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Page. 354 / 449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Sorrow_Rainbow
작성일 2009-09-04 02:25:08 KST 조회 408
제목
개인적으로 한국의 IT산업에 불만인점

맨날 핸드폰이니 LCD만 팔아서 세계 최고 될려고 합니다.

뭐, 지금이야 국산화가 많이 되고 세계 시장을 선두하니 사정이 나아지긴 했지만 그래도

그런거 만들때마다 얼마씩 외국으로 돈이 빠져나가는 점도 있고

수익률이 그리 높지는 않은 품목들이죠.

 

하지만 이것들이 주는 후광에 가려서 소프트웨어 산업은 늘 찬밥 신세였습니다.

그것은 "소프트웨어는 공짜다" 라는 인식을 가진 많은 국민들의 무관심이 큰 영향을 주었죠.

 

90년대 말경에 한컴이 MS에 인수될뻔한 그런 사건이 왜 일어났겠습니까?

안사주니까. 물건을 만들어 팔아야 되는데, 사주지는 않고 다 시디로 P2P로 복제복제

이러다가 회사 망할거 같으니까 그러면 다음부턴 못쓰게 된다고 선심쓰듯이 사주고.

 

왜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온라인게임을 제외하면 많이 가라앉았겠습니까?

그나마 온라인게임은 월요금을 내든 현질을 하든 꼬박꼬박 돈을 내거든요.

그런덴 돈을 쓰지만 패키지게임을 구매하는덴 돈 안쓴다 이겁니다.

결국엔 그런 소매상품쪽으론 수익이 나기는 커녕 망할 수 밖에 없으니 개발도 안됩니다.

이젠 도전하는 기업조차 많지 않은 실정이죠.

 

거기다 기업체나 정부기관에선 "돌아가기만 하면 된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또한

"재료가 드는것도 아닌데 돈 얼마나 든다고" 하면서 터무니없는 제작단가를 요구하기도 했죠.

 

물론 이러한 문제는 개발자나 소프트웨어업계 종사자들에게도 문제가 없진 않습니다.

1990년대 말기부터 시작된 많은 전산화작업과 같은 일감이 쏟아졌기 때문에

그 당시에 소프트웨어 개발 단가를 합리적인 수준으로 올리지 못한 책임도 있지만

그때 이후로 현재까지 그런 단가 체계는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덕분에 이쪽으로 일을 하면 힘들게 산다는 오명만 남기게 되었죠.

 

이제 시대의 흐름은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간단한 예로 0세대부터 5세대까진 반도체 칩의 집적도와 성능을 가지고 구분을 하지만

그 이후로 나타날 유비쿼터스같은 그런 사회는 하드웨어보단 소프트웨어의 역량이 매우 커집니다.

또한 하드웨어 산업이 이전과 비교해 봤을때 발전속도가 더뎌지는 만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발전속도차이는 점점 줄어들게 됩니다.

이러한 시대에 있어서 언제까지 휴대폰이나 쪼물딱 거리고 있을건진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만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지원 없이는 더이상 한국 IT의 미래를 장담 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PS. 컴퓨터사이언스는 정말로 멋진 학문입니다. 한국, 나아가서는 세계의 미래를 짊어질 인재가 되어 주세요 흑흑.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The_Rainbow   |   Mr.Zerad   |   아이콘 케일짱짱맨   |  
아이콘 블킹씨 (2009-09-04 08:45:1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소프트웨어 개발자에 대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태도도 문제이지요
개밥찬밥신세. 그러고도 우리나라 예산 삭감한다고 저난리니..
아이콘 이쁜조개 (2009-09-05 23:28:23 KST)
0↑ ↓0
센스 이미지
저도 소프트웨어학 전공인데.. 도저히 앞이 안보입니다. 역시 공무원인가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