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Page. 373 / 449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To_Heaven
작성일 2009-05-07 00:35:31 KST 조회 431
제목
여쭤볼께 있습니다.

 

최근 제조공정에 대해서 좀 의문을 갖고 있는중입니다.

 

 

 

 

제조공정이 60나노 -> 40나노 -> 32나노 계속해서

 

 

발전해가고 있죠.

 

 

 

 

근데 이러한 제조공정의 발전은

 

 

 

 

 

 

1. 발열량 감소.

 

 

 

2. 전기 소모량 감소

 

 

 

3. 성능의 발전

 

 

 

 

 

 

제조공정의 발전은 이 3가지가 주 목표인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제조공정이 계속 발달하고 있음에도

 

 

 

 

시간이 지날수록 파워는 점점더 높은걸 요구합니다.

 

 

 

 

 

 

 

이 말은

 

 

 

 

 

부품의 발전 속도. 즉.

 

 

 

이 정도의 성능을 내려면 이 만큼의 전기 소모량이 필요한데

 

 

 

이 정도의 제조공정상으론 전기 소모량을 억제시키기엔 역부족 이다 라고 봐야하는건가요?

 

 

 

 

 

 

 

 

이 말이 만에 하나 맞다면.

 

 

 

 

옛날 펜티엄4 세대의 부품들을 현재의 최신 제조공정을 사용하여 제작했을경우엔

 

 

 

전기소모량은 매우 미미해지는 수준까지 떨어뜨릴수 있는건가요?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To_Heaven (2009-05-07 00:36:0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뭔가 참 이해가 안되는 -.-;
아이콘 Lament_Rainbow (2009-05-07 01:12: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댓글을 길게 써 볼까요?

일단 여기서 나오는 제조공정의 크기는 CPU의 회로를 구성하는 신호선의 굵기입니다.

전자기판같은거 조립하면 칩을 꽃고 선을 연결하잖아요? 그 선의 굵기를 나타낸다고 보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코어에 집적되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크기도 줄어들게 되죠.

이런 제조공정이 미세해 진다는것은 각 부품들이 적은 전기 신호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는것이 되고, 이것은 적은 전력 소모를 가져 오게 되죠. 또한 전력소모가 적어진 만큼 발열량도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코어의 크기가 줄어드니 같은 크기의 웨이퍼로 더 많은 코어를 만들 수 있어서 생산비용도 더 절감되게 되죠.

하지만 이런데서 얻은 이점을 여기에만 쓰고 끝낼까요? 전력소모가 줄어들고 발열이 줄어든만큼 크기를 더 키우고 집적도를 높이면 기존의 것보다 더 높은 성능의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결국엔 성능은 좋아지지만 나머지는 아무것도 안변하게 되죠. 이것이 향상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최신 공정을 이용해서 저전력 CPU를 개발하기도 하죠. 인텔 아톰 프로세서가 대표적인 예일까요? 최신의 공정과 최신의 기술로 펜티엄 3급 CPU를 만드니까 초저전력 CPU가 나오지 않습니까?

또한 PC 파워 소모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큰 변화 없이 쭉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PC의 전반적인 부품에서요. 물론 PC를 설계 할 수 있는 전력의 폭은 상당히 넓어졌죠. 초저전력 PC부터 초고사양/고전력 PC까지요. 하지만 표준 PC에서 쓰이는 전력 규모는 5년전과 지금과 비교해서 약 100W정도 차이고, 사실 PC가 쓰는 전력은 미미한 정도의 차이입니다.
To_Heaven (2009-05-07 01:18:4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좋은 답변 ㄳ 궁금한점있으면 리플로 올릴께요
homm3 (2009-05-07 01:39:3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공정미세화는 트랜지스터 더 많이 때려받는게 더 궁극적인 목적입니다.
homm3 (2009-05-07 01:39:4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같은 공간에
To_Heaven (2009-05-07 01:40:5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니깐 제조공정의 발전은 초저전력 pc부터 고전력 pc까지

다양한 성능을 제조할 폭을 넓혔다는것 뿐

결국 앞으로 나올 초고성능의 부품들은 제조공정과는 상관없이 계속

전력소모량은 늘어날 거라는 건가요?
homm3 (2009-05-07 01:48: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전문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전공 1000페이지짜리 책 여러권 나올만한 토픽이지만,

간단히 말하겠습니다. 더 많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앞으로 필요한 전력이 조금씩 더 늘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면서 동일한 성능에 더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일겁니다. 그 핵심 내용중에 공정세밀화가 있는거고요.

다시말하자면, 더 높은 성능을 위해서 더 많은 전기를 필요로 하겠지만, 그것을 최대한 억제하고 에너지효율을 높이는데도 많은 노력을 기울일겁니다.

http://gigglehd.com/zbxe/?mid=special&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B%82%98%EB%85%B8&page=11&division=-2078956

여기 한번만 살펴봐도 많은 도움이 되실겁니다.
homm3 (2009-05-07 01:49:4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공정세밀화로 인한 향상에 관한 최고의 예시는 amd의 페넘이 아닐까 싶습니다.

음...
homm3 (2009-05-07 01:50:5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단순히 전기먹는걸로만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cpu아키텍쳐나 여러가지 상황을 같이 봐야합니다.
To_Heaven (2009-05-07 01:51: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homm3// 코어2쿼드나 i7은요?
To_Heaven (2009-05-07 01:52:1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 주제가 전문적으로 파고들면 분량이 저렇게 많아지나요? ㄷㄷ
To_Heaven (2009-05-07 01:52: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권한이없습니다 헐..
homm3 (2009-05-07 01:57:1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우선 기글하드웨어 가입하시고 6시간인가 있으면 보실 수 있습니다.

단순히 공정문제가 아니라 아키텍쳐문제등등, 옛날 컴퓨터역사, 지금의 i7, MA 아키텍쳐등도 같이 보시면 됩니다.
삼국지 (2009-05-07 08:44:19 KST)
0↑ ↓0
센스 이미지
제대로 이해하시려면 전공쪽으로 파고들으셔야 한다고 댓글 달러 왔는데 윗분들이 잘 말해주셨네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