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Page. 358 / 449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To_Heaven
작성일 2009-08-07 20:34:08 KST 조회 547
제목
블루레이, SSD, LCD TN패널.. 문제가 많군요

 

셋 다

 

 

 

제가 좀 알아본 결과

 

 

 

문제가 좀 많더군요 -_-.

 

 

 

가격 대비 효율성이 정말 낮은. 거기다가 해결되지못한 많은 문제점까지.

 

 

 

 

 

 

블루레이는 읽기용으로 LG에서 내수용으로 내놨긴한데

 

 

 

13만원정도 하더군요. 근데 문제는 구울수가 없는. 오로지 읽기전용 ODD라는거 -_-;;

 

 

 

게다가 구울수있는 콤보 제품을 사도 이것또한 20만원대가 기본이며,

 

 

 

가격 죽어도 안떨어지는 더러운 블루레이 공디스크까지 .

 

 

 

 

 

 

 

 

SSD로 넘어가서.

 

 

 

 

일단 SSD 는 많이 , 오래 사용할수록 성능이 떨어진다는

 

 

최악의 문제점이 드러났습니다. 현재 이거는

 

 

펌웨어로도 해결할 수 없는, 하드웨어의 근본적인 기술문제인데

 

 

 

체감이 확 난다고 하더군요 오래 사용할경우.

 

 

 

거기다가 이번 인텔 신공정의 SSD, 잠시 생산중단된적이 있는데

 

 

SSD 안의 자료까지 완전히 날라가버리는 치명적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제가 알기론 아직 펌웨어 업이 안되서 아직 해결 못한걸로 알고있습니다.)

 

 

 

 

 

거기다가 가격은 뭐 말할것도 없고. 현 시점에선 도저히 일반인이 사용 불가.

 

 

 

 

 

 

 

 

 

 

 

LCD TN 패널.

 

 

 

시야각 문제는 말 할것도 없고

 

 

 

아주 비싼 모니터 ( 최소 70 ~ 80만원급) 이 아니고

 

 

 

현재의 40만원대 이하의 LCD 모니터는 기술적 많은 결함을 갖고있다고 합니다.

 

 

 

색 번짐 현상, 시야각, 응답속도, 잔상 등.

 

 

 

 

현재의 보급형 LCD 모니터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는걸로 밝혀졌습니다.

 

 

 

CRT 모니터를 사용하는 저로서는 느끼지못할 매우 다양한 단점들이 눈에 띄더군요.

 

 

 

 

 

 

 

 

 

 

 

 

 

 

 

현재 언급한 문제들은

 

 

 

 

 

2009년에는 도저히 해결 못하는 문제들이구요.

 

 

 

 

 

아무리 빨라도

 

 

 

 

2010년 이고

 

 

 

 

 

 

2011년 정도는 되야 해결될 문제들입니다.

 

 

 

 

 

짧은 지식이지만 여러 사이트와 검색을 통해 알아볼수록

 

 

 

 

더욱 안습함만 느껴지는... 뭐 하드웨어에 완벽이란건 없겠지만

 

 

 

 

현재는 과도기의 상태인건 분명하다고 봅니다.

 

 

 

꼭 필요에 의한 경우아니면 지금 사면 100% 손해.는 확실하다고 봅니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homm3 (2009-08-07 20:44: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1. 하드가 하도 싸져서 굳이 블루레이 미디어에 목메일 필요없습니다.
호홓호호호호홓호호호 저는 GGW-H20L입니다. 찾아보세요.

2. ssd의 문제는 해결하려고 많이 노력하고 있고요. 현재 윈도우7에서 TRIM을 사용하면 거의 해결가능하다고 합니다.

3. 모르겠네요. 저는 24인치 isp 모델씁니다. BTC껀데 2007년11월에 사고 아직도 잘쓰고 있네요. lcd는 큰 문제 없습니다. TN패널 시야각이 나쁜거 말고요.
homm3 (2009-08-07 20:47:4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1. 블루레이 플레이어는 컴퓨터에서 블루레이 미디어 재생이라는 의미가 훨씬 큽니다.
레코딩 필요없어요. 하드가 훨씬 저렴합니다. 저는 블루레이 타이틀 14개정도 있네요.

2. SSD는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윈7 TRIM과 여러가지 노력으로 해결가능해보입니다.

3. LCD는 중소기업도 괜찮은건 괜찮습니다. 막장은 또 막장이라 문제지만요.


조금 더더더더더더더 조사를 해보셔야겠네요.
To_Heaven (2009-08-07 20:52:3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homm3// 흐음.. 저는 모니터 만큼은 삼성과 LG가 비싸긴 하지만

기술력만큼은 세계 최고 라고 알고있는데.. 아닌가요?
단지 가격대비 성능에서 중소기업제품이 좋은거지
순수히 성능만 따져보면 삼성,LG가 최고인걸로 아는데.. 제가 잘못 알고있는건가요
ㅇㅇ?
To_Heaven (2009-08-07 20:55: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homm3// 그리고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ssd 제품상의 근본적인 문제인데.. 이게 os로 인해 해결될 만한 문제인가요 ㅇㅇ?
이건 아직 해결책 자체가 없다고 하던데..
To_Heaven (2009-08-07 20:58: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래서 인텔에서도 현재 계속해서 연구중이라고 알고있고 대비책은 없는걸로..
알고있는데 ㄷㄷ;;

근데 블루레이 이거는 미래에 확실히 상용화/대중화 되기는 할까요?
이것도 궁금하네요;
homm3 (2009-08-07 22:17:0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1. 이것부터 짚고 넘어가야해요. 이미 하드는 dvd보다 가격대 용량비가 엄청나게 높아졌습니다. 데이터 저장은 더 이상 미디어가 아니라 하드디스크에 하죠.
블루레이 이미 대중화되었어요. 이걸 공미디어로만 생각하니깐 그렇지요.
블루레이 영화 타이틀 이제 대중화되어서 엄청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 속도 느려지는거, 테크니컬하게 설명해도 잘 모르시니 그냥 지워지면 데이터는 남은 상태(010101010101010)이런상태로 유지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데이터를 다시 쓰는데 오랜시간이 걸려요. 하여간 여러가지 문제가 있는데, 이제 윈7에서는 ssd를 사용할때 데이터삭제시에 그 메모리를 000000으로 해주어서 속도저하를 막는다고 합니다.

3. 그게 HDTV야 세계최고죠. 삼성 엘지가요... 그런데 모니터는 그닥이에요.
중소기업꺼 잘(정말 잘) 뽑는다면 잘 씁니다.

그리고 LCD 모니터는 에이조, 델 제품이 더 좋아요. 삼성 엘지보다.
아이콘 블킹씨 (2009-08-07 22:21: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TN패널 까시는데 보급형제품한테 너무 많은걸 바라는건 아닐까요
애초에 태생이 인치수 높은거 보급형으로 나오는건데 갠적으로 ips는 가격이 후달리구요

그리고 저는 블루레이는 쓰는것은 그냥 별볼일 없고 읽는게 더 중요하다고
느끼는 사람중 하납니다.
homm3 (2009-08-07 22:27:0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W.Miracle (2009-08-07 22:50:1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TN 자체가 시야각 포기하면서 다른것을 택하는 패널입니다.
응답속도는 오버드라이브 같은 기술 적용 안 하면 다른 패널보다 낫고, 색번짐은 잘 모르겠지만 잔상은 응답속도 때문에 있는게 보통이니 위와 같습니다. 물론 같은 레벨에서요.
S-IPS라고 해서 전부 같은 S-IPS 패널이 아닙니다. 저질은 S-IPS라도 저질.

그리고 LCD 모니터 자체는 삼성과 LG가 전문분야에서는 에이조 같은 업체에 밀리지만, 대중적인 부분에서는 세계 최강인 업체들입니다.
또한 패널은 3인자였던 대만의 AUO가 중저가에서는 버티고 있긴 한데 삼성과 LG가 경쟁하다보니 서로 패널 쓸 바에 AUO 제품을 수입해서 그렇고, 전체적으로 보면 삼성과 LG가 독보적입니다.
삼국지 (2009-08-07 23:55:59 KST)
0↑ ↓0
센스 이미지
2번 빼고는 당연한거 가지고 문제가 많다고 하시는듯. 글의 의도가 뭐죠
아이콘 saverio (2009-08-08 00:13:21 KST)
0↑ ↓0
센스 이미지
중소기업도 자체적으로 패널을 생산하는게 아니라 삼성/LG 에서 들여오는것이기 때문에어느정도 A급 B급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아주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습니다.
대기업 선택하는건 순전히 A/S 때문이지 별다른게 없습니다.
사실 응답속도 문제도 아주 예민한 사람 아니면 S-IPS 패널과 TN 구별 못합니다.
색번짐 현상은 처음들어봅니다;;

더불어서 하드웨어는 어느정도 결함을 가질수밖에 없습니다. 이런거 저런거 따지다 보면 한도끝도없이 미루어지는게 제품 구입 입니다.그래서 후속 제품 나오는거 기다리는 사람들한테 해주는 말이 있어요. "필요하면 사라 안그러면 평생 못산다"
글의 의도는 모르겠는데 대체 무슨 근거로 2010~2011년에 해결이 된다는것을
자신감이 넘치다못해 확신하는 글을 쓰신건지 모르겠군요.

다시 한번 말씀드리는데 이것저것 문제점만 찾아서 찝어대면 제품 평생 못삽니다.
마검아수라 (2009-08-08 08:51:1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뭐 시야각이야.. -_- 생길 일이 있나요?
절대다수가 정면에서 모니터를 보는데 @_@
아이콘 saverio (2009-08-08 18:56:25 KST)
0↑ ↓0
센스 이미지
마검아수라//조금이라도 비스듬히 앉아서 하는분이면 좀 생기죠 ㅇ_ㅇ;
아이콘 리치킹의보물 (2009-08-08 23:36:29 KST)
0↑ ↓0
센스 이미지
TN이 응답속도는 최강인데 응답속도 문제도 있음?
아이콘 블킹씨 (2009-08-09 02:10: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리치킹의보물// 응답속도는 tn이 수치상으로만 앞서지 사실상 내부적으로 보면

ips가 훨낫다는글을 본적이있음. tn깔때 중요한 이유로 쓰이죠 파코즈에서
삼국지 (2009-08-09 14:01:21 KST)
0↑ ↓0
센스 이미지
블킹 // 그 소리는 처음 들어보는데 더 자세한 정보좀 부탁드려요. 궁금하네요
아이콘 블킹씨 (2009-08-09 14:18:4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예전에 비디오 디스플레이 포럼에서 tn깔떄 주구창창 나왔지만 정확한 글을 찾을순 없구요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dm_video_qna&page=1&sn1=&divpage=6&sn=off&ss=off&sc=on&keyword=%B9%DD%C0%C0%25t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2082

이글 답변을 보시면 될거같습니다.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dm_video_qna&page=1&sn1=&divpage=6&sn=off&ss=off&sc=on&keyword=%B9%DD%C0%C0%25t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0857
여기서도 한줄로만 언급되긴 하는군요.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dm_video_qna&page=1&sn1=&divpage=3&sn=off&ss=on&sc=off&keyword=%B9%DD%C0%C0&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2236

여기 답글에서도 한줄 언급.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dm_video_qna&page=1&sn1=&divpage=3&sn=off&ss=on&sc=off&keyword=%B9%DD%C0%C0&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5264

여기 답글에서도 한줄 언급


더 자세하게 설명했던 그런논쟁글을 찾고싶은데 힘들군요
아이콘 블킹씨 (2009-08-09 14:24:0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dm_video_qna&page=1&sn1=&divpage=8&sn=off&ss=on&sc=off&keyword=%B0%D4%C0%D3&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7181

이글도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제가 내린 결론은 역시 사용자의 판단/ AD보드 등이 더 영향이 미칠것 같군요
또한 짝퉁 응답속도인 GTG를 믿으면 안되구요.
아이콘 블킹씨 (2009-08-09 14:26:0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