요. 정리하고 갈게요.

1. 현지화라는 정책은 블리자드의 장인정신에서 비롯된 정책입니다. 그리고 블리자드의 장인정신 덕분에 블리자드의 이미지는 국내외 통틀어서 게임기업들 중 제일 좋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죠. 그건 곧 수익 상승으로 직결되는겁니다.

2. 우리나라에 투자하는게 감사할일은 절대 아닙니다. 투자할만하니까 하는겁니다. 우리나라에서 블리자드라는 기업의 이미지와 유명도, 전작들의 판매량을 잘 생각해보세요. 우리나라가 진짜 님들 생각대로 가치없는 시장인줄 아십니까? 다른 기업들에겐 그럴수도 있습니다. 판매량이 좆도 안나오니까요. 하지만 블리자드에겐 아닙니다.

3. "해주는것만도 감사하다" 라는 생각은 그만하세요. 애초에 이건 소비자의 의무에도 어긋나는 생각이네요. 더해서, "해주는것만도 감사하니까 조용히해라" 라고 하는 분이 계시면 개소리는 진짜 그만 지껄여주세요.
DCBal (2011-10-15 21:10:1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여기서 경제학을 논할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블리자드가 현지화를 이윤 추구를 위해 했다는게 굉장히 타당한 말이라는건 알아두세요.
완전 (2011-10-15 21:10:23 KST) - 117.123.xxx.25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DCBal // 기업 이미지가 뭔데요? 이미지로 투자하고 자위하는건 오히려 앞서말한 기업정신과 정반대아닌가요? 돈이되니까 움직인다면 워크3까지 이어오던 한글패치만해도 떡을칩니다. 누가 한글패치만하면 잘못햇다고 하나요? 그전까지는 그게 최대였습니다.

한글패치를 해주는게임과 안해주는 게임으로 구분되었지. 누가 수익이 갈수록 줄어드는 시장에 기업철학인 현지화를 일괄적으로 실행해주나요. 님이 말하는 논리와도 하나도 안맞지않나요?

EA는 모른다고요? EA도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많은 돈을 뽑고있는지 아십니까? 피파온라인이 불과 한달전쯤에는 pc방순위 1위를 차지하기도 했씁니다.(MMORPG처럼 작업캐릭이있는 게임도 아닌데요.)
억울해서저그 (2011-10-15 21:11:0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롯데마트 에서 추가 공급이 여러번 있었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10장을 들여 놨는데 다 판매가 되서 인지, 아니면 1000장을 들여 놔서 였는지는 알수 없습니다.

하지만 수십만장이 판매가 되었다면 분명히 기사가 났을 것 입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전세계 판매량을 발표 했습니다. 판매량이라는 것은 잘 팔리는 게임이라는것을 알리는 척도 이기에 무조껀 기사가 나올수 밖에 없습니다. (과거에 한국에서의 판매량은 기사가 나왔었죠)

하지만 한국에서는 발표가 없었다는 것은 생각보다 적은 것이 아닌 실제로 적게 팔린 것 입니다.
단순 한글화가 아닌 완전 현지화를 진행했다면 많은 비용이 들었을 것이기에, 어쩌면 손해가 있었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는 것이지요...
허참 (2011-10-15 21:11:40 KST) - 117.123.xxx.25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논리도 뭐도 없고 알아두긴 뭘알아줘요. 말이 되는 소리를 하셔야죠. 현실을 보고 판단해야지. 이미 무슨일이있었든지 현실이 어떻든지 다 무시하고 마음속에서 먼저 판단을 내리시면 어쩝니까.
억울해서저그 (2011-10-15 21:14: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가 이윤추구를 해다는 부분이 없다고 누구도 말을 하지 안습니다. 다만 그 이상의 정성이 있었기에 감사 라는 단어가 나오게 된 것 입니다.

DCBal 님은 이 부분을 무시하고 간단하게 말하면, 야 저거 돈 벌라고 저러는거야! 라는 투의 말씀만을 하셨기에 반박이 있는 것이랍니다. 이 부분을 모른다고 하시지는 안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여러번 강조하지만 기업이 돈을 벌기 위해 하는 행위들은 모두 인정합니다. 다만 그 이상의 정성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 "감사" 라는 단어를 썼던 것이며, 그모든 것은 돈을 벌기 위함이 아닌
"돈 만" 벌려 했다 라고 하신 부분이 폄하라는 것 입니다.
한기지더 (2011-10-15 21:14:56 KST) - 117.123.xxx.25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수익상승으로 현지화가 직결된다는건 지구상 누구도 손들어주지 않을 어거지입니다. 실제로 국내 패키지시장은 판매량이 급속도로 줄고있는게 현실적으로 나타났고요.

자 스타2가 과거 패키지수준과는 비교도안되게 멋진 현지화를 해놨습니다. 그렇지만 판매량은 그때와 비교하기 힘들게 낮아졌죠. 그리고 디아3도 완전현지화를 준비중입니다. 벌써 앞뒤가 안맞네요.

-_-:: 어느곳을 가셔서 일을해도 그런식으로 하면 누구도 감동해주지 않습니다. 하나라도 더 열심히 잘하려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저건 돈벌려고 쇼하는거야하면서 대충사장 눈치보면서 숨어서 노가리까다가 사장온다싶으면 눈치좋게 일하는척하는 직원 사회나가보면 수도없이 많습니다.
그렇게해도 완전히 동일한 대우를 받으니까요.
DCBal (2011-10-15 21:15: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진짜 가려고 했는데 마지막으로 덧붙입니다. 현지화라는 정책 자체가 워3 이후에 와우 출시하면서 세계적으로 진행한겁니다. 한국을 특별취급한게 아닙니다. 단순히 정책일뿐이고, 한국에서의 수익이 늘어나고 있고 말고를 떠나서 그 정책에 따라 진행한겁니다. 다른 국가에서는 죄다 현지화하는데 한국에서 수익 점점 줄어든다고 현지화 안하는것도 웃기죠. 더해서, 수익이 줄어들고 있다고 하더라도 절대 한국의 비중은 작지 않습니다. 워3 판매량만 보셔도 아실꺼고 와우 초기의 인기 생각해보셔도 알껍니다. 이미 뒤진 시장도 아니고 충분히 수익 나오고 있는 시장을 줄어든다면서 버리는 기업이 도대체 어디있습니까?

그리고 EA라는 회사는 몰라도 블리자드는 안다는게 이상한가요? 스타1의 인기를 생각해보세요.

정말 끝. 리플 다시는 안답니다.
DCBal (2011-10-15 21:17: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기업이미지가 수익으로 직결된다는 말조차 이해못하시는데 무슨 말을 더 할까요. 정말 이만!
그러니까. (2011-10-15 21:19:03 KST) - 117.123.xxx.25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도대체 무슨 말은 하시는건가요? 님이 말하는 기업의 이윤추가와 완전 반대잖습니까.

왜자꾸 받아들이질 못하고 억지논리를 펼치세요. 이제는 노리고뭐고 없어지고 과거시간에 머무르시는데 스타1은 왜 현지화 안되었나요? 좀 하나라도 시원한 답변을 듣고싶네요. 스타1때도 현지화 되었어야죠. 수익상승을 노리는 거라면서요. 왜 다른회사들은 수익상승되는 현지화를 안하나요?

현지화는 수익상승이 된다고 하신거 말이된다고 생각하십니까? 워크3까지 판매량이 미칠듯이 수치적으로 줄고있는건 다무시하고 갈수록 개발철학이 진보되는건 안보이나요?
DCBal (2011-10-15 21:19:5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정말 가고 싶은데 오기생겨서 못가겠네 ㅋㅋ 위에 썼잖습니까 현지화 자체가 우리나라를 특별취급한게 아니라 와우에서 세계적으로 시도한 정책이라구요.
억울해서저그 (2011-10-15 21:20: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시작 과 끝을 모두 DCBal 님이 하려 하시네요 ^^

어떠한 이유로 반박 글이 나오게 되었는지를 알고 계신다면 앞으로 글을 쓰실때에는 마지막 까지는 남아 계시길 바랍니다.

단순히 자기 생각을 타인에게 보여주고만 싶다면 트위터 라는 좋은 곳이 있습니다.

그럼 다음 글에는 좀더 좋은 토론을 시작 할수 있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DCBal (2011-10-15 21:20:5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 과정에서 우리나라는 충분한 시장이니까 우리나라도 한겁니다. 그게 다입니다. 무슨 우리나라에서 판매량이 점점 줄어드는데 왜 걍 한글화 안하고 현지화했냐면.. 그게 블리자드에서 세계 전역에 실시한 정책이였거든요. 물론 더욱 더 완성도 높은 게임을 위한 정책.
그러니까. (2011-10-15 21:21:18 KST) - 117.123.xxx.25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기업이미지에서 현지화 안해주면 나쁜기업되나요? 와우이전에는 게임에서 현지화라는게 한글패치로 끝이었는데. 허참.

그리고 수익으로 직결되요? 어라? 아까부터 판매량이 줄고있는 시장이라고 수치적으로 보여줬는데요. 세상에 어느 기업이 수익분석을 망상으로하나요? 관측된 수치는 거짓말을 하지않는 경영의 최대 도표인데.

진심 말이 안통하는건 알지만 조금이라고 눈을뜨시라고 글씁니다.
DCBal (2011-10-15 21:21: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시작이고 끝이고 계속 똑같은말만 반복하고 있는걸 제가 계속 붙잡고 있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오기가 생겨서겠죠.

제가 이 글에 리플을 진짜 더 달면 PLAYXP 영원히 안옵니다. 궁금한거 있으면 글써주세요.



끝---
아니 (2011-10-15 21:22:53 KST) - 117.123.xxx.25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무슨 우리나라에서 판매량이 점점 줄어드는데 왜 걍 한글화 안하고 현지화했냐면.. 그게 블리자드에서 세계 전역에 실시한 정책이였거든요. 물론 더욱 더 완성도 높은 게임을 위한 정책.

<--------- 이제는 그렇게 그냥 인정을 하세요. 기업이윤추가요? 그럴꺼면 그냥 한글패치 내놔도 판매량 안줍니다. 다른회사들도 거진다 아직도 그냥 한글패치만 하고있고요. -_-:: 자기가 말하면서도 앞뒤가 안맞으니 말하기 힘들지 않나요?
허참 (2011-10-15 21:28:15 KST) - 117.123.xxx.25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같은일을해도 기본 마음에서부터 태도까지 완전히 다 다르게 나타납니다. 돈만 딱받고 끈낼수준으로하는 사람 자기가 일하는거에 자부심느끼고 더 잘하려는 사람.

둘다 돈벌려고하는 쇼죠? 감동적인 스승이야기나 사회를 더 보기좋게 만들어주는 일화들요? 다 자기 원래 할일이니까 하는거겠죠? 선생이 애들 가르치는거 돈받고하는 일이잖아요. 안그래요? 그런데도 같은 선생끼리도 천차만별인거 보면 뭐 안느끼세요?
기업 (2011-10-15 21:29:52 KST) - 220.121.xxx.169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선생이라는 직업이 이윤추구가 목적은 아니죠. 예를들어 의사도 마찬가지. 하지만 게임기업은 전적으로 이윤추구가 목적입니다. '기업' 이거든요. 아까부터 쭉 보고 있었는데 DCBAL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하네요.
기업 (2011-10-15 21:30:59 KST) - 220.121.xxx.169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게 다 돈벌려고 하는 쇼니까 감사할필요 없다는게 아니라 우리나라에 투자할만하니까 하는걸가지고 자원봉사인양 생각하지말라는거 같은데, 왜 자꾸 논쟁이 이렇게 무의미하게 빙빙 도는지 모르겠습니다.
롸잇 (2011-10-15 21:35:40 KST) - 125.137.xxx.149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글쓴분 논리가 너무 멀리 간 듯한 느낌이네요. 꼭 상대방은 이익이 없거나 본인에게 주어지는 혜택에 대해 대가를 지불하지 않아야 고마워하고 감사해 할 수 있는 거군요.

몇 년 전 블리자드가 디아블로 개발을 처음 발표했을 때, 전세계 게이머들이 열광한 모습을 보셨을 겁니다. 그 순간만큼은 너무 기쁘고 흥분한 나머지 블리자드가 고맙고 감사하기도 했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어차피 돈받고 팔 게임인데, 뭐가 기뻐할 일이냐고 하셨겠네요.

전 개인적으로 한글화 찬반에 대해서는 별 생각이 없습니다. 다만 한글화로 더 많은 유저를 끌어들일 수 있다면 블리자드도 좋고, 유저가 많으면 플레이하는 저도 좋지요.

전 그런 블리자드가 고맙기도 한데 말입니다. 게임을 잘 만들어준 고마운 댓가로 비용을 지불하는 거라 볼 수는 없는 건지요. 우리가 아무 게임회사에 같은 비용을 지불하고 디아블로 3좀 만들어 달라고 하면 과연 제대로 만들어 낼 수 있을지도 의문이네요.

세상을 이해관계만으로 너무 딱딱하게 보시는 느낌이 듭니다. 서로 주고받고 하면서 쌍방이 고마운 일도, 감사한 일도 얼마든지 있을 수 있습니다. 위에 어떤 분 말씀처럼 고맙거나 감사하는 감정같은 것은 이래야 한다 저래야 한다 할 수 없는 영역이라고 봅니다.
억울해서저그 (2011-10-15 21:38:1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 글이 길어지게 된건 DCBal 님께서 하신 말씀이 자원봉사가 아니니 너무 감사해 하지말자 가 아닌 감사하지 말아라 와 같은 명령어투 였기 때문입니다.


리플이 아닌 게시글을 쓰셨다면 최소한의 마무리는 히는 것이 도리라 생각하나
자기 혼자만의 생각, 주장만 하다 가실 것이라면 왜 시작 하셨는지도 이해하기가 어렵네요

Xp를 떠나신다고 하여 아쉬울 분들도 없을것인데 그것을 걸었다는 것도 좀...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참 좋은 곳입니다

감사합니다
아이콘 AlexanderMcQueen (2011-10-15 21:43:2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DCBal //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블쟈가 안해도 될거 해주니까 전 고맙긴 합니다. 하지만 남한테 제 생각을 강요하진 않겠습니다..
노예근성이라는 말은 참 거슬리네요..
글고 기업이 이익을 창출하는 집단인건 당연한거긴 하지만.. 현지화가 오직 이익창출만을 위한 수단으로 치부하기엔 좀 무리가 있지않나 싶네요
아이콘 후방SCV (2011-10-15 21:49:01 KST)
0↑ ↓0
센스 이미지
기업 //// 선생중에 돈벌려고 선생하는 사람도 많고 의사중에도 돈노리고하는 사람이 엄청나게 많아요. 의사가 환자 진료 대충하다가 의료사고도 수도없이 많고요. 기업이 돈벌려고 생긴것까지가 맞지 그후에 하는일을 거기에 다끼워맞출꺼면 그뒤에는 뭐 대충 주기적으로 주던거만 한두게 줘도 된다는 소리아닌가요?

선생중에도 집안이나 부모배경에따라 사람대우하는게 완전 달라지는 사람 수도없이 많고요. 촌지문제는 뉴스에서 수도없이 나오죠. -_-:: 결국은 무엇인과 자신이 하는 일을 더욱 발전시키고 그것으로 남을 감동시키고자하는 의지가 있어야한다는 겁니다.
사실 이런 진보적인 마인드 없어도 사회는 잘만돌아가고 환자들은 의사한테 돈을 지불하고 진룔르 받을수밖에 없습니다. -_-:: 그렇다면 어차피 그럴꺼 대충 진료해주고 무슨 진료였는가 안알려줘도 그만인가요?
기업 (2011-10-15 21:51:44 KST) - 220.121.xxx.169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건 선생이나 의사라는 직업의 책임성을 모르는 그 사람들이 문제인거죠. 반면 기업은 수익창출이 제1목적인게 너무나 당연하구요. 애초에 기업이 뭔데요 ㅡㅡ;
아이콘 후방SCV (2011-10-15 21:52:45 KST)
0↑ ↓0
센스 이미지
남의 노력을 폄하하는거 한번도 노력안해보고 더 발전적인 사고 안해본 사람들이나 공유하는거 아닌가요? 오히려 따지고 싶네요.

네참..님 직장가서 좀더 청소하고 잘해보려하면 몇몇 사람은 쓸대없는짓 한다고 말하는경우 분명히 있을겁니다. 그날그날 대충대충 살면서 남이 노력하느것 하지마라고 하며 그게더 일에 익숙하고 노련진것처럼 느끼는거 우리나라에는 아주 만연한 상식입니다.

부디 그런거에 동화되지는 맙시다
기업 (2011-10-15 21:54:41 KST) - 220.121.xxx.169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기업이 수익창출을 위해 무언가를 한다는건 전혀 부끄러운 일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이익을 내기 위해서라는걸 부정적으로 생각하는지 모르겠네요. 그렇게 노력하는 사람들은 결국 보상을 받죠. 블리자드도 마찬가지입니다. 꾸준히 장인정신을 추구해왔고 거기서 엄청난 이윤이 발생했습니다. 결국은 지금 굉장한 대기업이죠.
아이콘 후방SCV (2011-10-15 21:55:11 KST)
0↑ ↓0
센스 이미지
기업// 기업이 뭔데요? 맞아요. 돈벌려고 하는거. 선생, 의사는 하늘에서 내려준 직업인가요? 수요와 공급이 있어서 생겨난겁니다. 선생이란 직업이 없는 아주 빈곤하고 막나가는 나라도 지구 반대편에는 당연하단듯이 존재합니다.

문제는 그걸 도맡아하는 사람의 마음이 가장 중요한거죠. 선생들 돈아예 안주면 굶어죽습니다. 당연히 기업도 돈이 안벌리면 기업자체가 살아날수없죠.

하지만 현지화는 수익이 더 높아지는 수단자체가 아닐뿐더러 앞서나온 모든 현실적인 사항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어찌 수익이 더 줄어드는 시장에 더 좋은 서비스를 그것도 기존의 모든 관념과 상식을 뛰어넘는 현지화를 해주나요?
기업 (2011-10-15 21:56:10 KST) - 220.121.xxx.169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 사람들의 목적이 승진을 위해서든 아니면 자기 자신의 만족을 위해서든 결국은 보상을 받습니다.

블리자드도 마찬가지에요. 더욱 더 완성도있는 게임을 추구하는게 먼저인지, 아니면 이윤을 위해 완성도있는 게임을 추구하는거든지 어쨌든 그 정책의 일환이 현지화고 결국 수익을 위해 현지화를 한다는건 절대로 틀린일도 아니고 폄하도 아니에요. 너무 부정적으로 생각하시는거 같네요.
아이콘 후방SCV (2011-10-15 21:56:29 KST)
0↑ ↓0
센스 이미지
오히려 돈을 번다는걸 뭔가 추하다는 관념하게 폄하할이유가 없는거죠. 다만 같은 일 같은 돈이 벌려도 그것에 속한 사람이 얼마나 성실하고 자부심을 가지고 일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난다는겁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0-15 21:58:10 KST)
0↑ ↓0
센스 이미지
기업// 뭔가 잘못알고 계신데 기업을 움직이는것도 사람입니다. 기업이라는 가상의 인물이 아니고요. 그안에서 모두 꿈과 목표를 가지고 일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님 말대로 기계적으로 당연히 들어오는 돈을 벌어먹는 사람도 있는거죠.

남의 원대한 목표를 당연하단듯이 말하기에는 좀 억지스럽군요. 각 기업의 개발부서에는 세상을 놀라게해줄 개발을 하려는 꿈이있는거고 그런 뛰어난 발상과 인재가 우리에게도 놀라운 선물을 안겨주는거죠.
기업 (2011-10-15 21:58:52 KST) - 220.121.xxx.169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자꾸 선생을 비유하시는데;; 선생의 제1목적은 가르치는거고 기업의 제1목적은 이윤창출입니다. 비교하지마세요;

그리고 자꾸 수익이 줄어드는 시장이라고 하시는데;; dcbal님이 말씀하신것처럼 현지화는 "한국 시장을 위한 정책" 이 아니라 그냥 "게임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 이며 한국 사정과는 전혀 관계없이 블리자드 자체에서 실시한 정책이에요. 영어권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현지화가 실행됐구요. 국내에서 판매량이 줄어드는걸 예로 드는건 의미가 없을뿐더러, 눈에 보이는 판매량이 줄어들었다고 해서 현지화가 실패했다고 보면 안됩니다. 오히려 현지화덕분에 그나마 그정도 줄어들었다고 보는게 더 타당할정도로 현지화는 굉장히 큰 성공을 했고 실제로 타 게임사들도 블리자드의 성공을 보고 많이 현지화를 시도하는 추세입니다.
아이콘 후방SCV (2011-10-15 22:03:12 KST)
0↑ ↓0
센스 이미지
기업// 비교하지 말긴요. 거기 들어간 사람마중에는 돈벌고 승진이 목적인 선생도 수도없이 많아죠. 뉴스 안보시나요? 타락해서 촌지를 자기 주업으로하는 선생부터...이런건 뭔가요?

1차 목표요? 기업에서 1차목표가 이윤창출이라고요? 그안에 사람은 안보이시나요? 거기서 기획하고 움직이는 사람은 안보고 두리뭉실하게 존재하지도 않는 가상의 인물을 대상으로 내세우시는것 같네요.

뭐 결과적으로 말하려는 의도는 알겠는데 선생이란느 직업을 너무 미화하고 별개로 두기에는 현실이 이를 뒷받침해주지 않네요.
기업 (2011-10-15 22:06:14 KST) - 220.121.xxx.169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니까 선생들이 이윤창출을 제1목표로 두는건 '잘못'된거고 기업이 이윤창출을 제1목표로 두는건 당연하다 이 소립니다.

<경제> 영리(營利)를 얻기 위하여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조직체.

기업의 존재이유는 이윤창출이에요. 오히려 님이 기업을 미화하시는거 같은데요.
아이콘 버로우타는타이가 (2011-10-15 23:12:24 KST) Burningshot@Kalimdor (Lv.5)
0↑ ↓0
센스 이미지
게임 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고마워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기업이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만듭니까? 기업이 지들 마음대로 만들어내는데 좋게 만들어 주면 거기에 고마워 해야지, 노예근성이라는 개드립은 도데체 어떤 생각에서 나오는건가요?
아이콘 내목숨을아이유에 (2011-10-16 00:04:24 KST)
0↑ ↓0
센스 이미지
병신인가 기업이 지들마음대로 만들면 어덯게 팔고 어덯게 돈벌라고 ㅋㅋㅋ
소비자맘에 들게 만들어야 그만큼 팔아먹어서 돈벌지 무슨 게임이 생필품인줄아나 ㅋㅋㅋㅋㅋ
경제논리는 아는가 모르겟다. 가서 공부좀 하셈요
아이콘 비둘기야먹자 (2011-10-16 00:38:4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앱등이 삼엽충 블자빠 뭐든지 미친듯이 빠가되면 무섭네요
DCBal (2011-10-16 04:11:4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기업은 지들 맘대로 만들지않습니다 말이 되는 소리를 하세요
elegant (2011-10-23 11:17:0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무뇌아 생키들 별것도 아닌거 가지고 졸라 싸우네 ㅋㅋㅋㅋㅋ
기업이 경제논리에 좌우되는것은 당연한거지만 어찌됬든 재밌는게임 만들어 출시하는거
고맙게 생각할수도 있는거고 그냥 그런거지 멀 ㅋㅋㅋ 존나 일차원적이면서극단적이야새키들논리가
아이콘 mortalc (2011-11-28 14:15: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노예근성은 좀...;;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