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Page. 1 / 449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To_Heaven
작성일 2009-05-10 01:53:20 KST 조회 834
제목
계속해서 코어수를 늘려가는 이유가뭔가요?

 

 

전문적인 프로그램들과

 

 

다중코어를 필요시하는 작업들에 있어서

 

 

 

코어가 많을수록 좋다는건 알겠습니다만..

 

 

 

 

 

일반 개인사용자용은

 

 

 

 

굳이 코어수를 계속해서 늘려나가기보단

 

 

 

 

 

오히려 클럭을 최대한으로 높이는 방향으로 가는것이

 

 

 

맞는거 아닌가요?

 

 

 

 

 

 

 

 

 

 

설마 이것도 전공 얘기가 나오는 토픽인가 ㄱ-..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W.Miracle (2009-05-10 02:17:4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건 간단합니다. 클럭 올리는 것에 한계가 왔거든요.
클럭을 높일 수록 발열과 전력 소모가 심해지는데 일반적인 냉각법(공냉/수냉)에서의
한계는 보통 3.xGhz라고 합니다.
그래서 그거에 대한 해결책으로 코어 늘리기가 시작된 것입니다.
손예진 (2009-05-10 02:36:57 KST)
0↑ ↓0
센스 이미지
cpu를 현크기로 유지하면서 클럭을 늘리는데는 한계가 왔어요.
Touko-Aozaki (2009-05-10 02:49:2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클럭을 더 못올리니까요.
교복만입음투하트 (2009-05-10 02:50:13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럼 뭔가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현크기에서 클럭 올리는건 불가능한거군요.
Jay0601 (2009-05-10 11:58:3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러고보니 회로를 아무리 조밀하게 만드려고 해도, 물리학적 현상 때문에 한계가 있다고 들었음.
아이콘 [Lv.17-zerodbs] (2009-05-10 13:30:55 KST)
0↑ ↓0
센스 이미지
코어 하나에 집적도를 높이면서 공정개선에 드는 더러운 비용에다가
(솔직히 35nm 이하로 내리는게 불가능한건 아닌데 돈이 엄청 든다고 합니다.
인텔이나 amd같은 거대기업조차도 엄청나게 더러운 비용이 들어서 포기했습니다.
솔직히 35nm같은게 얼마나 인기를 끌지도 불확실하구요.)
집적도를 높이면 전력소모가 주는 대신 상대적으로 발열 장난 아닙니다.
또 cpu 초기불량률이 상당히 오래갈겁니다. 신공정이다 보니.
초기불량이야 전 모델에 대해 해당되는 거지만 이게 너무 오래가면 제품의 신뢰성이 사라집니다. 결과적으로 코어 하나 늘리고 광고하는게
"듣기에도 좋고, 경제적이고, 효율적입니다."
현재로서는요 ㅠ
팬티엄4가 3.2gb에서 발전을 멈춘 이유도 그것 때문.
순수한 이점으로는 코어 여러개 늘리는게 멀티태스킹에 훨씬 유리합니다.
코어가 작업 분산을 효율적으로 하니까요.
아이콘 [Lv.17-zerodbs] (2009-05-10 13:31:10 KST)
0↑ ↓0
센스 이미지
아나 기가바이트가 아니라 기가헤르쯘데 잘못씀이네
아이콘 Colorful_Rainbow (2009-05-10 14:12:1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덕분에 프로그래머들은 으앜!

현재 주류 언어들은 전부 싱글코어를 생각하고 만든것들이라 멀티코어에서 최적화를 시키려면...
Touko-Aozaki (2009-05-10 14:24: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인텔의 High-K Metal Gate처럼 신소재가 필요한 이유가, 집적도가 올라갈수록 전류 누설이 심해집니다. 전력 소모량과 발열량이 늘어나는 이유가 이것인데, 이 부분은 실제로 회로에서 요긴하게 사용되기보다는 거의 다 낭비되어버립니다. 이걸 줄여주는 신기술과 신소재가 결합이 되면 인텔 45nm CPU처럼 발열을 낮출 수가 있는 거죠.
랄까 전자 하나의 전자기 영향력을 고려해야되기에 신소재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회로 사이의 간극이 작아지면 간섭이 생기는데, 기존 실리콘 반도체 기준으로 현재 집적도 수준은 이미 한계상태거든요. 회로를 작게 하는 건 어디까지나 그 통로를 전자가 주변 간섭 없이 통과할 수 있을때까지 이야깁니다.

덧, 범용언어 자체가 멀티코어를 완전히 융합시켜서 티가 안나게 하려면 향후 10년 안에는 무리예요. 성능 오버헤드도 있고, 당분간은 프로그래머가 필요한 작업에 worker thread를 분리시키는 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Touko-Aozaki (2009-05-10 14:25: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덧 2. P4는 3.6GHz까지 나왔습니다....
덧 3. 실제 클럭보다는 아키텍쳐가 중요하고 이미 C2D로 증명되었죠. :)
삼국지 (2009-05-10 14:32:52 KST)
0↑ ↓0
센스 이미지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현재와 미래 라는 동영상이 있는데 찾아보시길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