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794 / 825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분당펭귄
작성일 2009-03-17 13:47:45 KST 조회 387
제목
빼앗겼던 대한제국 국새 되찾았다

문화재청, 현존 유일한 ‘실무용 國璽’ 美교포로부터 사들여
최영창기자 ycchoi@munhwa.com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빼앗겼던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국새(國璽·나랏일에 사용하는 관인)를 되찾았다. 조선왕조 500여 년 동안 수많은 국새가 제작, 사용됐음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국새는 거의 드물며 실제 사용한 사례가 확인된 국새를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종수)은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경복궁 박물관 희의실에서 지난해 12월 재미교포로부터 구입한 현존하는 유일한 대한제국기 국새인 ‘황제어새(皇帝御璽)’를 공개했다.

이건무 문화재청장은 이날 “고종황제가 1903년 이후 러시아·이탈리아 황제 등에게 보낸 친서(親書)에 사용했던 국새인 ‘황제어새’를 국외반출 중요 우리 문화재를 환수하는 차원에서 구입했다”며 “조사 결과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유리원판 필름 사진과 일치해 사진으로만 전해지던 분실된 그 국새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환수된 국새는 외함(보록·寶?M)이 분실되고 내함(보통·寶筒)만 남아있으며 전체 높이 4.8㎝, 무게는 794g이다. 손잡이(보뉴·寶?)는 거북이 모양이며, 비단실로 짜여진 끈(보수·寶綬)이 달려있다. 한변이 5.3㎝인 정사각형 인장면에는 ‘황제어새(皇帝御璽)’라 양각돼 있다. 황동(黃銅)으로 만든 내함은 인주(印朱)를 넣는 하단과 국새를 넣는 상단 등 2단으로 돼 있다.

비파괴 성분분석 결과, 거북이 모양 손잡이는 은(銀)과 금(金)의 비율이 81 대 18이며, 몸체(보신·寶身)는 57 대 41의 비율로 은이 많이 사용돼 손잡이와 몸체가 따로 제작됐음을 알 수 있다.

고궁박물관은 앞으로 이 국새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국보) 지정 신청을 함과 동시에 적절한 시기에 시민들에게 특별 공개할 예정이다. 또 덕수궁 석조전에 대한제국실이 복원되면 고종관련 자료 전시에 활용할 계획이다.

최영창기자 ycchoi@munhwa.com

 

기사원문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9031701070130074002&w=nv

 

나중에 박물관좀 가봐야겠네요 'ㅅ'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The_Rainbow   |   포도와오렌지   |   아이콘 skyris   |   아이콘 GarDoomForge   |   트윈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