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Page. 311 / 449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only[assault]
작성일 2011-02-05 01:40:07 KST 조회 1,378
제목
CPU 오버클럭:AMD류 甲

일단 오버클럭이 무어냐? 하고 묻는다면...

CPU 살때 보면 성능에 대해서 코어클럭(ex: 3.2Ghz)이 적혀있음.

근데 이 코어클럭이 전부다가 아님. 코어자체는 전기를 받아서 연산을 하는 초초초초고성능 계산기일뿐임.

이 계산기에서 나오는 처리량(쉽게말해서 환산하자면 CPU의 클럭. Ghz단위)은 전기가 들어가서 CPU회로 내에서 온갖 부하와 작용을 통해서 나옴.

근데, 여기서 흘러들어가는 전기의 전압이 높아지면, 출력되는 Ghz도 높아짐. 고로 들어가는 전압을 조절 할 수 있다면, 훨씬 더 고성능의 처리능력을 땡길 수 있음. But 전력만 높이면 만고 땡이 아님. CPU도 하나의 전기회로인 만큼 저항값을 가지고있고, 전압이 높아지면 그에 따라서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함. 그리고 그 열이 한계치 이상이 되면, 부품자체가 열에 의해서 파손될 수 있음. 또한 열에 의한 파손말고도 한계치 이상의 전압이 한번에 들어가면, 회로자체가 절단남(마치 퓨즈가 끊어지듯이) 그러면 수만 내지 수십만원하는 CPU 그냥 돌덩이로 바뀌는거임. 그래서 매우 미세한 전력조절을 통해서, 부품이 망가지지않는 한도 내에서 회로의 최대한의 성능을 끌어내는 과정이 오버클럭킹임 ㅇㅇ

 

 

AMD의 CPU 오버클럭 관련해서 설명하겠음둥

 

AMD의 CPU는 인텔과 다른 방식의 NB(노스브릿지)구성을 지니고 있슴 ㅇㅅㅇ

구조설명은 생략하고, 어차피 여기 오는사람들은 How to use를 묻는거지 How to action을 알려고 오는사람들은 없으니까... 노스브릿지는 CPU와 시스템간의 통로라고 보면 됨.

 

하이퍼 트랜스포트(HTT)라고 들어보셨음?

이게 AMD에서 CPU-시스템간 통로로 쓰고있는 방식인데 HTT 값이 바로 통로를 지나가는 정보의 속도임.

바이오스 들어가서 HTT라는 값을 건드리면 오버클럭이 됨 ㅇㅇ

HTT값은 200Mhz이 표준이고, 여기서 HTT값을 조절해서 오버클럭을 할 수 있음.

 

예를 들어 데네브 955의 경우 코어클럭은 3.2Ghz임.

이경우 바이오스에 들어가서 확인해보면

200(HTT값)  x16(CPU배수) Mhz 라고 되어있는데. 요게 바로 CPU클록임.

즉 3200Mhz=3.2Ghz 해서 CPU클록이 3.2가 나온다 이거임 -_-

 

여기서 배수값은 고정되어있고(모델이 출시될 때부터 락걸린 값임. BE이라고 배수락이 풀려서 배수도 손댈 수 있는게 있는데 훨씬 비쌈;;) HTT값을 가지고 장난좀 치면

 

예를 들어 HTT값을 건드려서 10% 올려서 200=>220 이렇게 올리면

 

220 x16 Mhz = 3520 Mhz = 3.52Ghz 요롷게 되는거임.

 

요론식으루  HTT 건드리면 CPU 클록이 올라가는데, 주의할건 CPU 클록만 혼자 올라가는게 아님.

 

HTT를 건드리는 거기 땜시, HTT를 사용하는 모든 대역폭이 같이 딸려 올라감. 즉 메인보드 전체에 무리가 가해짐. 그중에 HTT link라는 값이 있는데, 이 값은 2.2~2.3Ghz이상으로 딸려올라가면... 원리는 잘 모르겠고, 드나드는 데이터간에 간섭이 생겨서... 데이터오염이 됨.(성능이 저하되다가 최후의 순간에는 NB가 과열로 인한 폭 to the 파) 근데, HTT link값은 원래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좋은거임. 왜 고속도로 2차선인데 지나다가 3차선인데 들어가면 아주 날라다니잖음? 그런거랑 비슷한거임. 다만 한계치 이상으로 올려버리면 데이터간에 서로 접촉사고 나는거임.

 

그리고 HTT값이 올라가면서 CPU가 소모하는 전력도 많아짐. 그런고로 CPU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올려줘야함. 이것도 무식하게 막 집어넣는다고 여유분 확보됐다고 만고 땡~ 이 아니라... 0.001v~0.005v 차이로 CPU 회로가 8:45 되는 경우가 있음.

왜 컴터 막 쓰다가 블루스크린 뜨지도 않고 갑자기 꺼지잖음? 그거 CPU 전압이 후달려서 그러는 경우일 수도 있음. 그런고로 오버클럭됐는데 전력부족으로 허덕이지 않게 최소한의 필요전압만 올려주고, 과전압줘서 CPU 돌덩어리 만들면 안됌.

 

그리고 HTT값이랑 전력을 살짝, 매우 살포시 어루만져서 오버클럭을 시켰고, 이게 전압땜시 부품 안날려먹고 제대로 돌아간다고 해보면, 이때는 또 다른 문제가 나옴.

 

바로 발열....

전기 많이 먹고 더 고클럭으로 돌아갈수록... 그만큼 열도 훨씬 많이 남.

이때 열 못잡아주면 그냥 부품 홀라당 타는거임...-_-;;

근데 이건 그냥 사제쿨러 조 성능좋은거 달면 해결되는 문제임. 먼지 청소 많이하고 케이스 내부 선정리 잘해줘서 열 갇혀서 찜질방 안만들고 그러면 사제쿨러하나 다는것만으로 말끔히 해결됨

 

주저리 주저리 말이 많았고 정리도 제대로 안됐는데....

 

 

 

 

1.바이오스 들어가서 HTT값을 높이면 그만큼 %성능향상!

2.HTT값 올라간만큼 추가 여유분의 전압을 CPU에 공급(이때 특별히 주의할것)

3.HTT값이 일정수치 이상 올라가버리면 HTT link가 데이터 오염일어남. 주의.

4.성능이 높아지면 그만큼 잡아먹는 전력이랑 열도 많이남. 냉각에 대비할것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아이콘 only[assault] (2011-02-05 01:40:54 KST)
0↑ ↓0
센스 이미지
추가로 BE버젼 CPU 사면 HTT link 배수나 CPU 배수 등을 자유자재로 주무를 수 있기때문에 오버클록에 훨씬 유리함. But 비쌈
아이콘 only[assault] (2011-02-05 02:40:48 KST)
0↑ ↓0
센스 이미지
근데 비싸다고 해도 린필드 일반이랑 가격 비슷하네요 -_-
965BE가 지금 가격이 20만 안되니까...
아이콘 루디 (2011-02-05 02:42:34 KST)
0↑ ↓0
센스 이미지
제가 i7-870 쓰는데요
확실히 이게 투반보다 좋음. 끗
아이콘 gjs001 (2011-02-05 03:58:57 KST)
0↑ ↓0
센스 이미지
투반이 현재 린필드이상 인텔 쿼드cpu보다 나은 경우는 거의 인코딩밖에 없죠. 그 것도 옵션 왕창준 인코딩에서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