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블루리 | ||
---|---|---|---|
작성일 | 2011-09-23 02:01:45 KST | 조회 | 1,490 |
제목 |
마이크 모하임의 내한 인터뷰 바탕으로, 디아3의 수익구조 뻘예상글
|
수수료가 어떻게 부가되는 지 정확히 알고 싶다.
플레이어 물건을 등록했을 때 한번, 거래 완료시 한번 붙는다.
그러나 현금거래의 경우 배틀코인이 아닌 실제 화폐로 전환했을 때에는
또 한번 ‘부가 수수료’가 붙는다. 모든 수수료는 고정된 형태로 갈 계획인데
아직 정확한 수치는 정해지지 않았다.
게임위에 심의 등급 거부를 받는다면 현금 경매장 시스템을 버릴 계획도 있는가?
아직 게임위에 신청조차 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말씀도 드릴 수 없다. 그 결과를 본 이후에 언급해야 할 사항이니 아직은 시기상조라 생각한다.
‘디아블로3’의 한정판 패키지를 판매할 예정인가?
한국에서는 어떤 비즈니스 모델을 쓸지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진 건 없다.
다만 유저가 납득할만한 방식으로 갈 계획이다.
‘스타크래프트2’는 사용자 입장에서 복잡한 면이 좀 있었는데,
‘디아블로3’는 조금 더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
인터뷰 내용을 봤을 때, 스타2의 유료 서비스 방식이 복잡한 면이 있었나?.. 라는 의구심이 들었다.
현재로서 스타2의 유료 서비스 방식은 패키지 완전구입(디지털,박스제품), 시간-기간별 구매
밖에 없는데 이게 복잡한 면이 있다라는 건가?
그렇다면 스타2의 결재방식보다도 더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
내가 생각하는 디아블로3의 유료 서비스 모델은 웬지..
[게임 내 모든 컨텐츠 무료화]
즉 모든 게임은 무료이며, 블리자드는 경매장에서 발생되는 현거래의
수수료만을 수익 모델로 선정.
에이 아닐꺼야..
갑자기 든 뻘 생각이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