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25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시에프리나
작성일 2010-08-17 17:40:40 KST 조회 890
제목
韓 세계 베스트국가 15위…亞선 日 이어 2위

http://news.nate.com/view/20100817n00471

 

교육, 정치적 환경도 전세계적 관점에서 보면 높은 편입니다.

 

본문에도 써놨듯이 교육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게 국민 전체의 평균적인 읽고 쓰는 능력입니다.

다른 나라들이 도대체 얼마나 그 정도도 보장을 안해주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네요.

우리나라에서 읽고 쓸 수있는 능력은 참 당연한건데 말이에요.

 

정치적환경도 우리나라정도로 정권교체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국가면 꽤나 민주적인 편입니다.

민주주의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국민이 정권을 바꿀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완비되어 있는가'니까 말이죠.

 

30년전이랑 비교하면 확 느낌이 올겁니다.

당시는 박정희정권 전두환정권을 국민들이 무너뜨릴 제도적 장치가 없었지요.

그땐 선거가 국민투표가 아니었으니까요.

 

 하지만 지금은 현 정권이 맘에들지 않는다면 정당하게 국민의 뜻으로 정권을 교체할 수 있는 확실한 길이 존재합니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     |   아이콘 skyris   |   아이콘 시험준비를하자
베플 [Cs]caesius (2010-08-17 18:47:29 KST)
3↑ ↓0
센스 이미지
우리는 다른나라들이 읽고 쓰는능력을 보장 안해주는걸 보고 답답하지만
또 다른 나라들은 사교육에 한달 몇백씩 쏟아붓는 한국의 교육 현실에 대해 답답해합니다
HealthBattery (2010-08-17 18:06:5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렇게 사람들은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이 좋다고 자위한다
푸에르토_리코 (2010-08-17 18:08:5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정도 온것만 해도 대단하긴 하지만 아직 갈 길은 한참 멀었음다
아이콘 TaurenDruid (2010-08-17 18:16:03 KST)
0↑ ↓0
센스 이미지
정치적으로 우리 국민들이 투표권을 얻기는 햇지만
대신 재벌들이 그만큼의 권력을 가지게 되엇죠 ~~ ㅋ
아이콘 사페이로스 (2010-08-17 18:35:51 KST)
0↑ ↓0
센스 이미지
겉만 보니 좋게 보이는 것 뿐....... 그 속을 봐야하는 데..
그리고 우리나라 민주주의는 고작 십몆년 밖에 안됐죠.. 슬슬 문제점도 생기고 ...
[Cs]caesius (2010-08-17 18:47:29 KST)
3↑ ↓0
센스 이미지
우리는 다른나라들이 읽고 쓰는능력을 보장 안해주는걸 보고 답답하지만
또 다른 나라들은 사교육에 한달 몇백씩 쏟아붓는 한국의 교육 현실에 대해 답답해합니다
아이콘 l76016639 (2010-08-17 19:45:4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단 한총련/진보연대/한상길과 패거리 같은 애덜부터 쓸어버리는 것이 우선시 되야 합니다.
E.de.N (2010-08-17 22:00:19 KST)
0↑ ↓1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한나라당/어버이연합/조중동/조갑제와 패거리 같은 애들과 같이 쓸어버리는 건 당연하겠죠?
아이콘 skyris (2010-08-17 22:32:37 KST)
0↑ ↓0
센스 이미지
ㄴ 둘다 우리나라를 좀먹는 해충들입니다.

각설하고. 글 읽는 문맹률에 대해서는 우리도 할 말이 없습니다. 밥 하루 세끼만 먹어도 전세계 탑 25% 내로 들어간다는 이야기가 있지요.

그런데 웃긴게 뭐냐면. 우리가 저정도 산다고. 우리의 비교대상을 우리 아래로 보는게 아니라는 겁니다. 인간은 욕심이 많은 편이라. 우리보다 못 사는 나라를 비교하지 말고. 우리보다 잘 사는 나라랑 비교해야한다는거죠.

우리 잘 살고. 교육여건 좋습니다. 그래서 우리의 경쟁상대가 맨날 말하는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입니까? 우리는 선진국으로 가야하는 상황인데 왜 선진국 타령 하면서 비교는 개발도상국과 비교하는지 모르겠군요.
아이콘 Fact (2010-08-17 22:44:41 KST)
0↑ ↓0
센스 이미지
ㄴ 공감합니다.
선진화, 선진화 외칠거면 선진국과의 비교를 해야..
시에프리나 (2010-08-18 00:28:0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세계 국가 순위:
1. 핀란드
2. 스위스
3. 스웨덴
4. 호주
5. 룩셈부르크
6. 노르웨이
7. 캐나다
8. 네덜란드
9. 일본
10. 덴마크
11. 미국
12. 독일
13. 뉴질랜드
14. 영국
15. 대한민국
16. 프랑스
17. 아일랜드
18. 오스트리아
19. 벨기에
20. 싱가폴
21. 스페인
22. 이스라엘
23. 이탈리아
24. 슬로베니아
25. 체코 공화국
26.그리스
27. 포르투갈
28. 크로아티아
29. 폴란드
30. 칠레
31. 슬로바키아
32. 에스토니아
33. 헝가리
34. 리투아니아
35. 코스타 리카
36. 라트비아
37. 말레이시아
38. 불가리아
39. 루마니아
40. 쿠웨이트
41. 파나마
42. 페루
43. 아랍 에미리트 연합국
44. 우루과이
45. 멕시코
46. 아르헨티나
47. 자메이카
48. 브라질
49. 우크라이나
50. 쿠바
그 외 주요국가:
러시아 (51), 중국 (59), 필리핀 (63), 인도(78)
시에프리나 (2010-08-18 00:28:5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영국과 한단계 차이밖에 나지 않으며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등 유럽의 국가보다 순위가 높습니다. 도대체 무슨 개발도상국이랑 비교를 하냐느니 하는 말씀이 나오는지 모르겠네요
아이콘 Wisp.M (2010-08-18 00:38:20 KST)
0↑ ↓0
센스 이미지
시에프리나 / 첫 줄에서 '전세계적 관점에서'라는 말 한마디가 불필요한 오해를 부르는 감이 있네요. 한국의 교육, 정치적 상황이 전세계적인 평균보다 높은 편이라는 것과 좋다는 것은 다를 수 있죠. 그간 시에프리나님의 주장에 비추어봐도, 이 기사를 통해 '우리나라도 이제 잘나가고 칭찬할 점도 많으니 까지 말자'고 주장하시는 것 같으니 그런 댓글이 따라붙는것 같네요.
아이콘 Wisp.M (2010-08-18 00:40:55 KST)
0↑ ↓0
센스 이미지
덧붙여, 뉴스위크의 이번 발표에서 한국과 관련된 주요 내용인 "교육 2위, 경제적 경쟁력 3위"라는 것과 일반적으로 느끼고 체감하는 현실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삐딱하게 바라볼 수 밖에 없기도 하죠.
아게로 (2010-08-18 00:56:47 KST)
0↑ ↓0
센스 이미지
외국에 살아본 사람들만 알 수 있죠. 한국이 얼마나 대단하고 살기 좋은 나라인지를.
아이콘 야한마음백구 (2010-08-18 12:38:50 KST)
0↑ ↓0
센스 이미지
어디 울릉도같은데 사시는 분들 아니고서야 한국이 어느정도 위치인지 모를 리가 없을텐데.. 당장 센트럴시티 밖에선 광통신 깔라면 한달에 수십만원씩 내야하는 국가들이 대부분이고 아예 시티 밖에선 광통신 자체가 안되서 모뎀 쓰는 유럽 국가도 많습니다
아이콘 야한마음백구 (2010-08-18 12:41:17 KST)
0↑ ↓0
센스 이미지
물부족 국가라고 하면서도 물값은 세계에서 손꼽힐 만큼 싸고 자원 부족하다 하지만 가스비 정말 싸죠. 세금도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입벌어지게 싼 편이고 치안도 짱좋고 전국민이 단일어를 쓰고 문화 경제 기반시설 식량사업 대외신임도 주요지표 대부분이 세계 20위 안에 드는 나라입니다. 이런 나라에서 살면서 불만족스러운 몇가지가 있다고 불평을 하는 건 어리광으로 보이네요
아이콘 야한마음백구 (2010-08-18 12:42:35 KST)
0↑ ↓0
센스 이미지
개인적으론 분단상황에 공식적으로 휴전중인 상황에서 아시아 4룡을 뛰어넘어 이좁은 나라가 아시아 TOP3 안에 들어간다는 게 놀랍기만 한데, 다른 분들은 생각이 다르신가 보네요.
아이콘 야한마음백구 (2010-08-18 12:51:20 KST)
0↑ ↓0
센스 이미지
사교육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사교육비 비중이 높다 다른나라에서 혀를 찬다고들 말씀하시는데 이건 근본적으로 국가가 만족스러운 수준의 공교육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국민소득은 높은데 공교육이 수준을 따라가 주질 못하니 사람들이 사교육을 하거나 조기유학을 가는 것이지, 애초에 교과부에서 확 휘어잡고 2011년부터 학교 선생님들의 월급을 두배로 올려주면서 대신 엄격한 채용기준과 근무자체평가 등을 적용해서 장기적으로 교육의 질을 높이면 사교육이 사그러들 수 밖에 없죠 하지만 아무도 그 얘기 안합니다 왜냐? 골치아프게 일 벌리느라 세금 올리면 사람들 들고 일어나죠, 학원가에선 끊임없이 로비 들어오죠, 교사들은 교사들대로 엘리트교사만 살아남는다고 ㅈㄹ할테죠 등등 정책적으로 밀고 나가기에 애매한 부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아이콘 야한마음백구 (2010-08-18 13:00:57 KST)
0↑ ↓0
센스 이미지
아무튼 사람들이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는 몇몇 부분은 우리나라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최우선 과제를 경제로 잡았기 때문입니다. 20세기 중반에 정치, 문화, 예술 이런 것들에 신경쓰기엔 당시 우리나라가 너무 가난했고 당장 굶지 않고 사람답게 살기 위해, 일본과 북한 사이에서 생존하기 위해 군사력을 중심으로 강력한 중앙정부가 국책사업들을 추진하면서 경제살리기에 역점을 뒀었죠. 당시 우리나라와 비슷한 생각으로 비슷한 길을 달려운 국가들 많았습니다. 그런데 그 중에 우리나라가 가장 성공을 거둔 나라로 손꼽힙니다. 생각해 보세요, 세계대전 이후 기간산업도 없는 밑바닥부터 시작한 나라들 중에 지금 우리나라보다 잘 사는 나라가 있는지. 그리 멀지도 않은 과거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도 모르고 당장 '지금 정치가 개판이네 교육열 너무 높네 빈부격차 격심하네 못살겠다 거지같은나라 퉤퉤'하기엔 우리나라같은 '강소국(인구작고땅좁은선진국)'이 한반도에서 생긴 것 자체가 기적에 가깝다는 걸 항상 기억하고 인생을 달리는 xp분들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네요~
아이콘 AcidBlackCherry (2010-08-18 13:27:56 KST)
0↑ ↓0
센스 이미지
야한마음백구//정확하게 짚어주신듯.
그리고 중도 좌파 중도 우파가 있다면 극우파 극좌파 모두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존재들이며 이들이 함께 공생하면서 정책을 만들때 올바른 민주주의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중도들만 남기고, 특히 xp분들의 대다수가 차지하는 좌파 정당들만이 남아버린다면 오히려 여러분들이 바라는 사회따위는 생기기는 커녕 북한꼴 나겠죠.
다른 정치적 색채를 가진 사람들이 있다는 점을 유념하고 그들을 인정하면서 현재 문제점들에 대해 합리적인 대책을 추구해내었으면 좋겠네요.
아이콘 AcidBlackCherry (2010-08-18 13:35:26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리고 지금은 이 교육 현실에 대해서 참 말이 많고 답답할 따름이겠지만
이 현실이 지금 빛을 못 보이고 있기 때문이지
나중에 미래가 되었을때는 어떻게 좋은 평가를 받게될지 모르는 일입니다. 모든 것이 단점이 있다면 장점도 있기 마련이니까요.

지금 우리나라 아줌마들이 미친듯이 교육에 매달리는 이유가 그나마 교육이 '사회적 계층'에서 한단계씩 위로 올라가게 할 수 있는 돌파구이기 때문인데,
이는 우리나라가 그래도 꽤 사회적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운 국가들에 속한다는 것을 보여주지요.
또한 대한민국 내부에서만의 현실을 생각해볼게 아니라 미래에 국제적으로 우리나라 인적 자원들이 보여줄 엄청난 파급력을 생각해보면 지금 사교육에 매달리는 현실이 미친듯이 까임받을만한 것은 또 아닌것 같습니다.
푸에르토_리코 (2010-08-18 14:38:49 KST)
2↑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웬 북한 ㅡㅡ;; 북한은 종교적 이데올로기로 지배하는 준 왕정 국가임다. 이제와서 자본주의, 민주주의 체제를 완전히 부정하고 그런 거 만들자면 무슨 소리 들을까여? 좌우 공생 얘기하셨는데 애초 우리나라는 이승만부터 노태우까지 쭉 극우세력이 독재해왔고, 그 후에도 좌파가 제도권에 득세한 적이 없는 나랍니다.

그리고 지금 교육이 욕먹는 가장 큰 문제는 돈, 시간은 억수로 쏟아붓는데 그만한 효율이 안 나오니까 욕먹는 겁니다. 그렇게 돈 쳐들여봤자 결과는 시험문제 푸는 기계 만드는 꼴이고. 국제무대에서 시험문제 푸는 것 갖고 경쟁할 거 아닙니다.

우리나라가 90년대초까지 엄청난 성장을 한 건 맞슴다. 누가 그걸 뭐라 할까요. 근데 경제 성장, 규모 제일주의로 급성장해 온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겼고, 90년대 들어 산적된 문제들이 해결되긴커녕 더 심해졌슴다. 경제 규모가 커지고 기술이 발전하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그게 다가 아니란 거죠. 그래서 위에 아직 갈 길은 한참 멀었다고 한 거구여. 그게 어리광이 되는진 몰겠슴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