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283 / 294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Soundtrack
작성일 2011-09-26 18:34:53 KST 조회 1,046
제목
번역가지고 뭐라 할거 없음

 내 생각에 번역이 맘에 안든다거나, 윈포나 그랜드 파더 그대로 나왔음 한다는 사람들은

 

 이미 그런거에 너무 익숙해져서 그런거 같음... 우리나라 온라인 게임들도 다 그러니까..

 

 스2도 초기에 해병가지고 마린 메딕 뭐 이래야 더 할맛이 난다나 먼다나 말 많았는데,

 

 그런 의견들 무시하는게 아님...

 

 하지만 '한글화' 라는게 문자 그대로 번역하는게 아니라, '현지화' 과정을 통해서 번역하는게

 

 현재 블리자드 코리아 정책은 Fire ball 을 화염구로 번역하는게 가장 옳다고 생각하고 있고,

 

 이미 와우 및 와우의 확장팩들, 스타2의 실제 사례 적용으로 좋은 평을 받고 있음..

 

 솔직한 예로 스타1이 처음 나왔을 때 당시 영어를 거의 하지 못할 때인데, 스팀팩이라는게 도대체 뭔지도 몰랐으나,

 

 그당시 나와 같은 수준의 사람이 전투 자극제라는 말을 듣는다면 기술에 대한 이해가 훨씬 쉬울 수 있는건 지극히 당연.

 

 물론 블리자드는 고유명사 번역에 있어서는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그런건 트리스트람과 같은 실제 이름을 말하는 것... 에 한정되어 있고, 실제로는 이런 것 마져도 변경하려는 시도가 있음

 

 와우에서 레이크 샤이어 = 호수골 과 같이 이미 번역한 것조차 현지화를 통해서 정말 세세하게 번역하면서,

 

 오히려 적응되면 훨씬 편하고 아이템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질것이라 봄..

 

 사람이 아무리 잘났어도 모국어가 영어인사람하고 모국어가 한글인 사람하고 근본적으로 와닿는게 다를 수 밖에 없는게,

 

 머리로는 바로바로 뜻을 이해한다고 해도 결국에는 머리속에서 한번 번역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한눈에 보자마자 눈에 들어오는 말이 더 친숙하게 느껴지고, 쉽게 느껴질 수 밖에 없음.

 

 학교 같은데서도 배우지 않음? 잘나보일려고 한자어나 영문번역의 어투잘 쓴다고 해서 좋은 글이 아니라고...

 

 학문하는 사람들이야 그렇게해서 자기 지식수준을 좀 있어 보이게 하거나 권위있어 보일려고 하는 경우가 많고,

 

 게임과 같은 경우는 게임 내 언어가 아주 쉬우면 쉬울수록 더 좋으면 좋았지 나쁘지 않다는....

 

 그렇게 영어가 좋다면 아예 영문판을 쓰는게 훨씬 낫지 않을까 생각한다는...

 

 나도 영어 좋아하고, 영어 배우는거 재밌어 하지만 게임에서까지 번역 일일이 하면서 하기는 좀..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sam_01 (2011-09-26 19:22:44 KST)
0↑ ↓0
센스 이미지
어찌됐건 한글화를 하던 안하든 사람들은 입에 붙는 단어를 사용함..
할배나 윈포도 한글화해놔도 입에 붙으면 쓸거고 안쓰면 계속 윈포 할배할꺼임..
그래도 전체적으론 한글화된 용어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긴함..

와우도 대부분 한글화용어를 사용하지만..
아직도 블러드라던지 사쇼라던지 입에 더 붙는 말 몇개는 영어그대로 씀..
Soundtrack (2011-09-26 19:34:0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 언급한 블러드는 매우 소수라고 할 수 있고,

사쇼같은 경우는 원래 사우스 쇼어로 번역했던기간이 오래되었고, 바뀐게 최근이라 그럼.

대격변이 되어서야 바뀐 개념임... 패치 하나로..
아이콘 sam_01 (2011-09-26 19:42:34 KST)
0↑ ↓0
센스 이미지
ㅇㅇ 저도 한글화되면 한글화된 용어가 당연히 절대다수를 차지하는건 암..

번역이라도 입에 붙지 않는다면 영어를 계속 쓰는경우도 있다는거임.; 반대로 영어로 해놔도 할배와 같이 알아서 편하게 한글화부르기도 하는 경우도 있구요..
Soundtrack (2011-09-26 20:24: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어쨌든 중요한건 현지화된 한글화가 갖는 장점이 영문투를 그대로 번역하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는걸 아직도 영문 그대로 번역하는게 낫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는거죠.

이미 정해진걸 가지고 어떻게 부르는건 본인들만의 은어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거고, 중요한건 '공식적인 것' 입니다. 뭐든지 공식적인건 권위가 있어야 하고 그 뜻이 명확해야 하죠.

게임은 어떻게 보면 문화산업중에서 가장 후진에 가까울정도로 최근에 급성장하는 산업인데, 여기에 드디어 바람직한 룰이 정착되는 것 같아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 뿐입니다.

영화만 봐도 그렇죠... 미녀삼총사라는 영화는 원래 그대로 번역했을 경우 찰리스 엔젤, 찰리의 천사들 이런식으로 가야했지만 전자가 우리에게는 훨씬 더 영화를 함축적으로 잘 알 수 있고, 제목만 들어도 핵심적으로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가 한글화 피드백을 통해서 해야 할건 Windforce 를 윈드포스로 해달라는게 아니라, 디아2 기준으로 최종테크의 유니크 활인 만큼 한글화 시 혹시라도 오역으로 산들바람과 같은 뉘양스라면 그걸 수정건의해서 강력한 바람에 관련된 언어를 사용하도록 장려해야 한다는거죠.
아이콘 ShotgunZrgNU (2011-09-27 00:23:1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우리 모국어는 한글이 아니라 한국어. (알파벳이 모국어?)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